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0737
한자 舞譜
영어음역 mubo
영어의미역 dance notation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순자

[정의]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제주 지역 고유의 춤 동작을 악보처럼 일정한 기호나 그림 따위로 적은 것.

[개설]

제주의 춤 동작을 기호나 그림으로 나타낸 제주춤 무보로는 현재 칠머리당굿보존회의 굿춤, 제주도립예술단의 해녀춤, 물허벅춤 등 세 가지가 있다.

[특징]

굿춤의 무보집은 연변대학교 박영란 교수가 중국 연변대학 예술학원 교재를 참고로 하여 작성하였다. 박영란은 무형문화재 제71호인 칠머리당굿보존회의 제주 굿춤을 보면서 기호로 작성한 뒤 설명을 붙였다.

청신무(배포춤·신청궤춤·본향춤), 공연무(떡춤·꽃춤·물감상춤), 영신무(질치기춤·할망춤·구할망춤), 오신무(영감놀이·산신놀이·전상놀이), 액막이(푸다시·신칼춤), 기원무(수룩춤)로 나누어 15종류의 제주 굿에서 대대로 이어온 춤사위를 기호화했다.

해녀춤과 물허벅춤의 무보집은 2005년 제주도립예술단 제27회 정기 공연에서 발표된 해녀춤과 물허벅춤을 바탕으로 안무자 양성옥의 춤사위 사진과 설명으로 작성되었다. 해녀춤과 물허벅춤 무보는 제주 무용가 고 송근우가 처음 창작해 각종 무용공연에서 선보였다. 이후 제자들에 의해서 작품으로 꾸준히 발표되었고, 스승에게서 전수받은 춤사위를 토대로 작성되었다.

이 무보집에 수록된 해녀춤과 물허벅춤은 제주인의 생활 양태에서 놀이적인 형상을 예술로써 조형적으로 동작화했고, 액자 무대의 구조에 적용되는 춤의 자세로 미적으로 동작이 구성된 춤사위이다.

[의의와 평가]

제주에서 무보집이 작성되었다는 것은 누대로 이어오던 굿춤과 전통 민속을 춤으로 형상화한 해녀춤과 물허벅춤을 전승·발전시킬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 제주 춤의 맥을 찾아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독특한 춤을 만들고 제주 춤의 세계화와 탐라 문화의 자원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