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201977
한자 龜尾桃李寺石塔
영어의미역 Stone Pagoda of Dorisa Temple
이칭/별칭 화엄석탑,도리사 모전석탑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송곡리 403[도리사로 526]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이희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68년 12월 19일연표보기 - 구미 도리사 석탑 보물 제47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구미 도리사 석탑 보물 재지정
성격 석탑
양식 이형석탑
건립시기/연도 고려시대
재질 석재
높이 445㎝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송곡리 403[도리사로 526]지도보기
소유자 도리사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송곡리 도리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개설]

화엄석탑(華嚴石塔)이라 부르는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우리나라 석탑 가운데 같은 유형을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로 조성되었다. 해평면 송곡리 도리사 극락전 앞뜰에 위치한다.

[형태]

지대석은 10장의 장대석으로 결구(結構)되었는데, 상면에 각형일단(角形一段)의 받침을 각출하여 기단부를 받치고 있다. 기단부 네 모퉁이에 방주(方柱)를 세우고 그 사이 각 면에 장방형의 판석을 세워 병풍처럼 둘러쌓았고, 동면·서면· 남면은 6장이고 북면은 7장이며, 남면 중앙부에는 종형으로 장방형의 두 문우(門隅)가 음각되어 있다.

기단 갑석도 네 모퉁이에 장대한 판석을 놓고 그 사이에 수매(數枚)의 돌로 결구했는데 각 면이 다같이 3장씩이다. 갑석 윗면에는 별다른 구조가 없고, 평면 위에 탑신이 놓였는데, 각층이 10개의 돌로 구성되어 있다. 탑신은 삼층으로 초층은 각 면이 장방형의 석재로 이루어졌는데, 동면은 15매석이고 남면은 13매석이다.

탑신 위의 지붕[옥개]은 일반형 석탑의 지붕돌 형태와는 달리 지붕형이 아니어서 받침이 각출되지 않았고, 그 위에 낙수면도 없으며, 모전 석탑에서 볼 수 있듯이 윗면에 여러 개의 층단이 마련되어 있다. 각 층단은 기단부 갑석과 같이 네 귀에 장대석을 배치하고 그 사이를 몇 장의 장방형 석재로 결구하였고, 그 위에 2층의 층단을 놓았는데 그 층단은 상하층 동쪽 면이 4매석으로 구성되었으며, 남면은 하층이 5매석, 상층은 4매석이다.

2층 몸체[옥신]는 각 면마다 2층으로 장방형 석재를 중첩하여 조립하였는데, 동면은 7매석이고 남면은 8매석이다. 남면에는 중앙에 문비형을 모각한 판석을 세로로 끼우고 그 위의 지붕 갑석은 네 귀에 장대석을 배치하고 각 면마다 그 사이를 장방형 석재로 메웠는데, 동면은 2매석이고 남면은 3매의 작은 석재로 구성되었다.

그 위의 층단 받침은 3단이다. 3층 몸체와 지붕은 각각 한 돌로 조성되었고 밑에 각형 1단의 받침이 있다. 낙수면에는 2단으로 굄을 만들어 그 위에 상륜부를 받치고 있는데 1,2층의 그것과는 또 다른 모습이다. 정상에는 원형의 앙화와 보주가 놓였다. 앙화석에는 단엽의 앙련이 조각되었는데, 각 연봉의 줄기가 양쪽으로 꽃가지를 뻗치면서 아래까지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연봉과 연봉 사이에는 화판(花瓣)에 연화(蓮花)장식이 양각되어 있다.

[현황]

구미 도리사 석탑극락전 앞뜰에 세워져 있으며, 일반 석탑과는 형태를 달리하는 특이한 모습이다. 석탑 주변을 수목이 둘러쌓고 있어 자연 통풍과 건조가 원만하지 못하고 습하기 때문에 초본류 및 지의류가 석탑 전체를 뒤덮고 있었으며, 각층 상부에는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고 있었는데, 2004년 지의류 제거 작업을 하여 보수· 복원해 놓았다. 1968년 12월 19일 보물 제47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구미 도리사 석탑은 5개의 층단을 이루고 있는데, 맨 아래층은 기단일 것이고, 위의 두 층은 신부이겠지만, 맨 위의 두 층은 포개진 노반(露盤)으로 보아야 할 것인지, 맨 위 한 층만 노반으로 보고 신부를 세 층으로 보아야 할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한편 구미 도리사 석탑의 지붕돌 윗부분 층단과 신부의 구성 형식으로 보아 모전 석탑처럼 보이기도 한다.

구조상 지붕 낙수면이 층단을 이루고 있는 점이라든지 각 층마다 작은 석재를 중첩 결구하여 탑신부를 형성하고 있는 점 등으로 보아 오히려 모전 석탑의 계열에 가깝다. 이 탑을 현지에서는 ‘화엄석탑(華嚴石塔)’이라 일컫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확실한 근거를 찾을 수 없다.

기단부의 남쪽 면 가운데에는 세로로 긴 장방형의 문비가 있어 사리 봉안의 상징성을 보이고 있다. 축조 연대는 남면 상하부에 모각된 양 문비형의 양식과 상륜부의 조각을 비롯한 각 부재의 돌을 다듬은 수법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중엽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