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200903 |
---|---|
한자 | 柳雲龍善政碑 |
영어의미역 | Monumental Stone of Yu Unyong |
이칭/별칭 | 현감유후운용선정비(縣監柳侯雲龍善政碑)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409-3[수출대로 335]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박재관 |
성격 | 금석각류|선정비 |
---|---|
양식 | 일반형 비석 |
건립시기/일시 | 1590년![]() |
관련인물 | 유운용(柳雲龍) |
재질 | 화강암 |
높이 | 255㎝ |
너비 | 84㎝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409-3[수출대로 335]![]()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조선 시대 인물 유운용의 선정비.
유운용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응견(應見), 호는 겸암(謙菴)이다. 임진왜란 때 영의정으로 국난 극복에 공을 세운 유성룡(柳成龍)의 형으로 퇴계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릴 때부터 총명하여 모든 경사(經史)를 통독함으로써 사문의 촉망을 받았다.
1572년(선조 5) 친명(親命)으로 음사(蔭仕)를 받아 전함사별좌(典艦司別坐)가 된 이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생인 영의정 유성룡이 선조에게 유운용을 해직시켜 모친을 구출하도록 해달라 읍소하자 이 건의가 받아들여져 어머니를 비롯한 온 가족이 모두 무사하게 되었다. 이에 사람들이 유운용의 효심을 칭찬하였다. 유운용은 군국기무(軍國機務)에 관한 소를 올려 선조로부터 인정을 받아 조의(朝議)에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후에 문경(文敬)의 시호를 받기도 하였다.
유운용은 1585년(선조 18)에 인동현감으로 부임하여 1590년(선조 23)에 이임하였다. 그는 인동현감으로 재임하면서 백성들에 선정을 베풀었을 뿐만 아니라 야은 길재와 관련하여 오산서원과 지주중류비를 세우는 등 특히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백성들이 이를 기려 선정비를 세웠다.
귀부에 높이 147㎝, 너비 84㎝, 두께 22㎝의 비신을 세우고 그 위에 하엽(荷葉)을 얹은 형태다. 하엽은 높이 67㎝, 너비 110㎝, 두께 34㎝이며, 귀부는 높이 41㎝, 너비 165㎝, 두께 190㎝이다.
비의 앞면에는 ‘현감류후운룡선정비(縣監柳侯雲龍善政碑)’라 새겨져 있고, ‘황명만력십팔년구월(皇明萬曆十八年九月)’이라 기록되어 있어 이 비석이 1590년(선조 23)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입구에 인동의 각지에 산재해 있던 역대 현감과 부사의 선정비, 불망비, 거사비 등의 비석을 옮겨와 정돈해 놓은 곳에 세워져 있다.
인동향교 입구 앞쪽 비석군을 찾는 사람들에게 올바른 공직자 상을 생각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