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500750 |
---|---|
한자 | 姜洛昇 |
영어공식명칭 | Gang Nakseung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예술인 |
지역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박정민 |
출생 시기/일시 | 1916년 - 강낙승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938년 - 강낙승 경찰 공무원 합격 |
활동 시기/일시 | 1951년 - 강낙승 김용근으로부터 거문고 사사 |
활동 시기/일시 | 1951년 - 강낙승 황상규로부터 거문고 사사 |
활동 시기/일시 | 1956년 - 강낙승 채규환으로부터 가야금 사사 |
활동 시기/일시 | 1958년 - 강낙승 이리 율림계 조직 |
활동 시기/일시 | 1959년~1960년 - 강낙승 진종하로부터 단소 수련 시작·완료 |
활동 시기/일시 | 1968년 - 강낙승 이리 정악원 사범과 실무 담당 |
활동 시기/일시 | 1973년 - 강낙승 이리 가곡 발표회에서 남창 가곡 26곡 완창 |
활동 시기/일시 | 1975년 - 강낙승 원광대학교에서 12가사 발표 |
활동 시기/일시 | 1976년 - 강낙승 전라북도 문화상 수상 |
활동 시기/일시 | 1985년 9월 1일 - 강낙승 중요 무형 문화재 제83-나호 기능 보유자로 지정 |
몰년 시기/일시 | 2010년 - 강낙승 사망 |
출생지 |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
활동지 | 전라북도 익산시 |
성격 | 국악인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중요 무형 문화재 제83-나호 기능 보유자 |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출신의 국악인.
[활동 사항]
강낙승(姜洛昇)[1916~2010]은 1916년에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유평 마을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풍류에 관심을 갖고 동네 농악 굿이 열릴 때마다 장단을 맞추기도 하였다. 1938년 경찰 공무원에 합격하여, 근무하는 동안에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의 예기 조합(藝妓組合) 권번(券番)에서 장동호로부터 평시조(平詩調)와 북을 전수받고, 군악(軍樂)을 배웠다. 8·15 광복 후에는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석암(石庵) 정경태(鄭坰兌)로부터 본격적인 시조 수업을 받고, 가곡과 가사까지 전수받았다.1949년에 가야금에 입문하였고, 이리 수리 조합(水利組合)에서 근무하는 진양수로부터 본영산(本靈山)에서 굿거리를 전수받았다. 이외에도 1951년에 거문고 명인 금사(琴史) 김용근(金容根)과 황상규(黃祥奎)로부터 거문고를 전수받았다. 1954년에는 정읍에서 소산 율계 박홍규에게 풍류 장단을, 1956년에는 채규환으로부터 양금 풍류(洋琴風流)를 본영산에서 전수받았다. 이 무렵 추산(秋山) 전용선(全用先)으로부터 염불에서 타령까지 단소 풍류를 배우고, 1959년~1960년에는 이리에서 진종하에게 단소 풍류 전 바탕을 수련하였다.
1958년 정읍에서 초산 율계(楚山律契)가 성행한 것에 영향을 받아 이리 율림계가 조직되었다. 율계 회원은 채규환, 진양수, 황상규, 진종하, 강낙승, 정길선, 이보한 등 10명으로, 강낙승은 간사를 맡았다. 1968년에 이리 율림계는 전라북도 교육 위원회에서 이리 정악원(正樂院)으로 설립 인가를 받았고, 강낙승은 사범과 실무를 맡아 이리 지방의 풍류 발전에 노력하였다. 가곡과 가사에도 능숙한 강낙승은 1973년에 이리 가곡 발표회를 통해 남창 가곡 26곡을 완창하였으며, 1975년 원광 대학교에서 현전하는 12가사를 모두 발표하기도 하였다.
1985년 이리 향제 줄풍류가 중요 무형 문화재 제83-나호로 지정된 이후, 1998년 6월 5일 제1회 이리 향제 줄풍류 지역 순회 공연을 비롯하여, '98 인간 문화재 제전', 중요 무형 문화재 발표 공연, 이리 향제 줄풍류 정기 발표회 및 익산 인간 문화재 대공연 등의 다양한 공연에 출연하면서 전통문화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후학 양성에 있어서도 전주 도립 국악원과 이리 정악원 등에서 전통음악 전수에 앞장섰다. 2010년에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강낙승은 1975년 원광 대학교에서 현전하는 12가사를 발표하여 1976년 전라북도 문화상을 받았으며, 1985년 9월 1일 이리 향제 줄풍류가 중요 무형 문화재 제83-나호로 지정되면서 기능 보유자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