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200237
한자 洛山里
영어음역 Naksan-ri
이칭/별칭 여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산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노수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리
면적 9.25㎢
총인구(남,여) 415명[남 214명, 여 201명]
가구수 194가구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낙산리사기점, 대문동, 하도, 중리, 원촌, 칠창, 여진 등 일곱 개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사기점은 숭신산성 아래에 있는 마을로 천주교도 박해 때 신도들이 이곳에 피신하여 사기를 만들어 붙여진 이름이다. 대문동은 조선 선조 때 홍문관교리를 지낸 경암 노경임(盧景任, 1569~1620)이 이곳에 대궐 같은 큰 집을 지었는데, 대문이 큰 성문과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하도는 1864년(고종 1) 고산자 김정호(金正浩, ?~1866)가 「대동여지도」를 만들기 위해 이곳에 와서 산세를 보니 마치 용마하도의 그림과 같은 형상이므로 뒷산을 하도봉이라고 부른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중리는 마을 중간에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예전에 옹기를 굽는 가마가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 원촌은 옛날에 미라원(彌羅院)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칠창은 고려 태조 왕건냉산 태조봉에 숭신산성을 쌓고 후백제 견훤과 싸울 때 이곳에 일곱 개의 창고를 짓고 군량미와 병기를 비축하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여진은 936년 왕건이 숭신산성과 태조방천에서 견훤과 싸워 승리한 다음 낙동강 나루를 건널 때 승리의 기쁨을 이기지 못하여 나의 나루[余津] 혹은 고려의 나루[麗津]라는 뜻으로 부른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자연환경]

냉산 지맥에 둘러싸여 낙동강을 바라보고 있는 광활한 지역으로, 북쪽에 냉산 태조봉과 숭신산성이 있다. 태조봉에서 발원한 하천이 사기점을 지나 대문동·하도·중리·원촌을 거쳐 낙동강으로 흘러든다. 마을은 하천 양쪽에 흩어져 있다.

[현황]

2009년 1월 현재 면적은 9.25㎢이며, 총 194가구에 415명[남 214명, 여 201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낙산1리와 낙산2리 두 개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통칭하여 여진이라 한다. 도로변 입구에서 곧장 원촌마을로 들어서면 여진마을 회관과 노인정이 있고, 조금 더 들어가면 일선초등학교와 낙산2리 마을회관이 있다. 이곳에서 좀 더 올라가면 낙산1리 마을회관이 있다. 마을 옆으로 대구와 상주를 잇는 국도 25호선이 지난다.

낙산리는 신라시대에 일선 관아가 있던 곳으로 문화재로는 선산 낙산리 고분군, 선산 낙산동 삼층석탑이 있다. 선산 낙산리 고분군감천낙동강에 합류하는 지점 양쪽에 펼쳐진 해평들과 선산들 동쪽에 있는 대규모의 가야 및 신라 고분군으로 0.23㎢의 광대한 지역에 205기가 밀집되어 있다.

최초의 발굴 작업은 1987년 일선리 택지 조성에 앞서 이루어져, 가야 초기(3~4세기) 고분 20여 기를 발굴하였다. 고분은 4세기 중반부터 6세기 중반까지의 분구묘 양식을 취하고 있으며, 내부 구조는 움무덤[土壙墓]·독무덤[甕棺墓]·구덩식돌널[竪穴式石槨]·앞트기식돌방[橫口式石室] 등 다양하다. 고분의 규모가 크고 부장 유물이 화려하여 고분 문화의 전성기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1990년 10월 26일 사적 제336호로 지정되었으며, 연차적으로 205기의 고분을 복원하고 부대시설 등을 설치하였다.

선산 낙산동 삼층석탑은 약간의 손상이 있으나 비교적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탑 양식인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1968년 보물 제469호로 지정되었다. 냉산 중턱 숭신산성 밑에는 신라에 불교를 전한 아도 화상과 관련한 전설이 서린 금수굴이 있다. 이 밖에 낙산2리의 절터에서 기와 조각과 간주·장대석·연화대 등이 발견되었으며, 부처밭골에서 수십 구의 금동불상이 출토되었다. 낙동강 변에 월파정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