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적성지』[천·지·속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623
한자 赤城誌[天·地·續誌]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문미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57년연표보기 - 『적성지』[천·지] 간행
간행 시기/일시 1967년연표보기 - 『적성지』[속지] 간행
소장처 전북 대학교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금암동 663]
소장처 전북 대학교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금암동 663]
소장처 무주 문화원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최북로 15[당산리 918-3]지도보기
성격 향토지
간행자 무주 군수
표제 적성지[천·지·속지]

[정의]

1957년과 1967년에 재간된 전라북도 무주군의 읍지.

[편찬/간행 경위]

1896년 당시 무주 군수 조병유(趙秉瑜)의 발의로 편찬을 시작하여, 후임 군수인 민술호(閔述鎬)의 감독 아래 1898년 무주 읍지인 『적성지(赤城誌)』를 간행하였다. 이후 세월이 흘러 자료가 거의 다 사라지고 얼마 남지 않게 되자 무주군의 유일한 사료인 『적성지』를 보전하기 위하여 1957년 지방의 유림들이 『적성지』를 재간(再刊)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때에 구지(舊誌)인 『적성지』와 함께 속지(續誌)를 신간하게 되는데, 재간한 구지는 『적성지』[천(天)], 신간한 속지는 『적성지』[지(地)]라고 명명하였다. 『적성지』[속지(續誌)]는 무주군의 훌륭한 역사가 문헌으로 고증하지 않으면 사라질까 두려워 이미 발행된 『적성지』[천]과 『적성지』[지]의 뒤를 이어 1967년에 간행하였다.

[형태]

크기는 296㎜×216㎜, 1면 12행에 한 행의 자수는 20자이다. 권수는 『적성지』[천]이 석인본(石印本) 5권 1책, 『적성지』[지]가 석인본 3권 1책, 『적성지』[속지]가 4권 1책이다.

[구성/내용]

『적성지』[천]의 책머리에 1897년(고종 34)에 덕은(德殷) 송병선(宋秉璿)이 쓴 「적성지 구서(赤城誌舊序)」와 1898년에 무주 군수 민술호와 돈녕부 도정 하재만(河在晩)이 쓴 서문을 붙이고, 「무주 관부 폭원 총도」도 함께 수록하였다. 5권 1책이다. 1권에는 연혁(沿革), 군명(郡名), 강계(疆界), 방리(坊里), 결총(結總), 진공(進貢), 조적(糶糴), 전대동(田大同), 선무(選武), 봉름(俸稟), 장시(場市), 교량(橋梁), 제언(堤堰), 형승(形勝), 풍속(風俗), 산천(山川), 토산(土産) 등 무주 도호부(茂朱都護府)의 행정 전반과 채팽윤(蔡彭胤)의 「와선당기(臥仙堂記)」, 이철재(李喆在)의 「와선당 중건기(臥仙堂重建記)」, 「한풍루(寒風樓)」, 임제원(林濟遠)의 「한풍루 중수기(寒風樓重修記)」 등 관아에 속한 누정(樓亭)의 기문(記文)을 수록하였다.

2권에는 학교와 원우(院宇), 시술재(時術齋)로 구분하여, 학교에는 김몽신(金夢臣)의 「구향교 이건 상량문(舊鄕校移建上樑文)」, 김한방(金漢房)의 「구향교 이건기(舊鄕校移建記)」, 하일홍(河一洪)의 「대성전 상량문(大成殿上樑文)」, 박원지(朴元之)의 「향음주기(鄕飮酒記)」 등을 수록하고, 원우에는 정씨 사우(程氏祠宇), 주계 서원(朱溪書院), 죽계 서원(竹溪書院), 도산 서원(道山書院) 등의 설립 경위, 상량문, 기(記), 봉안문(奉安文) 등을 수록하였으며, 시술재에는 고을 학교인 시술재의 설립 경위, 기, 상량문, 제영(題詠) 등을 수록하였다.

3권은 관안(官案)에 무주 지역에 부임하였던 관리들의 명단을 시대 순으로 기록하였고, 과환(科宦)에 무주 지역 선비로 과거에 합격한 인물을 문과(文科), 음사(陰仕), 무과(武科), 생진(生進) 순으로 수록하였다. 4권은 무주의 인물들을 우거, 학행, 충신, 효자, 열녀, 효부, 유일(遺逸) 등으로 나누어, 각 분야에 해당하는 인물들을 기록하고, 정려기(旌閭記)와 비기(碑記)를 뒤에 수록하였다. 5권은 적상산성(赤裳山城)과 관련된 공문서와 책판, 무주를 다녀간 개인의 문장을 수록하였는데, 택당(澤堂) 이식(李植)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갈천(葛川) 임훈(林薰), 미수(眉叟) 허목(許穆), 명재(明齋) 윤증(尹拯) 등 당대에 이름난 대학자들의 시문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권말에 돈녕부 도정 박상호(朴祥浩)가 쓴 발문을 붙였다.

『적성지』[천]의 체제는 구본(舊本)을 따르려고 하였지만 구본이 소략하여 남원 읍지인 『용성지(龍城誌)』를 전례로 삼았다고 한다. 구본에 실려 있던 내용을 다시 실을 때에는 조목 아래 구지(舊誌)라고 표시하고, 새로 첨가한 조항은 아래에 신증(新增)이라고 표시하였다. 찬수자는 유학 이해교(李海敎), 전현감 박중호(朴重浩)이고, 유학 김직현(金直鉉)하태홍(河泰洪)이 교정을 맡았다. 그 외에 이시목(李時睦), 하재관(河在觀) 등의 다수의 편집 인물들도 기록되어 있다.

