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200687
영어의미역 Dolmens
이칭/별칭 지석묘(支石墓)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종교/유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박보현

[정의]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

[개설]

지석묘라고 불리기도 하는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형태이다. 고인돌은 하천변이나 하천을 끼고 있는 구릉지대에 입지하고 있고, 마치 뚜껑돌처럼 생긴 상석(上石)과 이 상석을 받치는 고임돌[支石]로 구성되어 있다. 고인돌은 연구자에 따라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되지만 겉모습을 기준으로 하면 3종류로 나뉜다. 고임돌을 4장의 널돌[板石]로 짜서 지상에 고인 것을 탁자식 또는 북방식이라 하며, 고임돌을 괴석으로 한 것은 바둑판식·기반식(基盤式)·남방식이라 하며, 고임돌이 없는 것은 무지석식(無支石式) 또는 개석식(蓋石式)이라 한다.

탁자식은 매장 주체부가 이미 지상에 드러나 있어서 석관을 하부 구조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반식도 지역은 다르지만 발굴된 결과를 보면 하부 구조는 판석 또는 천석이라는 석재의 차이나 관 주위로의 보강석의 유무 등 여러 면에서 차이는 있지만 주검을 안치하는 방법은 석관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과거 상석 중심의 발굴에서 대구 대봉동 4구Ⅰ 고인돌은 상석 아래에 1기의 석관을 중심으로 4기의 석관이 卍 꼴로 배치되고 적석 시설도 확인되는 묘표식(墓標式) 고인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최근 전면 발굴로 조사 범위가 확대되면서 상석 주변에 무덤의 범위를 석단(石壇)으로 구획하는 구획묘(區劃墓)를 새롭게 확인하게 되었다. 동시에 고인돌이 밀집해 있는 지역의 주변에는 비슷한 시기에 해당되는 주거지도 함께 분포하고 있어서 삶과 죽음이 공존한 모습을 알려준다.

[연대]

고인돌의 발생과 소멸 시기에 대해서도 연구자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대체로 동반 유물에 근거하여 살펴보면, 마제석검·돌화살촉·홍도가 공통적으로 출토되고 있으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슴베에 홈이 파인 요녕식 동검을 동반하는 유구도 있어서 청동기시대의 초기부터 고인돌이 만들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시기는 기원전 1,000년 전후로 추측하고 있다. 하한은 추정할 수 있는 자료가 없다. 다만 고인돌에서 현재까지 한국식 동검이나 흑도장경호(黑陶長頸壺)를 동반한 예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한국식 동검이 등장하면서 고인돌은 서서히 소멸된 것으로 판단되며, 그 시기는 대체로 기원전 6~5세기로 추정되고 있다.

[현황]

구미시의 『문화유적분포지도』(2002년)에 의하면, 구미시에 분포하고 있는 고인돌군은 모두 25개소에 이른다. 교리 고인돌군, 구평동 고인돌군 |, 구평동 고인돌군Ⅱ, 궁기리 고인돌, 낙산리 고인돌, 다식리 고인돌군, 대원리 고인돌, 봉남리 고인돌군, 생곡리 고인돌군Ⅰ, 생곡리 고인돌군Ⅱ, 선산 낙산리 고분군, 소재리 고인돌군, 신동 고인돌, 신림리 고인돌군Ⅰ, 신림리 고인돌군Ⅱ, 원호리 추정 고인돌, 월호리 고인돌, 지산동 고인돌군, 포상리 고인돌군Ⅰ, 포상리 고인돌군Ⅱ, 덕촌리 고인돌군Ⅰ, 덕촌리 고인돌군Ⅱ, 덕촌리 고인돌군Ⅲ, 덕촌리 고인돌군Ⅳ 등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