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201264
한자 李孟專
영어음역 Yi Maengjeon
이칭/별칭 백순(伯純),경은(耕隱),정간(靖簡)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동 댓샘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용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출신지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동 댓샘지도보기
성별
본관 벽진
대표관직 대제학

[정의]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개설]

이맹전조려(趙旅), 원호(元昊), 김시습(金時習), 성담수(成聃壽), 남효온(南孝溫)과 함께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이다.

[가계]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백순(伯純), 호는 경은(耕隱). 지밀직사 이견간(李堅幹)의 후손이며 이군상(李君常)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이희경(李希慶), 아버지는 이심지(李審之), 어머니는 공부전서 여극승(呂克勝)이다. 선대가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호장곡(好章谷) 일대에 세거하였다.

[활동사항]

이맹전은 1427년(세종 9)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이 되었다가 사간원좌정언, 지제교, 소격서령을 거쳐 거창현감으로 나가 선정을 베풀었다. 그러나 당시 상황을 살펴보고 장차 단종에게 화가 미칠 것을 예견하고 벼슬을 버리고 장인인 직제학 김성미(金成美)가 사는 선산 망장촌(網障村,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오로리)로 내려가 은거하였다.

은거 중 청맹과니에다 귀까지 멀어 보지도 듣지도 못한다 하여 문을 닫고 30년을 하루같이 폐인으로 자처하며 손님도 사절하면서도, 의관을 정제하고 단종의 유배지인 영월 쪽으로 배좌(拜坐)하였고 북쪽인 한양 쪽으로는 향하지도 앉지도 않았다. 또 매월 삭망(朔望)에는 영월을 바라보며 향배(向拜)하였으니 집안사람들이 물으면 신병을 위해 기도한다고 하였다.

강호(江湖) 김숙자(金叔滋)의 아들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가끔 찾아 배알하면 문을 닫고 마음 속 깊은 이야기를 하였다. 훗날 점필재가 『이준록(彛尊錄)』에 참뜻을 기록하여 세상에서 알게 되었다. 부인 김씨(金氏)와 90세까지 해로하였는데 집안에는 한 끼의 양식도 비축된 것이 없었다고 한다. 저술로 잡서(雜書)가 있었다고 하나 병화로 소진하고 없다. 묘소는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금호리 미석산(彌石山) 재궁동(齋宮洞)에 있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정간(靖簡)이다.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이 묘갈(墓碣)을 지었으며, 퇴계(退溪) 이황(李滉),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을 비롯한 많은 이들이 그의 사적을 전했다. 1781년(정조 5) 이조판서와 양관 대제학에 추증되었다. 선산 월암서원(月岩書院), 함양 서산서원(西山書院), 영천 용계서원(龍溪書院)에 배향되었다. 경은선생유허비각(耕隱先生遺墟碑閣)이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동 댓샘 옆에 세워졌으나 현재 구미시립중앙도서관으로 이전되었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3.05.21 [상훈 및 추모] '구미시립도서관'를 '구미시립중앙도서관'으로 수정
이용자 의견
성*** <오류수정> 어머니는 공부전서 여극승(呂克勝)이다. ---> 어머니는 성산여씨 3世 자헌대부공조판서 여극회(呂克誨)의 딸이다. 2012.09.16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