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탐라별곡」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2418
한자 耽羅別曲
영어음역 Tamna Byeolgok
영어의미역 Song of Tamna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허남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가사|국문 가사
작가 정언유
창작연도/발표연도 1749년~1750년/사후 필사본으로 전함연표보기

[정의]

조선 후기 제주 목사 정언유가 제주의 삶과 풍물을 담아 지은 기행 가사(紀行歌辭).

[개설]

「탐라별곡」정언유가 영해부사를 끝내고 1749년(영조 25)부터 2년 동안 제주 목사로 있으면서 제주의 자연과 제주인의 삶을 담아 지은 국문 가사이다. 조선의 사대부들이 자연 예찬과 연군의 정을 표현하던 전기 가사의 전통을 잇되, 제주의 역사적 삶과 백성들의 현실적 삶을 보탠 조선 후기의 가사이다. 일반 기행 가사와는 다른 독특한 양식을 띠고 있다.

[구성]

4권 2책으로 된 『우헌집(迂軒集)』 부록에 수록되어 있는 「탐라별곡」은 총 120행 240구로 이루어진 가사 작품으로 필사본이다. 윤석창(尹錫昌) 소장의 『우헌집』 부록에 수록된 「탐라별곡」 외에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에 두루마리로 적힌 「탐라별곡」이 있고, 영월 책박물관에도 1권의 필사본이 소장되어 있다.

[내용]

「탐라별곡」에서는 먼저 탐라 옛 도업을 언급하면서 정언유가 탐라에 부임하게 된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제주에 부임한 정언유는 백성의 간고한 삶을 보면서 비탄에 빠지기도 하지만, 곧 백성 구제의 뜻을 품게 되었음을 설파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주 역사와 풍물을 서술하면서 특히 귤과 말이 으뜸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정언유한라산의 선경 속에 들어 신선의 초탈한 경지를 노래한다.

작품의 후반에는 제주 전역을 순회한 후 방비가 잘 되어 있다는 것과 방선문을 찾아 놀이를 벌이고 시름을 잊는 풍류의 대목이 등장한다. 놀이에서 돌아온 정언유는 북궐의 왕을 생각하며 목민관으로서 백성을 잘 다스릴 것을 다짐하는 것으로 작품을 마무리한다.

[의의와 평가]

대부분의 사대부 기행 가사의 전개 양식을 따라 여행의 동기, 여정의 이모저모, 술자리와 풍류, 신선경에 들었다가 깨어 연군의 정으로 마무리하는 형식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백성들이 척박한 땅에서 힘들게 노동하고 세금과 진상품에 시달리는 사정을 밝히면서, 이를 구제해야 한다는 목민관의 사명을 피력하고 있다. 이는 가사로서 실학적·현실주의적 세계관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허** 작자의 이름을 언급한 부분 중에 <내용>에서 정언유가 '정유언'으로 잘못 기재됨. 오류를 바꿔 주시길.
  • 답변
  • 디지털제주문회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적하신 사항은 수정완료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15.03.23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