『적성지』[지]는 당시 무주 군수 김진원(金鎭元), 경찰 서장 김현모(金現模), 교육감 조덕상(趙德相)이 지은 「적성지 속지 서(赤城誌續誌序)」를 앞에 붙이고, 그 뒤에 다시 '적성지 속지 서'라는 제목으로 1957년 7월에 쓴 이종화(李鍾華)와 김철수(金喆洙)의 서문을 붙였다. 그 다음으로 『적성지』 속지 목록과 범례, 무주군 약도, 연혁 약표(沿革略表), 김철수의 연혁 표해(沿革表解)를 차례로 수록하였다. 『적성지』[지]는 3권 1책으로 이루어졌다.

1권은 학교, 사원, 선현 비문, 관안과 과환 등 4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 학교에는 향교를 세운 경위(經緯), 「문묘신좌도(文廟神座圖)」 및 「오성진설도(五聖陳設圖)」, 하태홍(河泰洪)의 「대성전 제영(大成殿題詠)」, 배석린(裵錫麟)의 「대성전 중수기(大成殿重修記)」, 이시발(李時發)의 「양사재 이건 상량문(養士齋移建上樑文)」, 서책 목록 등 향교에 관한 글과 백산 영당(柏山影堂)의 「수용 선생 봉안문(睡慵先生奉安文)」, 숭모 사원(崇慕祠院)의 「남은 선생 봉안문(南隱先生奉安文)」, 유천 사원(裕川祠院)의 「탁영 선생 상향문(濯纓先生常享文)」 등 사원에 관한 글, 송병선(宋秉璿)의 「충목공 김여석 신도비명(忠穆公金礪石神道碑銘)」, 기우만(奇宇萬)의 「반남 박씨 삼세 충의비명(潘南朴氏三世忠義碑銘)」 등의 선현 비문, 역대 군수, 경찰 서장, 교육감의 명단과 행적, 과거에 급제한 인물, 민의원 등의 관안 및 과환을 수록하였다.

2권은 우거, 학행, 유행, 충신, 효자, 열녀, 효부, 자선(慈善), 유일(遺逸) 등 무주의 인물과 임진왜란(壬辰倭亂), 갑오동학란(甲午東學亂), 을미척왜소(乙未斥倭疏), 척왜의사(斥倭義士), 갑진민요(甲辰民擾), 일진회(一進會), 척왜창의(斥倭倡義), 기미 독립 만세(己未獨立萬歲) 등에서 공은 있으나 알려지지 않은 일사를 수록하였다. 3권은 무주군 내 고금 승적(古今勝跡)의 위치나 관련 글 등을 소개하고, 군내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향약(鄕約)과 계(契)의 결성 경위와 계첩서, 조약, 좌목 등을 수록하였다. 고금 승적으로는 적상산성, 주계성(朱溪城), 와선당(臥仙堂), 영모재(永慕齋), 한풍루, 사선암(四仙巖), 환수정(喚睡亭) 등 40여 명승이 여기에 소개되었고, 향약과 계는 두람재 향약, 관선계, 칠연 선행계 등이 소개되었다.

범례에 의하면, 『적성지』[지]는 1956년에 일을 시작하여 1957년에 일을 마쳤다. 구지의 소략한 부분을 채취하여 증보(增補)하였고, 이전 병신(丙申)년 이후의 일을 채집하여 이어 기록하였다. 하천수(河千秀)가 찬수를 맡았고, 이종화(李鍾華)와 하헌석(河憲奭)이 교정을 담당하였으며, 이외에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였다. 명륜당 속간본(明倫堂續刊本)이다.

『적성지』[속지]는 1967년 발행된 것으로, 1957년 이후에 조사된 내용을 주로 수록하고 있으며, 당시 무주 군수 전병우(全炳宇)와 하천수가 지은 「적성지 속지 서(赤城誌續誌序)」를 붙였다. 『적성지』[속지]는 4권 1책으로 이루어졌다. 1권은 10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에는 향교의 보수, 증축의 내용을, 2장에는 향안(鄕案)과 성씨, 3장에는 백산 서원(柏山書院)가일사(加一祠)의 고유문(告由文)과 봉안문(奉安文)을, 4장에는 정려기(旌閭記)를 수록하였다.

5장에는 「분양 정사 묘정비명(汾陽精舍廟庭碑銘)」을 비롯한 31편의 묘비명, 공적비, 효행비 등을 수록하였고, 6장은 역대 군수, 경찰 서장, 교육감, 7장은 벼슬한 인물들, 8장은 입법부(立法部)에 든 인물, 9장은 교수, 10장은 박사를 수록하였다. 2권은 무주의 인물을 우거, 충신, 효자, 선행, 효부, 열부, 공적, 일사로 나누어 수록하였다. 3권은 무주의 산성, 산, 정자, 누대 등을 소재로 한 다양한 문장을 수록하였다. 4권은 향교의 통문(通文), 유림(儒林)의 추천장(推薦狀), 행장(行狀), 전(傳), 시(詩), 지(誌) 등 명문(名文)들을 수록하였다.

[의의와 평가]

1896년 당시, 무주군의 연혁, 학교, 관안, 충효열, 명승 등 역사, 인물을 포함한 무주 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수록한 향토 사료집이다. 무주군의 역사와 문화, 자연, 인물 등을 파악하고, 선현들의 빛나는 자취를 후인들이 바로 알아 계승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해 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