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200595 |
---|---|
영어공식명칭 | Black-billed Magpie |
이칭/별칭 | 희작(喜鵲)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동물/동물 |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 |
집필자 | 박희천 |
경상북도 구미시의 시조(市鳥).
구미시는 희작(喜鵲)이라 하여 기쁜 소식을 알려 주는 전령인 까치를 시조로 정하여 구미시의 새로운 발전과 화합을 기약하고 있다. 까마귀과에는 전 세계에 약 100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8종이 있다. 까치속에는 3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까치 1종이 분포한다. 까치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북서부에 분포하는 텃새이다.
몸길이 46㎝, 날개길이 19~22㎝, 몸무게 200g 정도이다. 까마귀보다 조금 작은데, 꽁지가 길어서 26㎝에 이른다. 암수가 같은 빛깔이다. 머리·등·가슴·꽁지는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며, 어깨·배·허리는 흰색이다. 날개의 일부분은 흰색이고, 나머지 부분은 진한 청록색이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15세기의 문헌에는 ‘가치’로 기록되어 있다. 한자어로 작(鵲)이라 하며 희작(喜鵲)·신녀(神女)라고도 하였다. 1964년 10~12월 한국일보사 과학부가 국제조류보호협회 한국지부와 관계 학계의 후원을 얻어 2개월에 걸쳐 ‘나라 새’를 공모했는데 총 2만 2,780통의 엽서 중 9,373통이 까치를 답하여 런던에 있는 국제조류보호위원회에 한국의 나라 새로 보고된 적이 있다.
우리 민족이 까치를 각별히 좋아하고 반기는 이유는 늘 가까이 머물며 길상(吉祥)을 전해 준다는 믿음 때문이다. 또 까치는 집을 지을 때 삼살방(三煞方), 즉 액이 들어오는 방향을 피하여 문을 낸다는 속신이 있다.
『설문(說文)』에는 “까치가 그해의 세 살을 한다”라고 하였고, 『박물지(博物志)』에는 “까치집은 세 살을 등져 문을 낸다”라는 기록이 있다. 까치는 신라 초 탈해왕과 함께 처음 우리 신화에 등장한 뒤 ‘사랑의 새’로, 때로는 ‘보은의 새’로 우리 민족의 정서와 함께 하고 있다.
까치는 텃새로 어디에든 서식하지만 높은 산에는 드물다. 대개 단독으로 생활한다. 대체로 2~3월에 암수가 함께 나뭇가지와 약간의 흙으로 높이 4~20m의 교목 위 또는 전신주나 송전선에 둥지를 튼다. 산란기는 2~5월이며, 한배에 5~6개의 알을 낳고 연 1회 번식한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설치류, 파충류, 양서류, 작은 물고기 등과 곤충을 잡아먹으며 농작물이나 사과, 복숭아, 포도 등도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