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
-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 금강사에 있는 고려 전기 관음보살입상. 구미시 원평동에 있는 금강사는 현대에 새로 건립된 사찰이다. 1952년 5월부터 1954년 4월까지 주지 철우선사가 세웠으며, 철우선사 입적 후에는 승려 정우가 주석하여 왔다. 구미 금강사 금동관음보살입상은 철우선사가 금강산에서 수행할 때 구미 금강사 석조석가여래좌상, 구미 금강사 금동약사여래입상과 함께 금강산 폐사지에...
-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 금강사에 있는 통일신라 약사여래입상. 금강사는 1952년 5월부터 1954년 4월까지 주지 철우선사에 의하여 건립되었으며, 현재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사찰로 1,500여 명의 신도들이 소속되어 있고, 경내에는 대웅전, 심우당, 채월당, 종각, 철우선사 부도탑 등이 있다. 이 중 채월당에는 금동약사여래입상이 모셔져 있다. 불상의 높이는 47㎝, 불두 높이 11㎝...
-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 금강사에 있는 조선 후기 석가여래좌상. 금강사는 철우선사에 의하여 창건되었으며, 경내에는 대웅전, 심우당, 채월당, 종각, 철우선사 부도탑 등이 있다. 구미 금강사 석조석가여래좌상은 금강사의 대웅전에 모셔진 석가여래좌상이다. 불상은 높이 53㎝, 어깨 폭 23㎝, 무릎 폭 40㎝, 대좌 높이 25㎝, 대좌 직경 44㎝로, 대웅전 주존이다. 다른 주존상에 비해...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남화사 보광명전 2층 약사전에 봉안된 고려 시대 불상. 고려 시대에는 지역별로 다양한 양식의 불상들이 조성되었는데, 구미 남화사 석조약사여래좌상은 통일 신라 시기 경상북도 지역에서 유행하던 조각 양식을 다분히 계승하면서도 고려 시대의 다소 추상화된 조형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2008년 11월 3일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544호로 지정되었다. 광배를 포...
-
경상북도 구미시 구평동의 대원사에 있는 통일 신라 말에서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석불 좌상. 구미 대원사 석조여래좌상은 불상의 양감이 깊지 않아 마치 부조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이다. 불상의 양식은 통일 신라 시대의 특징이 많이 보이지만, 도식화와 왜곡의 경향이 보여 통일 신라 말이나 후삼국, 혹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구미시 신동(新洞)의 부처골에 있던 것으로...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수다사에 있는 조선 후기 아미타여래좌상. 연악산(淵岳山) 수다사는 830년(흥덕왕 5) 진감선사에 의하여 개창되었다. 그 후 976년(경종 1) 화재로 인하여 건물이 소실되고 극락전과 청천료만 남았다. 다시 1185년(명종 15) 각원대사에 의하여 대대적인 불사가 이루어졌다. 그 후 1273년(원종 14) 수해로 인하여 대부분의 전각이 유실되었고, 조...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 약사암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석조여래상. 약사암은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고 하나 당시의 유적은 전하는 것이 없으며, 근래에 건축한 것으로 추정되는 2칸 기와집 법당과 요사채가 각 1동씩 있다. 「약사전중수기(藥師殿重修記)」에 의하면 지리산에 삼불(三佛)이 있어서 금산 삼성암(三省庵), 성주 수도암(修道庵)과 구미 약사암에 나누어 봉안했다 하는데, 도인 박유술...
-
경상북도 구미시 황상동 금강선원에 있는 고려시대 마애여래입상. 구미시 황상동의 속칭 석현(石峴)이라 불리는 고갯길 왼쪽으로 솟아 있는 암벽의 앞면에 조각된 마애여래입상이다. 높이는 약 7m이며, 다리 밑에는 연화(蓮華)를 새긴 대(臺)를 갖추었고, 머리 위는 별석(別石)으로 갓 모양을 갖추었을 것으로 여겨지나 일부가 파괴되어 원래 모습을 찾을 길이 없다. 머리카락은 아래로 내려져...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에 있는 고려 전기 마애보살입상. 금오산 해발 약 800m 지점에서 남쪽으로 꺾어 암벽을 안고 돌아가 300~400m 지점에 이르면 약사암(藥師庵)이 바라다보이는 곳 동쪽으로 제법 넓직한 대지가 나오고, 기와 조각들이 주변에 산재한 보봉사지가 있다. “보봉사(普峰寺)가 보봉 아래 있어 동으로 수백 리의 통망(通望)이 좋더라”라는 기록대로 보봉사의 구지(舊址)로...
