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200269 |
---|---|
한자 | 桃開面 |
영어음역 | Dogae-m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홍균 |
경상북도 구미시에 속하는 법정면.
신라불교 초전지로서 도를 열었으므로 도개면(桃開面)이라 하였다. 길 도(道)자를 쓰지 않고 복숭아 도(桃)자를 쓴 이유는 길 도(道)자를 쓰는 도개리가 있기 때문에 중복을 피하기 위함이다. 또한 구미시에 있는 신라 최초의 가람이 도리사(桃李寺)이므로 복숭아 도(桃)와 길 도(道)를 같은 뜻으로 보아 도개면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신곡방과 도개방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곡방과 도개방을 통합하여 도개면이 되었다. 1987년 1월 1일 청산리를 의성군 구천면에 편입하였고, 의성군 단밀면 용산리를 도개면에 편입하였다.
팔공산 지맥인 냉산·청화산·장자봉·만경산이 동북으로 도개면을 둘러싸고 있고, 서남쪽으로 낙동강이 흐른다. 서쪽으로 낙동강을 끼고 옥성면, 북쪽으로 의성군 단밀면, 동쪽으로 의성군 구천면과 군위군 소보면, 남쪽으로 해평면과 접한다. 연안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산악 지대이다.
구미시 최북단에 있는 지역으로, 2011년 9월 30일 현재 면적은 60.93㎢이며 총 1,206가구에 2,617명[남 1,309명, 여 1,308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의성군 안계면, 상주시, 대구광역시, 김천시로 통하는 국도가 지난다. 가산리, 동산리, 월림리, 신곡리, 궁기리, 신림리, 도개리, 다곡리, 용산리 등 아홉 개 법정리를 관할한다.
공단 지역이면서도 상수원이기 때문에 공장이 없고 유입 인구도 없어 다른 지역과 같이 순수 농촌 지역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농암 김주(金澍), 병암 김응기(金應箕, 1457~1519) 등 많은 인재를 배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