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최척경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2372
한자 崔陟卿
영어음역 Choe Cheokgye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김일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출신지 전라북도 전주
성별
생년 1120년(예종 15)연표보기
몰년 1186년(명종 16)연표보기
대표관직 탐라현령|예부시랑비서감

[정의]

고려 전기 탐라현령을 역임한 문신.

[개설]

두 차례 탐라현령으로 부임하였고, 그 첫 번째가 기록을 통해 처음 확인되는 제주의 외관(外官)이다. 평생 청백리로 이름이 높았다.

[활동사항]

완산(지금의 전라북도 전주)의 향리를 지내다가 인종 때 과거에 급제하였다. 의종 초에 경산부(지금의 경상북도 성주군) 판관으로 부임해 청백리로 명성이 높았다. 임기를 마친 뒤 개경으로 갔으나, 곧은 성격 때문에 10여 년 동안 관직에 나아가지 못하였다. 그러던 중 판이부사 최윤의(崔允儀)가 1161년(의종 15)부터 1162년(의종 16) 8월 이전에 탐라현령으로 발탁해 보냈다.

탐라현령 재임 중 농업을 장려하고, 민폐를 제거해 주민으로부터 추앙을 받다가 3년 동안의 임기를 마치고 개경으로 돌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관직의 길이 또 막혔다.

1168년(의종22)에 탐라의 첫 민란이라 할 수 있는 ‘양수(良守)의 난’이 일어났다. 고려 조정은 전라도안찰사 조동희(趙冬曦)를 탐라안무사로 보냈다. 이때 탐라민은 선정을 펼쳤던 최척경이 현령으로 오면 마땅히 군사를 거둔다는 입장을 내세웠다.

고려 정부는 탐라현령 역임 이후 관직에 나아가지 못하여 생계가 막막해 고향으로 돌아가려는 최척경을 다시 탐라현령으로 임명하였다. 그러자 최척경은 가족과 함께 탐라에 갈 것을 청하여 허락을 받았다. 이로써 최척경은 가족을 데리고 탐라에 부임한 첫 외관이 되었다.

최척경이 온다는 소식을 듣자 탐라민은 배를 내어 바다까지 나아가 영접하였으며, 섬에 도착해서는 무기를 버리고 절하면서 “공이 오니 우리 모두 다시 살아나게 되었다”고 하였다.

양수 등 민란 주동자 7명은 처형되었고, 임기 3년간 선정을 행하다가 1171년(명종 1)에 중앙으로 소환되어 첨사부주부에 임명되었다. 이후 감찰어사·좌정언지제고, 양광도안찰사와 충청도안찰사를 거쳐 병부원외랑을 지냈으며, 이어 외직으로 나아가 안북도호부부사가 되었다. 그 뒤 예부시랑·비서감을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