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관영평금수정지창옥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1867
한자 觀永平金水亭至蒼玉屛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흥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819년 - 「관영평금수정지창옥병」 저자 김평묵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891년 - 「관영평금수정지창옥병」 저자 김평묵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906년 - 「관영평금수정지창옥병」을 수록한 『중암집』 간행
배경 지역 금수정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오가리 546
배경 지역 창옥병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주원리
성격 한시
작가 김평묵

[정의]

조선 후기 유학자 김평묵이 포천의 금수정창옥병을 소재로 하여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개설]

「관영평금수정지창옥병(觀永平金水亭至蒼玉屛)」[영평의 금수정을 보고 창옥병에 이르러서]은 포천 출신의 유학자(儒學者) 중암(重庵) 김평묵(金平黙)[1819~1891]이 영평 8경 가운데 두 곳인 금수정(金水亭)창옥병(蒼玉屛)을 보고 지은 한시이다. 「관영평금수정지창옥병」은 『중암집(重菴集)』 권(卷) 1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단애금수동음정(丹崖錦樹洞陰亭)[붉은 언덕 금수동에 음정이 있는데]

추수장천일색청(秋水長天一色靑)[가을 물이 가는 곳에 창천이 일색이라]

적막조대인이원(寂寞釣臺人已遠)[적막한 낚시터 사람 자취 끊어지고]

심상곡조객감청(尋常谷鳥客堪聽)[깊은 골짝 새 소리는 객회(客懷)에 닫는구나]

장란공대부운벽(障瀾功大浮雲壁)[장란에 큰 공으로 부운벽을 이루고]

발지기고창옥병(拔地氣高蒼玉屛)[땅 기운이 올라와서 창옥병을 만들었구나]

명일장주개강좌(明日漳州開講座)[내일은 장주(漳州)[주자가 장주 태수로 있을 때 학문을 전파하였다고 함]에서 강좌를 듣고]

무이기국경방형(武夷杞菊更芳馨)[무이산(武夷山)[주자가 무이산에서 제자를 가르침] 구기 국화 향기를 찾아보자]

[의의와 평가]

「관영평금수정지창옥병」은 수많은 시인과 묵객들이 노래한 영평 8경 가운데 두 곳을 포천에서 나고 자란 김평묵이 읊은 한시이다. 포천과 김평묵의 친연성을 나타내 주는 자료이며, 주자를 흠모하는 유학자로서의 김평묵의 모습을 보여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