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중단되고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문성지 못제와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남아 있다. 하루는 원호리 마을 사람들이 자고 일어나니 마을 앞 늪의 둘레에 지금 있는 못의 둑 모양대로 짚으로 나란히 이어 놓았으므로 농민들이 이상하게 여기다가 문득 떠오르는 것이 있었다. 간밤에 앞산에서 여우가 몹시 울더니 이는 반드시 여우 짓이다. 이대로 둑을 쌓으라는 암시로 알고 그대...
2월 초하루에 지내는 영등할매모시기는 ‘2월 밥 한다’고 하였으며, 초하룻날 해가 뜨기 전에 콩나물, 배추나물, 도래(도라지), 고사리, 밥, 콩나물국을 만들어 부엌의 솥 옆에 놓고, 솥의 뚜껑을 열어 식구수대로 밥에 숟가락을 원형으로 꽂는다. 음식을 차리면 앞에서 비손을 하며 연신 고개를 조아리며 소원을 빈다. 소원은 ‘일 년 열두 달 재수있고, 아무 거슥없이 해 주십소’라고 한...
성주고사는 성주단지와 성주바가지 2개의 신체를 모시는 것으로 음력 10월 초열흘에 지낸다. 저녁이 되면 팥시루떡, 콩나물, 도래(도라지), 고사리, 밥, 명태국을 만든다. 성주바가지는 대청마루 안방쪽 벽 위에 바가지를 두 개를 겹쳐서 삼베천을 덮어 실을 말아 올려놓았으며, 안에 쌀을 넣는다. 성주단지는 조그마한 단지를 바가지 밑 마루바닥에 놓았으며, 안에 나락(벼)을 넣어놓는다....
각 집안에서 ‘떡국제사’를 지내는 날이라고 하여, 떡국을 끓여 조상에 차례를 지낸다. 떡국은 집에서 쌀을 불려 떡메로 쳐서 떡가래를 만들어 끓였다. 차례가 끝나면 젊은 사람들은 2~3일간 마을을 돌며 집안어른들에게 세배를 한다. 마을 앞 문성지 제방에서 건너편에 있는 당산을 향해 제를 지내며, 마을에서 제관을 선출하여 새벽에 제를 지낸다. 아침 일찍 새끼줄에 불을 놓고 뒤안 장독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