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1125
한자 德山里德谷堂山祭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덕곡 마을
집필자 이상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중단 시기/일시 1990년 무렵 - 덕산리 덕곡 당산제 중단
의례 장소 당산 -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덕곡 마을 지도보기
성격 마을 신앙|마을 제사
의례 시기/일시 음력 1월 2일 11시 무렵
신당/신체 소나무 숲|팽나무거리|입석|풍암

[정의]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덕곡 마을에서 마을의 액운을 막고 무사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개설]

덕산리 덕곡 당산제는 음력 1월 2일 11시 무렵에 당산(堂山)에서 일 년 동안 마을에 들어오는 모든 재앙을 막아 무사태평하고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당산은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하는 산신(山神)이나 동신(洞神)을 모신 산으로, 대개 오래된 나무[神木]를 신체로 삼고 그 신목 주변에 금줄을 치고 부정을 삼간다.

[연원 및 변천]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덕곡 마을에서는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당산제와 바람의 피해를 막아달라는 풍암제를 지냈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마을 입구 돌탑인 도탐, 미륵정, 동쪽 당산에서 제를 모셨다. 덕산리 덕곡 당산제는 1990년 무렵에 중단되었다.

[신당/신체의 형태]

덕곡 마을 당산제는 마을뒷산 중턱 소나무숲을 뒷당산이라고 부른다. 마을입구 팽나무거리를 아랫당산이라 부르며 주로 두 곳에서 제를 모셨다. 풍암제는 황골에 있는 바위에서 바람의 피해가 심하여 풍해를 막아달는 뜻에서 지냈다.

[절차]

덕산리 덕곡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이튿날 11시 무렵에 모셨다. 제관(祭官)은 생기복덕(生氣福德)을 보아 깨끗한 사람으로 선정하였다. 제관이 되면 3일 동안 금기를 하는데 출입을 삼가고 매일 목욕재계를 하였다. 제관은 여섯 군데 금줄을 쳤다. 제사 비용은 집집마다 추렴하여 충당하며, 제사 음식은 돼지머리를 비롯하여 삼색실과, 탕, 백설기, 술 등을 준비했다. 제수 용품을 구입하러 갈 때도 엄격히 금기를 지켰고, 제사를 지내기 전날에 당산 주변을 청소했다. 당산제에는 제관과 축관만 참여하였다. 제의는 일반적으로 유교식 절차에 따라 대개 진설(陳設), 재배(再拜), 헌작(獻爵), 재배, 산제축(山祭祝), 소지(燒紙), 음복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축문을 읽고 소지를 올렸다. 뒷당산에서 제를 마치고, 아랫당산에 와서 간단히 제를 모셨다.

덕곡 마을에는 특이하게 풍암제가 있다. 풍암제는 황골[바람 바위 골짝]에 풍암(風巖)이 있는데, 이곳 바위에서 고요한 날에도 ‘우우’ 하는 소리가 난다. 특히 다른 지역에 비하여 바람이 세차게 불어 바람의 피해가 심하므로 풍해(風害)를 막아달라는 뜻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 밤에 풍암제를 지냈다. 풍암이 멀리 떨어져 있어 마을 뒤 저수지 옆의 큰 바위를 풍암으로 정하여 이곳에서 제를 지냈다. 풍암제는 당산제와 같은 형식으로 지냈다. 소지는 제관, 축관, 이장의 소지를 한 후에 마을 위쪽부터 집집마다 소지를 올렸다. 풍암제를 마치면 풍암 아래에 음식을 조금씩 떼어 놓고 내려왔다.