-
경상북도 구미시 금전동에 있는 약사여래좌상. 높은 육계와 원만한 상호를 가지고 있으며, 양쪽 귀는 길게 늘어져 어깨에 닿아 있다. 두 눈과, 코 등은 마멸이 심한 편이며 목에는 삼도가 표시되어 있다. 결가부좌한 좌상으로 오른손은 오른쪽 무릎 위에 자연스럽게 올려놓았고, 왼손은 배꼽 아래에 가지런히 올려놓았는데, 하늘을 향한 손바닥 위에 둥근 약합의 기물을 들고 있는 형상이다. 높이...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금호리에 있는 통일신라 때의 석불. 해평면소재지 못 미쳐 3㎞쯤 가면 오른쪽으로 매봉산 금호리 옥인마을에 석불입상 1구가 있다. 현지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본래 이 주변에는 민가가 한 동도 없었고, 다만 이 석불을 봉안했던 초가만 있었으며, 각처에서 금호리 석불입상을 봉사(奉祀)하는 신도들이 많이 모였는데, 60여 년 전부터 민가가 건축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옥관리 대둔사에 있는 조선시대 석가여래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62호로 지정된 대둔사 대웅전의 주존불인 석가여래좌상이다. 수인은 설법인을 결하였으며 나발의 두정에는 낮은 육계가 표현되었고, 양쪽 귀는 길게 늘어졌다. 양미안(兩眉眼)과 코 및 입이 정제된 원만한 상호는 목의 삼도(三道)와 잘 어울려 위엄 있어 보인다. 법의는 통견으로 양팔에 걸쳐 배면으로...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송곡리에 있는 조선시대 아미타여래상. 구미시 해평면 태조산에 있는 도리사 극락전에 주존으로 모셔진 목조 금칠(金漆) 결가부좌(結跏趺坐) 아미타여래상이다. 도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높이는 129㎝이며, 몸에 비하여 머리가 크고, 앞으로 구부린 듯한 자세이다. 수인(手印)은 양손을 무릎 위에 얹고 오른쪽 손바닥은 위로, 왼쪽 손바닥은 아래로 향하게 했다[下品中...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도중리 도리리마을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상 2기. 두 석상 모두 양식 수법이 비슷하나, 석상 중 기와집 내에 있는 하나는 관모가 없고 크기가 약간 작으며 높이는 155㎝ 정도이다. 맞은편 능선 북사면의 1기는 입상이며, 얼굴이 몸체에 비하여 크고 몸은 가는 편이다. 높이는 200㎝ 정도이다. 이 석상들은 사각형의 자연석으로 지대를 삼고 그 위에 세워진 입상인데...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금산리 동화사에 있는 통일신라 때의 석불 좌상. 해평면 금산리의 베틀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는 동화사에는 현재 근래 신축한 대웅전과 기도원, 주지실 등의 건물이 있다. 동화사 대웅전에서 북쪽으로 30m쯤 떨어진 곳에 바위와 바위가 맞물려 있는 작은 동굴이 있는데, 이 굴 안에 석불 좌상이 위치해 있다. 석조여래좌상은 높이 58㎝, 연화 대좌는 지름 46㎝,...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오로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미륵입상. 석조미륵입상은 돌로 만든 서 있는 모습의 미륵 부처라는 뜻으로 원래는 석가모니 부처인 여래불로 추정되는데, 주민들의 민간신앙에 따라 모셔지면서 미륵불이라 불리고 있고, 마을 이름도 ‘미륵댕이’라고 한다. 미륵당 석조미륵입상은 원래 장천면 오로리 고갯길에 있었으나 중앙고속도로 건설 공사로 인해 현 위치로 옮겼다. 높이 28...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 법성사에 있는 통일신라 때의 약사여래좌상. 법성사는 1970년대에 창건된 절로서 법성사 약사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약사여래 좌상에 대한 유래가 다음과 같이 전해온다. 1840년(헌종 6)경 구미시 송정동에 사는 영일정씨 정민기의 5대조 할아버지가 어느 날 꿈에 불상이 자신의 소유 전답인 원남동 781번지 일명 부처골에 나타나, 이튿날 아침 일찍이 그곳으...
