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500497 |
---|---|
한자 | 淸凉里-3 |
영어공식명칭 | Dolmens in Cheongryang-ri No.3 |
이칭/별칭 | 청량리 고인돌군3,청량리 지석묘군3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1034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이종철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6년~2007년 - 청량리 고인돌 떼3 원광 대학교 마한·백제 문화 연구소에서 지표 조사 시작·종료 |
---|---|
소재지 | 청량리 고인돌 떼3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1034 |
성격 | 고인돌 떼 |
양식 | 기반식 고인돌 |
크기(높이,지름) | 260㎝[장축]|205㎝[단축]|70㎝[높이] |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떼.
[위치]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무주 반디랜드에서 마을 농로를 따라 서남쪽으로 650m 정도 들어가면 원청량 마을 또는 원청 마을이 나온다. 마을 회관에서 골짜기 쪽으로 100m쯤 더 들어가면 청량리 고인돌 떼3이 자리하고 있는데, 이곳은 상대적으로 좁은 곡간 평지에 해당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청량리 고인돌 떼3에 대한 정식 발굴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원광 대학교 마한·백제 문화 연구소에 의해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추진된 『문화 유적 분포 지도-무주군』 용역 사업 중 지표 조사를 통해 새롭게 확인된 유적이다. 고인돌의 덮개돌 하부에 3개의 지석이 존재하고 있어 기반식 고인돌임을 알 수 있으나, 지표 조사에서 고인돌과 관련되는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형태]
지석을 갖춘 기반식 고인돌로서 덮개돌의 장축은 남-북 방향을 이루고, 평면 형태는 장방형을 띠고 있다. 규모는 장축 260㎝, 단축 205㎝, 높이 70㎝이다. 여러 기의 바윗돌이 밀집해 있어 온전한 고인돌인지 분명하지 않다.
[현황]
청량리 고인돌 떼3은 기반식 고인돌의 형태를 유지하고는 있지만 여러 기의 바윗돌들과 밀집해 있어 본래의 위치에서 이동되었을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양상은 청량리 고인돌 떼4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무주군 설천면 지역은 기반식과 뚜껑돌[개석]식 고인돌이 혼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세부적인 성격은 정식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5기 이상의 괴석들이 길가에 몰려 있다.
[의의와 평가]
무주군에 분포하는 고인돌은 대부분 하천 변의 충적 대지와 구릉 비탈면에 입지하는 반면, 청량리 고인돌 떼3은 상대적으로 협소한 곡간 평지에 조성되어 있다.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지역의 고인돌 떼와 함께 고인돌의 입지 비교를 위한 좋은 자료로 판단된다. 또한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지역에 존재하는 고인돌 떼와 연대, 성격, 마을 등에서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