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제주풍토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1493
한자 濟州風土記
영어음역 Jeju Pungtogi
영어의미역 Descriptions of Jeju's Natural Features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동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풍토기|한문 수필
작가 이건
창작연도/발표연도 1628년~1635년연표보기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인 이건이 제주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지은 풍토기.

[개설]

이건(李健)[1614~1662]은 선조의 손자로서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아들이다. 1628년 인성군이 역모 혐의로 대역 처분을 받았을 때 두 형과 함께 15세의 나이로 제주도에 유배되었다. 시·서·화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하였는데, 특히 송죽(松竹)과 영모(翎毛)에 능하였다.

「제주풍토기(濟州風土記)」이건이 제주 유배 생활을 시작한 1628년부터 1635년 울진으로 이배되기 전까지 17세기 제주도의 풍토 및 상황을 고찰한 한문 수필이다. 『규창집(葵窓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제주도의 지리적 위치와 풍속의 하나인 뱀신앙, 기후, 목축 상황과 목자의 고통, 농사의 경작 상황, 귤 종류에 대한 설명, 제주도 여인의 풍속, 잠녀의 풍속과 관원들의 횡포, 신당(神堂)의 모습, 본도의 동식물, 제주 삼성혈의 신화, 김만일의 둔마(屯馬) 및 자기의 소감을 수록하고 있다. 특히 유배 생활에서 겪은 작가 자신의 정신적 상황 등을 서술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제주풍토기」는 17세기 제주도의 풍속과 상황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또한 제주도의 민속과 당시 조선 시대의 한문 수필의 형식을 잘 갖춘 작품의 하나로서 한문학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