-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신곡리 문수사에 있는 통일신라 때의 석조 불상. 높이는 82㎝로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잡힌 신체에 머리는 파손이 심하지만 우뚝 솟은 육계(肉髻)의 흔적이 엿보인다. 얼굴 역시 마모가 심하여 눈, 코, 입의 윤곽을 알 수 없으며, 다소 짧게 표현된 삼도(三道)의 흔적이 어렴풋이 남아 있다. 양 어깨를 타고 유려하게 흘러내린 천의(天衣)는 얇게 밀착되어 신체의...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해평리 보천사(寶泉寺)에 있는 통일신라 때의 석조여래좌상. 구미 해평리 석조여래좌상은 화강암으로 조성되었으며, 얼굴과 신체의 일부가 약간 마멸되었으나 불신과 대좌, 광배를 완전히 갖춘 전형적인 신라불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부분적으로도 특수한 양식을 보이고 있다. 육계 표현이 분명하지 않은 머리는 나발(螺髮)이고, 머리와의 경계가 불분명하며, 긴 목에는 삼도...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수다사에 있는 조선 후기 지장보살상. 무을면소재지에서 서북쪽으로 약 6㎞ 떨어진 연악산 남록에 있는 수다사에 수다사 목조지장보살좌상을 비롯한 여러 개의 불상이 있다. 중앙 지장보살은 소발(素髮)로 미간(眉間)에 백호원공(白毫圓孔)이 있고, 양미안(兩眉眼), 비양(鼻樑), 구순(口脣) 등이 정제되어 있다. 두 귀는 짧으나 목의 삼도(三道)는 원만하고 얼...
-
경상북도 구미시 시미동에 있는 마애불. 구전에 의하면 경부선 철도 부설 당시 일본인이 이곳에서 돌을 채취하다가 잘라낸 큰 바윗면에 조각하던 중 완성하지 못하고 돌아갔다고 전해지고 있지만 확실치는 않다. 중앙 본존은 높이가 약 360㎝이고, 수인은 왼손이 여원인(與願印), 오른손이 시무외인(施無畏印)을 하고 있다. 우협시보살과 좌협시보살은 각부의 마멸이 심하여 알아보기 어렵다. 바위...
-
경상북도 구미시 구평동 대원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불. 한 돌에 광배(光背)와 좌상을 같이 조각하였다. 불두는 마멸이 심한 편으로 상단이 파괴된 것을 마을 주민들이 시멘트로 접합시켜 놓았다. 육계는 높고 두툼하며 상호는 원만하나 눈, 코, 입 등에 마멸과 파손이 심한 상태이다. 어깨 폭은 좁으며 상반신은 전체적인 비례가 길게 표현되어 있다. 법의는 우견편단(右肩偏袒)이며 옷...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노상리 원각사에 있는 조선시대 목조보살상. 원래 무을면에 위치한 수다사에 안치되었던 것을 해방 이후 원각사로 옮겨와 원통전의 주불로 봉안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미타불은 지금도 수다사에 있으나, 관음보살은 행방을 알 수 없다. 원각사는 원통전 1동과 요사채 2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소규모 사찰이다. 일제강점기 때 심씨 문중의 재실이었다가 사찰로 개조했다고 한다....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원호리 보원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불좌상. 앙련의 연화 대좌 위에 조성되어 있는 석불좌상이다. 육계는 높지 않은 편이며 상호는 둥글고 단아하다. 양쪽 귀는 길게 늘어져 있으며, 목에는 삼도가 있다. 법의는 통견(通肩)이며, 결가부좌한 좌상으로 오른손은 오른쪽 무릎에 자연스레 놓았으며, 왼손은 배꼽 아래에 가지런히 올려놓았다. 석불 전체에 호분을 칠하여 고졸한...
