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0777
한자 屛厓精舍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병암리 78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경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11년경연표보기 - 병애 정사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43년 - 병애 정사 이건
현 소재지 병애 정사 -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병암리 지도보기
성격 정사
양식 계정 : 3량가, 겹처마, 팔작기와집, 소로수장|침산재 : 3량가, 홑처마, 맞배기와집
정면 칸수 계정 : 3칸|침산재 : 3칸
측면 칸수 계정 : 1.5칸|침산재 : 1칸
소유자 창녕조씨 병애공파 종중
관리자 조영주[010-8578-4393]
문화재 지정 번호 비지정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병암리에 있는 병애(屛厓) 조선장(曹善長)이 강학하던 강학지소.

[개설]

병애 정사는 조선 후기 유학자인 조선장[1661~1726]이 후학들에게 강학하던 곳에 건립한 정사건물이다. 조선장의 자는 인백(仁伯), 호는 병애(屛厓),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조희익(趙希益)의 후손으로 경북 영천(永川) 출신이다.

[위치]

영천시에서 금호읍으로 들어선 다음 금호읍사무소를 지난 후 북안·대창 방면 지방도 909호선을 따라 3.3㎞ 정도 진행하면 오계리가 나온다. 오계마을을 지나 1㎞가량 더 진행하면 경부 고속 도로를 아래로 지나게 되는데 고속 도로를 지난 후 두 번째 삼거리에서 좌회전하면 병암리로 가는 공안길에 들어서게 된다. 이 길을 따라 700m가량 진행하면 병암리 초입에 다다르고 마을 우측을 바라보면 야트막한 마을 앞산이 보이는데 이 산 끝자락 저지대에 병애 정사가 있다.

[변천]

병애 정사는 1711년경 초창된 후 1943년 현재의 자리로 이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형태]

병애 정사는 누형식의 계정(階庭)과 침산재, 사주 대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문을 들어서면 계정이 북동쪽을 바라보고 후면에 자리하고 계정 좌측 전면으로 침산재가 동남쪽을 바라보게 배치되어 있다.

계정 평면은 정면 3칸, 측면 1.5칸 규모의 5량가 소로수장집으로 대청을 가운데 두고 좌·우로 온돌방 1칸씩이 덧붙은 형태를 기본으로 방과 대청 전면에는 퇴칸을 두고 있는 형식이다. 퇴칸 전면과 좌·우 측면으로는 계자각 난간을 설치하였는데 출입은 좌·우 측면으로 하도록 했다.

계정 배면에는 3칸 전면에 걸쳐 쪽마루를 덧달아 두었고 대청 앞면과 뒷면에는 창호나 벽을 따로 설치하지 않아 개방감을 가질 수 있도록 했는데 계정만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구조는 경사진 대지에 외벌대 기단을 마련한 후 자연석 초석을 놓은 다음 원기둥과 방형 기둥을 올렸는데 툇기둥 아래에는 누하주를 설치했다. 기둥과 기둥은 창방으로 건너지르고 장혀와 도리를 올린 후 창방과 도리 사이에는 소로를 설치하여 지붕에서 내려오는 힘을 골고루 분산할 수 있도록 하였고 지붕처마는 겹처마로 구성했다. 창호는 청방간과 방 후면에는 외짝여닫이문을 달았고 방 전면으로만 쌍여닫이띠살창을 설치하고 있다.

침산재는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기와집으로 가구는 3량가 홑처마집이다. 평면은 좌측에서부터 방-방-마루의 순서로 구성했으며 방 2칸 전면에는 쪽마루를 설치했다. 창호는 방 전면과 측면, 배면에는 외짝띠살창호를 각각 달았고 마루 측면에는 두짝여닫이창을 배면에는 외짝여닫이 창을 달았다.

[현황]

병애 정사는 계정과 침산재 일부분에서 변경된 곳이 확인되나 이건(移建) 후 크게 변한 부분은 확인할 수 없다. 침산재 외부 회벽 일부분과 치받이 흙이 탈락된 부분이 있어 아쉬운 감이 있다.

[의의와 평가]

병애 정사는 마을 앞산 끝자락에서 대창천으로 합류하는 개천이 앞을 흐르고 있으며 병암마을을 바라보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병애정사는 일반적인 정사가 자리한 곳과는 다르게 저지대에 있어 조망이 좋지 못하지만 직접 정사에 들어서 주변풍광을 바라보면 정사가 자리하기에 아주 좋은 자리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병암마을에는 조선장의 후손들이 가까운 곳에 살고 있어 정사에 대한 관리가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지만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