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201961 |
---|---|
한자 | 大屯寺性波大師碑 |
영어의미역 | Stupa of the Great Buddhist Priest Seongpa of Daedunsa Temple |
이칭/별칭 | 대둔사 탑비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옥관리 1090[산촌옥관로 691-78]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희돈 |
성격 | 탑비 |
---|---|
양식 | 비석 |
건립시기/일시 | 1812년![]() |
관련인물 | 심능태 |
재질 | 석재 |
높이 | 176.5㎝ |
너비 | 70cm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옥관리 1090[산촌옥관로 691-78]![]() |
소유자 | 대둔사 |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옥관리 대둔사에 있는 조선 후기 탑비.
옥성면 옥관리 복우산 동쪽 중턱에 있는 대둔사 경내에 위치한다. 중심 전각으로 올라가기 전 왼쪽 편에 있다.
자연석을 하대로 삼아 1매석의 비신이 있고, 그 위에 방형의 덮개돌이 조각되었는데 비신과 덮개돌은 한 돌이다. 덮개돌 앞면에는 2엽의 연봉문이 좌우로 양각되었다. 비의 높이는 176㎝, 비신 높이 135㎝, 폭 63.5㎝, 두께 28.2㎝이다.
비신에는 상부에 횡서로 ‘성파대사비명(性波大師碑銘)’이라 새기고, 초두에 ‘유명조선성파대사비명병서(有明朝鮮性波大師碑銘倂書)’라 종서하고 전 비문을 종으로 음각하였다.
대둔사 경내 왼쪽으로 나 있는 포장 도로를 따라 조금만 내려가면 오른쪽에 별도로 마련된 작은 공간에 대둔사 성파대사비(性波大師碑)와 부도 2기가 부도골에 모여 있다.
진사 심능태(沈能泰)가 비문을 지었는데, ‘숭정사임신칠월(崇禎四壬申七月)’이라는 기록이 있다. 비문으로 보아 1812년(순조 12)에 세워진 것으로 당대의 가작(佳作)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