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 부도 2기. 무을면 소재지에서 서북쪽으로 약 6㎞ 정도 되는 연악산 남록에 수다사 가 위치하며, 이곳에서 동편 200m쯤 되는 산록에 유존한다. 두 부도는 모두 석...수정당덕정대사'라고 부도명이 음각되어 있어 주인이 누구인지 알 수 있다. 두 부도는 수다사 에서 200m 정도 떨어진, 부도암지로 전하는 곳에 남아 있다. 조성 연대는 2기...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수다사 에 있는 조선 전기 불전. 수다사 명부전 은 지옥에 떨어진 중생을 구제한다는 지장보살을 봉안한 불전이다. 1979년 12월 18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무을면 산송리 ...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수다사 에 있는 조선 후기 대웅전. 수다사 는 무을면 상송리 연악산 기슭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 의 말사이다. 수다사 의 현존 당우로는 대웅전 과 명부전, 요사채 등이 있다. 수다사 는 신라 문성왕 (839~857) 때 진감국사(眞鑑國師) ...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수다사 에 있는 조선 후기 동종. 종신(鍾身) 정상부에는 쌍룡이 입에 여의주를 한 개씩 물고 있으며, 두 용이 교호(交互)되는 정상에는 큼...과 유곽 사이에 장방형 대를 만들었는데, 그 안에 종(縱)으로 명문이 양각되어 있다. 수다사 대웅전 내에 위치한다. 대웅전 불단 오른쪽 아래에 있으며, 수다사 에 있는 ...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수다사 에 있는 조선 후기 지장보살상. 무을면소재지에서 서북쪽으로 약 6㎞ 떨어진 연악산 남록에 있는 수다사 에 수다사 목조지장보살좌상 을 비롯한 여러 개의 불상이 있다. 중앙 지장보살은 소발(素髮)로 미간(眉間)에 백호원공(白毫圓孔)이 있고, 양미안(兩眉眼), 비양(鼻樑), 구순(口脣) 등이 정제되어 ...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수다사 에 있는 조선 후기 석가모니 후불탱화. 수다사 는 연악산 기슭에 위치하며, 830년(흥덕왕 5) 진감국사 가 개창(開創)하였으며, 고려시대에는 성암사(聖岩寺) 라 불렸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사명당(四溟堂) 유정(惟政, 1544~1610) 에 의해 중건(重建)되면서 수다사 로 개칭되었...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수다사 에 있는 조선 후기 아미타여래좌상. 연악산(淵岳山) 수다사 는 830년(흥덕왕 5) 진감선사 에 의하여 개창되었다. 그 후 976년(경종 1) 화재로 인하여 건물이 소실되고 극락전과 청천료만 남았다. 다시 1185년(명종 15) 각원대사 에 의하여 대대적인 불사가 이루어졌다. 그 후 1273년...
-
... 월파정 · 운경정 · 군자정 · 낙서정 · 공북정 등이 있다. 불교 또한 신라시대 이래로 수많은 사찰이 조성되어 융성하였다. 대표적 사찰에는 도리사 · 수다사 · 옥림사 · 진남사 · 대둔사 · 미봉사 등이 있다. 향교로는 인동향교 · 선산향교 등이 있다. 고려 말에 창건된 인동향교 는 임진왜란 중에 소...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노상리 원각사 에 있는 조선시대 목조보살상. 원래 무을면 에 위치한 수다사 에 안치되었던 것을 해방 이후 원각사 로 옮겨와 원통전의 주불로 봉안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미타불은 지금도 수다사 에 있으나, 관음보살은 행방을 알 수 없다. 원각사 는 원통전 1동과 요사채 2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소규모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