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달구질소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0532
영어음역 Dalgujil Sori
영어의미역 Song of Ground Ramming
이칭/별칭 원달구 소리,펭토 소리,집터다지는 소리,봉분다지는 노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집필자 변성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의식요|노동요
기능구분 노동요와 의식요의 성격 공유
박자구조 중모리|자진모리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전해오는 묘를 다질 때나 집터를 다질 때 부르는 민요.

[개설]

「달구질소리」는 주로 장례 의식에서 불리는 의식요지만 집터를 다지거나 말뚝박는 일을 할 때도 불리는 노동요이기도 하다. 제주 지역에서는 장례 의식에서 불리는 「달구질소리」는 ‘음택 달구소리’라고 하고, 집터를 다지는 일을 할 때 부르는 노래를 ‘양택 달구소리’ 혹은 ‘원달구소리’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달구질소리」는 제주도 전역에 걸쳐 지역적으로 큰 차이 없이 전해 오고 있다. 또한 육지에서 전승되는 「달구질소리」와도 대동소이한데, 후렴 역시 ‘어허 달구’로 동일하다.

[채록/수집상황]

제주시 용담2동 김재순[남, 72]이 부른 노래가 1992년 제주도에서 발간한 『제주의 민요』에 채록되어 있다. 1993년에 나온 『제주의 민속』1[세시풍속·통과의례·전승연희]에는 「달구노래」라는 제목으로 올라와 있다.

또한 제주시 봉개동 김용빈[남, 64], 제주시 이호동 김달봉[남, 71], 제주시 건입동 김태매[여, 82]로부터 채록된 「달구소리」가 『제주도 장례의식요』에 채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달구질소리」는 선후창 형식의 민요이다. 선소리꾼이 두 마디 혹은 네 마디로 선소리를 메기면 다수의 사람들이 ‘에헤 달구’와 같은 후렴을 받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대부분의 「달구질소리」는 천년만년 살아갈 집, 곧 무덤을 잘 만들어 달라는 망자의 소망을 주로 노래한다. 무덤이 망자의 집인 셈이다. 그리고 가족·친구들과 이별하게 되었다는 이별의 아쉬움, 명당에 묘를 썼으니 후손들이 발복할 것이라는 자손 창성을 소망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그런데 아래의 사설은 장생불사하지 못하고 죽게 된 안타까움을 노래한 후, 영주십경의 아름다운 경치를 묘사하고, 이어 허망하게 죽게 된 자신의 팔자를 한탄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에헤에 달구로다/에~ 달구(이하 후렴 생략)

이싀상에 나온 사람/장생불 못여서

이질을 피수 전혀 엇네/어~ 불쌍 달구로다

성산일출 돋는 햇빗/사봉낙조가 구경이 좋지

산포조어 좋은 경치/온화날에 경치도 좋지

용연야범 좋은 경치/월야에 좋은 달밤의

초싕을 배에다 실코/오온육판 귀추와

비비둥둥 울리면서/선유던 그시절은

어디를 가서 엇엇단 말고/용연물은 벤지 않고나

귤림추색 좋은 단풍/시절단풍에 귀경도 좋지

영구춘화 좋은 경치/양출가절에 꼿귀경 가자

정방폭포 좋은 경치/시장천 벤엇네

삼방굴 그형상은/언제나 보아도 그형상이지

고수목마 목덜은/어디를 가고서 엇엇단 말고

녹담만설 백록담을/등산이나 가시믄 귀경이나 걸

영실기암 오백장군/수천년이 나도 벤엇네

에헤야 달구로다/아이고 아이고 내팔야

우대마기 찌단 홀목에/쒜주갑이 원수로고나

금시곗줄을 차단 몸이/포승줄이 원수로고나

복소구쭈 신단 발에/와라지찝신이 원수로고나

메고모 씨단 머리가/시토방석이 뒈고 말앗고나

세미로 양복 입단 몸이/마리 유치장이 원수로다

서양요리 먹단 입에/감옥 콩밥이 원수로고나

지생아씨 자단 방안도/무정귀신 뒈고 말앗고나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봉분을 다지면서 부르는 「달구질소리」는 세 번에 걸쳐 불린다. 처음에 봉분의 형태가 만들어지고 흙이 어느 정도 쌓이면 선소리꾼이 중앙에 서서 선소리를 부르고, 상두꾼들은 봉분에 둥그렇게 올라서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면서 노래의 후렴을 받는다.

어느 정도 흙을 밟아서 단단하게 다져지면 노래를 그치고 내려온다. 이 때 상주가 술과 고기 안주를 차려 달구질에 참여한 상두꾼들을 대접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두 번 더 거쳐 「달구질소리」를 마치게 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봉분이 무너지지 않게 단단하게 밟아 주는 것을 망자가 천년만년 살아갈 집을 마련해 주는 행위로 인식하고 있다.

망자의 무덤을 음택(陰宅), 생자의 집을 양택(陽宅)이라고 구분 짓는 것은 이러한 관념에 따른 것이다. 여기서 「달구질소리」가 봉분을 다지면서 불리면 ‘음택달구질소리, 살아갈 집터를 다지면서 불리면 ’양택달구 소리‘라고 구분하게 되었다.

[현황]

장례 의식이 간소화되고 장례차를 이용하여 상여를 운구하면서 장례 의식과 관련한 「행상노래」「달구질소리」 역시 온전한 형태로 전승되지 못하고 있다. 노래를 부를 줄 안다는 사람도 길게 부르지 못할 정도로 평소에 부를 기회가 없는 것이다.

그나마 「달구질소리」를 계승하고 보존하는 차원에서 노래 가사를 정리하여 익혀 두었다가 요청하면 불러 주는 몇몇이 맥을 잇고 있는 형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