[축문]

「당산제 축문」

維歲次 ○○正月 ○○朔○月 幼學○○○ 敢昭告于 堂山之神 曰 天子祭天下之名山 諸侯祭一國之名山 大夫祭一境之名山 士庶祭一洞之主山 天下之禍福 一國禍福 一境之禍福 皆在主山 神本靈矣寧不感動乎 有禱必應無願不遂 山耕野耕 有百穀長養豊 朝採暮樵無一人顚沛 之傷 飛禽도獸藏匿遠循 疾寓惡崇 黜狄消滅 月中蟾桂 人誰可析 池上風毛 家皆能育者 豈主山之所賜耶 曰吉辰良 齊沐虔禱 尙饗(유세차 ○○정월 ○○삭○월 유학○○○ 감소고우 당산지신 왈 천자제천하지명산 제후제일국지명산 대부제일경지명산 사서제일동지주산 천하지화복 일국화복 일경지화복 개재주산 신본영의령불감동호 유도필응무원불수 산경야경 유백곡장양풍 조채모초무일인전패 지상 비금도수장익원순 질우악숭 출적소멸 월중섬계 인수가석 지상풍모 가개능육자 기주산지소사야 왈길진양 제목건도 상향).

「풍암제 축문」

維歲次 ○○正月 ○○朔○月 德谷里居人 ○○○ 敢昭告于 乾文坤母 胚育元氣 巽目水生 良石成體 惟神是依 鎭我一里 靈應無窮 降福除害 時雨時腸 休微自至 五穀番熟 六畜繁자 山無毒獸 道不拾遺 人皆相愛 渾是春和 日吉辰良 齊沐虔告 神其府佑 蓋應玆禱 尊獻 尙饗(유세차 ○○정월 ○○삭○월 덕곡리거인 ○○○ 감소고우 건문곤모 배육원기 손목수생 양석성체 유신시의 진아일리 영응무궁 강복제해 시우시장 휴미자지 오곡번숙 육축번자 산무독수 도불십유 인개상애 혼시춘화 일길진량 제목건고 신기부우 개응자도 존헌 상향).

생각건대, 때는 ○○년 정월 ○○삭 십오일 ○○ 유학 ○○○은 감히 풍암신(風岩神)에게 고하나이다. 천지음양(天地陰陽)의 원기(元氣)로 배육(胚育)되여 찬(巽)[찬은 풍(風)이요, 목(木)이 되고 장녀(長女)가 된다]으로 생(生)을 받고 양석(良石)[양석은 산(山)이요, 소석(小石)이 되고 소남(少男)이 되고 득남(得男)이다]으로 체수(體髓)를 이룸이, 오직 신(神)에 의지하는 바이오. 우리 마을의 재해(災害)를 진정하니 영험(靈驗)의 감응(感應)함이 무궁하여 복을 내리고 때로 일명(日明)하여 길조(吉兆)가 스스로 이르니 오곡(五穀)이 축숙(蓄塾)하고 육축(六畜)이 번성하여 집집마다 길몽(吉夢)으로 아들 낳고 딸 낳으며 수복강령(壽福康寧)하여 오복(五福)이 겸비(兼備)하고 산에는 독수(毒獸) 없고 길에는 떨어뜨린 것도 줍지 않아 사람들이 서로 아껴 휘휘함이 춘화(春和)와 같으리로다. 이제 좋은 날을 가려 제계(齊戒) 목욕(沐浴)하고 경건(敬虔)히 고하오니 신이여 굽어 도우소서. 어찌 이 기도(祈禱)에 감응(感應)하지 않겠사옵니까? 바라옵건대 흠향(歆饗)하소서.

[부대 행사]

덕산리 덕곡 당산제가 끝나면 제관 집에 모여 음복하고 풍물놀이를 하며 흥겹게 논다. 이때 동회를 개최하기도 한다. 덕곡 마을에서는 동회를 1년에 3회 개최한다. 당산제를 지내고 나서 개최하는 동회, 7월 백중에 개최하는 동회, 12월이 되기 전에 이장을 선출하기 위한 동회 등을 열었다.

[현황]

무주군 안성면 덕산리 덕곡 마을에는 여러 군데의 당산이 있었다. 특히 음력 정월 이튿날에 뒷당산과 아랫당산에서 덕산리 덕곡 당산제를 지냈고, 음력 정월 보름날에는 황골에 있는 바위에서 부는 바람의 피해가 심하여 풍해를 막아달라는 뜻에서 풍암제를 지냈으나 1990년 무렵에 중단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