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0454
영어음역 nadae
영어의미역 cleaver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집필자 김동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생활용구
재질 철재|고무
용도 나무의 잔가지나 돼지고기 등을 찍어서 자를 때 쓰는 연장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나무의 잔가지나 돼지고기 등을 찍어서 자를 때 쓰는 도구.

[개설]

나대는 주로 땔감으로 사용할 잔가지나 나무숲에서 임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옆으로 뻗은 나뭇가지를 자를 때 사용한다. 또 포제(酺祭)나 추렴을 위해 돼지를 잡을 경우, 고기를 부분별로 나눌 때도 사용하고 있다.

나대는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생활용구로서 제주 지역 사람들은 휴대용으로 산에 오를 때는 언제나 갖고 다녔다. 아이들에게는 위험한 도구였으므로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에 보관하였다.

[연원 및 변천]

부엌(정지)에서 주로 사용하는 식칼은 손잡이가 있고 가벼워서 사용하기는 편리했지만 쓰는 용도는 쉽게 자를 수 있는 식재료에 한정되었다. 나대는 식칼의 쓰임을 보완한 것으로 같은 형태에 무게를 더하고, 단단한 것을 자를 때 쉽게 부서지는 손잡이를 보완하여 만들어진 생활 용구이다. 찍어서 치는 데 사용한다는 의미로 한자 ‘칠라(剆)’를 빌려 와 붙인 것으로 보인다.

[형태]

나대는 대장간에서 쇠를 두드려 만드는 것으로 ‘날’과 ‘손잡이’로 구성된다. 손잡이 부분은 힘을 가해도 쉽게 닳지 않도록 고무로 감았다. 전체적으로 무게감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었으며, 손잡이 뒷부분에 고리를 만들어 날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제주 지역에서는 오늘날에도 ‘포제’가 열리면 제관들에게 희생(犧牲)으로 올렸던 돼지고기를 나누어 준다. 제의(祭儀)가 끝날 때까지 3일간의 합숙을 마치고 돌아가는 제관들에게 나누어 줄 고기를 재빨리 분육할 때 가장 먼저 찾는 도구가 나대일 만큼, 생활에서의 쓰임이 적지 않다. 나대를 이용해 작업하며 부르던 「낭 끄치는 나대질 소리」가 전해 온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이** 우리말 '낫'의 발음은 '낟'입니다. 아마도 '나대'는 우리말 고어가 변한 것이 아닌가 추정해 봅니다.
  • 답변
  • 디지털제주시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4.09.17
d**** 성지순례왔습니다...
  • 답변
  • 디지털제주시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3.12.16
몽* 나대의 사용시기의 구분이 없는데, 재질이 철과 '고무'라고 한다면...
뭔가 좀 안 맞는 듯 하군요. 예전에는 손잡이를 어떤 걸로 감아썼을까요. 재료는 다양하겠지만서도...
2012.09.18
ㅋ* 이거 미래일기에서 유노가 휘두르던거 아니던가....ㅋㅋㅋㅋ 2012.07.06
엔****** 엔하위키 미러에서 왔다 갑니다. 나타라는 일본 손도끼 설명에 한국에도 비슷한 게 있다 링크되어 있더군요. 2012.05.13
a* 무섭게 생겼다. ㅎㄷㄷㄷㄷㄷ 2011.07.26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