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밭 한 마지기를 팥죽 한 그릇과 바꾸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모지래기 는 수다사 에서 내려오는 개울물을 전답에 대려면 들이 넓어서 언제나 이틀이 되어야 돌아오므로 ... 가 있다. 송이버섯을 재배하여 해마다 약 500만 원의 수입을 올리고 있다. 명소로 수다사(水多寺) 가 있다. 수다사 는 마을 북쪽 연악산 99곡의 깊은 골짜기가 뻗어...
-
...고 골짜기만 남아 있다. 북쪽에는 연악산 이 있고 수다천 이 흐르며 동쪽으로 수다사 가는 길이 있다. 우거진 숲이 있고 연악산 에서 내려오는 물이 좋은 곳이다. ...없다. 예전에 사람이 살았던 흔적으로 옛날 기왓장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 이 곳의 야산과 골짜기에 밭농사로 콩 등을 경작하고 있다. 부근에 수다사 가 있다.
-
...적인 마을 행사로 무을풍물이 유명하다. 무을풍물은 무을면 무이리 를 중심으로 상송리 , 오가리 등지에서 전승·공연되는 전통 풍물놀이로서 발원지는 상송리 에 있는 수다사(水多寺) 이다. 약 300년 전 수다사 에 있던 승려 정재진 이 구전되어 내려오는 내용을 소재로 하여 풍물 가락을 만들어 인근 마을로 전파시킨 것이 시초이다. 무을면 과 김천시 일대에는 아직도 “ 정...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에 있는 자연 마을. 수다사 에서 내려오는 개울물이 많았으나 들이 넓어서 전답에 물을 대었으나 언제나 이틀이 되어야 돌아오므로 물이 모자란다는 ...유명하다. 북에는 연악산 아래 99개의 깊은 골짜기가 뻗어내린 곳에 신라 고찰 수다사 가 있다. 신라 고찰인 수다사 는 진감국사 가 창건하여 연화사 라 하...
-
...다. 그 중에서 전통 사찰로 맥을 이어오고 있는 것으로는 도리사 · 대둔사 · 수다사 · 보천사 등이 있고, 국보급과 보물급 유물 몇 점이 당시 화려했던 불교를 전해... 영명사 · 보현사 · 용마사 · 봉불사 · 죽림사 · 보원사 · 수다사 · 문수사 · 원흥사 · 모례원 · 자비원 · 대둔사 · 도리사...
-
...490호), 선산 해평동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492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 (보물 제1122호)이 있다. 도지정문화재로 선산 낙산리 고분군 (사적 제336호), 수다사 명부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9호), 채미정 (경상북도 기념물 제55호), 금오서원 (경상북도 기념물 제60호), 인동향교 대성전 (문화재자료 제20호) 등...
-
... 2개 있어 ‘ 쌍암 고가 '라고 하였다. 동서로 긴 대지에 앞에서부터 대문채, 사랑채, 중문간채, 안채, 사당을 차례로 배치하였다. 사랑채만 남향이고 나머지는 동향이다. 수다사 명부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0호)은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산 12번지 에 위치한다. 이 건물은 조선 중기 때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수다사 는 원래 신라시대에는 연화사 로 불렸고 고려시대에는 성암사 라고 했다가 조선시대에 건물들을 다시 짓고 수다사 로 고쳐 불렀다. 그러나 1684년(숙종 10) 화재...
-
... 열고 있는 순수예술 축제. 무을풍물은 300여 년 전인 조선 영조시대 구미 수다사(水多寺) 에서 탄생했으며 시대를 거치는 동안 영남 뿐만 아니라 전국 풍물의 중요... 마련되었다. 2011년 무을풍물축제는 2011년 11월 12일부터 11월 13일까지 수다사 와 금오산 분수광장 에서 개최되었다. 첫날 수다사에서는 대북, 사물놀이, 판소리...
-
...5m, 나무갓 너비 20m이다. 나무갓이 매우 넓게 퍼져 있다. 상송리 느티나무는 수다사 를 찾는 사람들이 중간에 쉬어갈 곳이 마땅히 없어 정자나무로 심었다고 한다. 느티나..., 건축재, 기구재, 선박재, 공예재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된다. 상송리 느티나무는 수다사 가는 길에 있는 마을 가운데 있으며, 마을 입구를 나무갓이 가리고 있다. 옆에 두 ...
-
... 이 나고 자동차 났으며, 안창남 을 위하여 비행기 나왔다”는 말이 바로 그것이다. 무을풍물하면 가장 윗자리에는 정재진 이라는 인물이 항상 등장한다. 정재진 하면 수다사 라는 절이 나온다. 이것이 무을 사람들이 생각하는 무을풍물의 시작이다. 시간 여행을 떠나 수다사 로 가면, 그 시간은 신라시대까지 올라 간다.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에 있는 수다사(水多寺) 는 통일신라 문성왕 (839~857) 때 진감국사(眞鑑國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