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201000
한자 金羾
영어음역 Gim Gong
이칭/별칭 자량(子亮),욕담(浴潭)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원호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용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생
출신지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원호리 지도보기
성별
생년 1581년연표보기
본관 선산

[정의]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유생.

[가계]

본관은 선산. 자는 자량(子亮), 호는 욕담(浴潭). 할아버지는 문간공(文簡公) 구암(久庵) 김취문(金就文)이며, 아버지는 창의사(倡義士) 증이조판서 김종무(金宗武)이다.

[활동사항]

김공은 12살 때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아버지 김종무(金宗武)가 경상북도 상주 북천전장에 의병을 일으켜 떠나게 되자, 할머니와 어머니를 따라 금오산(金烏山) 도선굴(道詵窟)에 피난하였다. 한 번은 밖에 나와 놀고 있는데 왜병이 창으로 협박하자, 곧 패도(佩刀)로 자신의 목을 찔러 왜병이 놀라며 참으로 의롭다 하고 돌아갔다. 아버지 김종무가 순사(殉死)하였다는 소식에 할머니와 어머니가 차례로 병을 얻어 세상을 떠나 고아가 되었다.

외가인 경상북도 안동 하회에 가서 외삼촌인 겸암 유운용서애 유성룡의 보살핌을 받았으며, 20세에 고향으로 돌아올 때 외할머니인 정경부인 김씨가 많은 전답과 노비를 분재(分財)해 주었다. 당시 작성된 분재기(分財記)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에 있는 영모각(永慕閣)에 보관되어 있다. 그러나 받은 재산을 경상북도 안동 천전에 살고 있던 매부 김철(金澈)에게 건네주고 금오산 도선굴 아래 초막을 짓고 글을 읽었다.

음사(蔭仕)로 여러 차례 벼슬에 천거되었으나 돌아가신 아버지의 시신도 거두지 못한 죄인이 벼슬을 할 수 없다고 사양하였으며, 죽을 때까지 통분하여 얇은 옷과 소박한 반찬으로 생활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때는 인재(訒齋) 최현(崔晛)과 더불어 창의하였으나 인조의 항복으로 뜻을 이루지 못하게 되자 비분한 나머지 스스로 광인이라 칭하였다. 죽음에 임해서는 네 아들을 불러놓고 장례를 간소히 하고 널리 알리지 말 것과 자신은 죄인이라 죽음으로도 뜻한 바를 잊지 못할 것이라고 유언하였다.

[학문과 사상]

외삼촌 겸암 유운룡서애 유성룡의 가르침을 받고 학문이 숙성하였으며,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문하에서도 배웠다. 장현광의 문도들이 금오산 폭포의 웅덩이에서 시회(詩會)를 자주 가졌는데, 이 웅덩이를 욕담(浴潭)이라 이름하고 예서체로 각자(刻字)하여 자호(自號)로 삼았다.

[상훈과 추모]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남산리의 남강서원(南岡書院)에서 향사(享祀)하고 있으며, 초막을 짓고 글공부하던 암벽에 후학들이 ‘욕담김선생영귀대(浴潭金先生詠歸臺)’라고 글자를 새겼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