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754
한자 密山君墓-神道碑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무봉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덕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1585년 - 밀산군 이찬 출생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1658년 - 밀산군 이찬 사망
조성 시기/일시 1674년연표보기 - 밀산군 묘 조성
조성 시기/일시 1712년연표보기 - 밀산군 묘 신도비 건립
현 소재지 밀산군 묘 및 신도비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무봉리 향적산
성격 묘|신도비
양식 원형 봉분 합장묘
관련 인물 밀산군(密山君) 이찬(李澯)[1585~1658]|전의 이씨(全義 李氏)
봉분 크기/묘역 면적 봉분 직경 580㎝|높이 160㎝, 묘역 10.82×8.9m

[정의]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무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왕족 밀산군 이찬의 묘와 신도비.

[개설]

밀산군(密山君) 이찬(李澯)[1585~1658]의 할아버지는 선조의 백형(伯兄)인 하원군(河源君) 이정(李鋥)이고, 아버지는 당은군(唐恩君) 이인령(李引㱓)이며, 어머니는 판서 박계현(朴啓賢)의 딸이다. 처음에는 밀산부정(密山副正)에 제수되었고, 정의(正義)의 품계에 올라 군의 봉호를 받았다. 관직은 도총관과 사옹원 제조에 이르렀다.

[위치]

포천시 소흘읍 무봉리 향적산 남쪽의 8부 능선에 위치하고 있다.

[형태]

1674년 조성된 묘역은 10.82×8.9m의 대지에 봉분은 직경 580㎝, 높이 160㎝이다. 봉분의 주위에 사성(莎城)이 둘러져 있고, 앞에는 묘비와 혼유석·상석·향로석·망주석·문인석 등이 배치되어 있다. 신도비는 묘역의 아래로 약 500m 떨어진 곳에 세워져 있다. 묘비는 봉분 앞 왼쪽에 있으며, 비좌와 비신만 갖추고 있다. 묘비는 화강암으로 전체 높이는 159㎝이고, 비좌는 94×62×42㎝ 규모이다. 비신은 117×49×17㎝의 규모이다. 비문은 자경(字徑) 13㎝의 크기로 앞면에 세로로 2행이 새겨져 있다.

신도비는 비좌·비신·옥개석을 갖추고 있으며, 전체 높이는 247㎝이다. 비좌의 규모는 103×152×50㎝의 방형이다. 옥개석은 154×105×47㎝의 규모이고, 팔작지붕의 형태로 기와골을 표현하였으며, 처마 끝의 반전이 심하다. 비좌 상면에 85×47㎝의 홈을 마련하고, 83×190×45㎝의 비신을 올려놓았다. 비문의 자경은 3㎝이다.

봉분 앞에 있는 혼유석의 규모는 92×43×12㎝이고, 장방형이다. 상석은 고석[북석]을 두지 않고 장방형 석재 2매를 포개어 놓았다. 규모는 상면이 157×92×33㎝이고, 하면은 154×48×33㎝이다. 또한 상석의 양쪽 옆으로 계단석이 마련되어 있고, 전면에 31×30×52㎝ 규모의 향로석이 있다. 향로석은 상과 다리 사이에 용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망주석은 높이 157㎝이고, 상부에는 연꽃 봉오리 모양의 보주가 있고, 보주 아래에는 연주문이 돌아가고 있다. 망주석의 1면에는 용 문양이 양각되어 있다. 문인석의 규모는 높이 151㎝이고, 좌우 동일한 양식으로 이루어졌다.

[금석문]

비문은 세로로 오른쪽부터 ‘현부인 전의 이씨 부좌 승헌대부 밀산군 지묘(縣夫人全義李氏祔左 承憲大夫密山君之墓)’라고 음각되어 있다. 신도비는 4면 비로 숭정 기원 후 재 임진(崇禎紀元後再壬辰)인 1712년(숙종 38)에 건립하였다. 비문은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글씨는 송준길(宋浚吉)이 썼으며, 외손자인 대사헌 조태동(趙泰東)이 전(篆)을 썼다.

[의의와 평가]

밀산군 묘 및 신도비는 묘역에 봉분을 비롯하여 혼유석, 상석, 향로석, 망주석, 문인석, 묘비, 신도비 등을 모두 갖추고 있어서 이 시기의 왕족의 묘역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