-
경상북도 구미시 구평동 대원사에 있는 통일신라 때의 석불좌상. 사질이 많은 화강암으로 조성되었고, 두부는 없으나 결과부좌의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있으며, 통견 법의(通肩法衣)는 양팔에 걸쳐 두 무릎을 덮었고, 배꼽 앞으로부터 흘러내린 앞자락이 오른쪽 무릎 밑으로 접혔는데 전체의 의문은 유려하다. 가슴 앞에는 태조(太條)의 의대가 있고, 그 밑으로 군의의 결...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적림리 원터마을에 있는 고려시대 석불. 적림리 석불입상은 원래 산동지서(山東支署) 오른쪽 논 가운데에 하단부가 매몰된 채 서 있었는데, 적원사의 주지인 박영호에 의하면 1972년에 미신타파운동이 일어나자 마을사람들이 이 불상을 깨부수려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박영호가 불상을 자신의 집으로 모시게 되었고, 불상을 모신 뒤 참배객들이 자꾸 모여들자 적원사(積元寺...
기타 불교유물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수다사에 있는 조선 후기 석가모니 후불탱화. 수다사는 연악산 기슭에 위치하며, 830년(흥덕왕 5) 진감국사가 개창(開創)하였으며, 고려시대에는 성암사(聖岩寺)라 불렸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사명당(四溟堂) 유정(惟政, 1544~1610)에 의해 중건(重建)되면서 수다사로 개칭되었고, 현재 대웅전과 명부전이 남아 있으며, 직지사의 말사(末寺)이다. 「수...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수다사에 있는 조선 후기 동종. 종신(鍾身) 정상부에는 쌍룡이 입에 여의주를 한 개씩 물고 있으며, 두 용이 교호(交互)되는 정상에는 큼직한 여의보주가 있는데, 용통(甬筒)은 없으나 윗면 중앙에 지름 1㎝의 원공이 관통되어 용통을 대신하고 있다. 이 용뉴(龍鈕)는 용린(龍鱗)이 사실적이고, 양발과 양눈, 코, 이빨 등이 웅건하다. 어깨 부위는 1조의...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송곡리에 있었던 조선시대 진신사리. 1977년 4월 18일 세존사리 부도 복원 공사 때에 발견된 육각 사리함 속에 있었던 사리이다. 「도리사사적기」에 의하면 17세기 전반기에 냉산의 석적사지에서 그 마을에 사는 김계장(金界丈)이 얻은 사리 1과를 체안선사가 도리사의 석옹탑, 곧 세존사리 부도에 봉안한 것이라 한다. 사리는 백옥색으로서 쌀알 크기이다. 육각 사...
-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 금강사에 있는 조선 말 승려 경허가 착용했던 가사. 구미 금강사 금란가사는 경허(鏡虛, 1849~1912)선사가 해인사 장경불사(藏經佛事)의 증명으로 추대되던 1899년경에 제작되어 착용한 가사로서, 그 손제자인 금강사 창건주 철우선사에게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붉은 바탕의 견(絹)에 23조 금란가사이며 길이 115㎝, 폭 239㎝의 크기이다. 무늬는 앞면...
