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200677
한자 敎牒
영어의미역 The Kings' Appointment Letter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임삼조

[정의]

조선시대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 내려진 교첩.

[개설]

교첩은 주로 5품 이하의 문무관리를 임명할 때 사용되었다. 5품 이하는 낭계(郞階)라 하며, 대간(臺諫)의 서경을 거친 뒤 왕명을 받아 이조 또는 병조에서 발령하였다. 연호 위에는 이조지인(吏曹之印) 또는 병조지인이 찍혔다. 교첩의 서압(署押)은 참의 이상의 당상관에서 1명, 정랑·좌랑 중에서 1명, 모두 두 사람만이 담당하였다. 현재 구미 지역에서 발견된 교첩은 박선호(朴善浩) 교첩, 박수홍(朴守弘) 교첩, 박천의(朴天儀) 교첩, 박인령(朴仁齡) 교첩, 박중휘(朴重輝) 교첩 2점, 박중휘(朴重輝) 차정첩(差定牒) 2점, 박천준(朴天俊) 교첩, 박학령(朴鶴齡) 교첩 5점, 최수걸(崔壽傑) 교첩, 황도희(黃道熙) 교첩, 판관(判官) 황도희(黃道熙) 첩 등이 있다.

[내용]

1. 최수걸(崔壽傑) 교첩: 1711년(숙종 37) 충훈부에서 영사공신 완해군 최산휘(崔山輝)의 장손에게 내린 충의위 소속 사령이다.

2. 판관 황도희(黃道熙) 첩과 황도희 교첩: 첩은 관서의 장이 속관에게 내리는 문서로서 차정(差定)은 임명 또는 물침(勿侵), 훈령 등에 사용된다. 황도희 교첩은 1714년(숙종 40) 전 사과(司果: 종6품) 황도희를 훈련원판관(종5품)에 임명하는 교첩이다.

3. 박중휘(朴重輝) 교첩과 박중휘 차정첩: 박중휘 교첩은 진사 봉직랑 박중휘가 통덕랑에 가자된 첩지이다. 1654년(효종 5)에 이조에서 발급되었다. 박중휘 차정첩은 승정원좌부승지 이익이 전한 효릉참봉 박중휘를 조봉대부 금부도사에 임명한다는 첩문이다. 1661년(현종 2) 2월 이조에서 발급되었다.

4. 박수홍(朴守弘) 교첩: 유학 박수홍을 승문원부정자, 통사랑, 무공랑, 선교랑, 승의랑, 봉훈랑, 승문원 부정자, 봉직랑행성현도찰방에 임명한 이조의 교첩으로, 1619년(광해군 11)에서 1621년(광해군 13) 간에 발급된 7장(張)이다.

5. 박학령(朴鶴齡) 교첩: 통덕랑 행익릉참봉 박학령을 통덕랑 행경기전참봉으로 임명한 교첩이다. 1709년(숙종 35) 2월에 이조에서 발급되었다.

6. 박춘보(朴春普) 교첩: 1725년(영조 1) 3월 이조에서 발급된 통덕랑 박춘보를 영희전참봉에 임명한다는 교첩, 1725(영조 1) 11월 이조에서 발급된 봉렬대부 박춘보를 전옥서봉사로 임명한다는 교첩, 1743년(영조 19) 7월 병조에서 발급된 통훈대부 박춘보를 병조정랑으로 임명한다는 교첩이 있다. 박춘보에게 세자시강원문학·사헌부지평·홍문관수찬·사간원헌납·홍문관부교리·사간원대사간 등에 임명한다는 유지를 전한 교첩이 있다. 1738년(영조 14)에서 1748년(영조 24) 간에 승정원에서 발급한 9장이다.

7. 박천의(朴天儀) 교첩: 진사 박천의가 통덕랑 행건원릉참봉, 영릉참봉, 통훈대부 의금부도사, 동몽교관 등에 임명된 교첩이다. 1748년(영조 24)에서 1754(영조 30) 간에 이조에서 발급된 5장이다.

8. 박인령(朴仁齡) 교첩: 통선랑 박인령에게 통덕랑 품계를 내린 첩지이다. 박인령은 대가원종공신 전첨사 박성유의 아들로 음사 품계를 더하여 올려준 교첩이다. 1731년(영조 7) 4월에 이조에서 발급되었다.

9. 박천준(朴天俊) 교첩: 진사 박천준이 장사랑 명릉참봉, 종사랑 명릉참봉, 승사랑 광흥창부봉사, 통사랑 상서원직장, 선교랑 내자시주부, 봉훈랑 장릉령에 임명된 교첩으로 1778년(정조 2)에서 1782(정조 6) 간에 이조에서 발급된 6장이다.

10. 박선호(朴善浩) 교첩: 진사 박선호가 장사랑 광흥참봉, 승사랑, 통사랑 광릉참봉, 계공랑 행광릉참봉에 임명된 교첩으로 1782년(정조 6)에서 1783년(정조 7) 간에 이조에서 발급된 4장이다.

11. 이승우(李承祐) 차정첩: 1886년 이승우를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에 임명하는 교첩이다.

[의의와 평가]

한 개인에게 내려진 일련의 교첩은 그 시대의 관료 정치 및 양반 사회의 성격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사료가 된다. 또한 정치·경제·사회·법제 및 재지 사족들의 범절과 서예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