정려편액
-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산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충신 남사순(南思舜)의 정려편액. 남사순은 영양인(英陽人)으로 자는 사효, 호는 충의당이다. 어려서부터 천성이 충량(忠良)하고 재질이 뛰어나 어른들이 큰 인물이 될 것이라 기대했다. 장년이 되어 전력부위용양위좌부장으로서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임금을 보위할 때에 성의를 다하였다. 병자호란이 나고 호성공신(扈聖功臣)이 되었으며, 사...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밀양박씨 박진환(朴震煥)의 정려편액. 박진환(1605~1650)의 자는 양백(楊伯), 호는 남강(南岡)으로, 관직은 통덕랑(通德郞)에 이르렀다. 부친 경주부윤(慶州府尹) 박수홍(朴守弘)의 급서로 3년 시묘 후 몸이 극히 쇠약하여 46세의 일기로 사망하자 1681년(숙종 7)에 조정으로부터 정려가 내려졌다. 후에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 박성유(朴...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봉계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배숙기(裵淑綺)의 정려편액. 배숙기는 성주인(星州人)으로 1470년(성종 1) 진사를 거쳐 문과에 등제하여 홍문관저작에 이르렀다. 어릴 때부터 영리하고 성격이 온순하여 부모님의 뜻을 한 번도 어긴 일이 없었다. 부모를 편히 잘 모시는 능양(能養)을 극진히 하여 좋은 음식을 대접하고 외출하여 늦게 돌아와 양친이 잠을 자면 밖에서...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박항령(朴恒齡)의 처 양주조씨(楊州趙氏)의 정려편액. 열녀 양주조씨(1696~1724)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조태방(趙泰邦)의 딸로 밀양인(密陽人) 박항령(朴恒齡)의 아내이다. 박항령은 경주부윤 박수홍의 현손이며 박성원(朴成遠)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나 몸이 나약하고 폐질환에 시달렸다. 이에 양주조씨는 병약한 남편을 치유하여 소생시키...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이명준(李命峻)의 정려편액. 이명준은 벽진인(碧珍人)으로, 자는 성중(性中), 호는 성괴재(省愧齋)이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효행이 탁이하여 부모를 지성으로 봉양했다. 부친이 별세하자 묘소를 하루도 빠짐없이 3년 시묘하여 무릎 닿는 곳이 구덩이가 되고, 절한 곳에 풀이 말라 죽었다고 한다. 부친 별세 후 34년간 노모를 위해 약탕관...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예강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이진화(李晉華)의 정려편액. 이진화는 덕수인(德水人)으로 자는 명진(明進)이다. 율곡 이이의 아우 옥산(玉山) 이우(李瑀)의 후손으로 참의(參議) 이동로(李東魯)의 아들이다.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를 지극 정성으로 봉양하다가 모친이 사망하자 묘 옆에 여막(廬幕)을 지어 3년 동안 시묘를 하였고, 향리(鄕里)에서 추천을 하여 정려가...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무이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전좌명(田佐命) 정려편액. 전좌명은 연안인(延安人)으로, 자는 충언(忠彦), 호는 성암(性庵)이며, 중정대부삼사좌윤 전목의 증손자이다. 관직은 광흥창주부로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우의정(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右議政)’을 추증받았다. 전좌명은 1421년(세종 3)에 출생하여 1524년(중종 19)에 별세하였는데, 향년 104세였다....
-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신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열부 초계변씨 정려편액. 초계변씨는 목사 변세봉의 딸이며, 강령현감 정방준(鄭邦俊)의 처이다. 임진왜란 때 정방준은 종군을 하였고, 변씨는 신곡 문암산에 숨어 있는데, 왜적이 은신처를 알고 찾아오자 욕을 면치 못할 것이라며 치마폭에 혈서를 써 던지고, 6세 된 딸을 안은 채 언덕에서 뛰어내려 자결하여 절개를 지켰다. 이에 조정에서 정...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박래은(朴來殷)의 처 함종어씨(咸從魚氏) 정려편액. 함종어씨는 어유찬(魚有瓚)의 딸로서 밀양인(密陽人) 박래은(朴來殷)의 처이다. 박래은은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의 9세손이며 박의호(朴義浩)의 독자로 1811년(순조 11) 1월 29일 질환으로 급사하였다. 갑자기 닥친 불행에 함종어씨는 슬픔을 삼키지 못하고 슬하에 혈육이 없음을 한탄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