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약헌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684
한자 約軒集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56-1
성격 문헌|전적
저자 송징은(宋徵殷)
권책 14권 7책
규격 21.8×14.8㎝

[정의]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인 송징은의 시문집.

[저자]

송징은(宋徵殷)[1652~1720]은 조선 후기 포천 출신의 학자이자 문신이다. 본관은 여산, 자는 질부(質夫), 호는 약헌(約軒), 현감 송광순(宋光洵)의 아들, 박세채(朴世采)의 문하이다. 1675년(숙종 1) 사마시에 합격, 1689년 증광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대사간·이조참의·대사성·개성 유수·형조참판과 호조참판 등을 지냈다.

[편찬/간행 경위]

『약헌집(約軒集)』영조 연간에 가장 초고를 바탕으로 아들이 수습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덕수(李德壽)가 지은 신도비명에, 유고에 「성리휘설(性理彙說)」·「예설집록(禮說輯錄)」·「역대 사론(歷代史論)」 등이 있으며 미처 산정하지 못한 것으로는 패사(稗史)와 야승(野乘)을 널리 상고한 역사 기록이 남아 있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영조 초에 어느 정도 수습 정리된 시문과 유고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형태/서지]

14권 7책의 활자본[운각인서체자]으로, 크기는 21.8×14.8㎝이다.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권1에는 시 198수가 실려 있는데, 충무공 이순신의 시에 대한 차운시, 경흥으로 유배 가는 이언순(李彥純), 경성 판관으로 부임하는 이삼석(李三碩), 해서 관찰사로 부임하는 이세재(李世載) 등에 대한 시가 있다. 권2~권4에는 소차(疏箚) 56편이 있는데, 1696년 지평으로 있을 때 올린 「만언소(萬言疏)」, 아산 현감 때 올린 진폐소(陳弊疏) 등이다. 권5~권6에는 경연 강의·주사(奏事)·계사(啓辭) 17편이 있으며, 권7~권9에는 박세채·윤증·최석정·이세필·이희조·유귀삼 등에게 보낸 서(書) 49편이 있다.

권10은 서(序) 7편, 기(記) 6편, 제발 7편, 잡저 10편인데, 「역대 사론」에 대한 서와 양명학의 지행합일설을 논박한 「양명논학변(陽明論學辨)」 등이 있다. 권11은 부(賦) 1편, 주(奏) 1편, ·잠(箴) 2편, 송(頌) 1편, 상량문 2편, 전문(箋文) 3편, 책제(策題) 2편, 교서 4편, 불윤비답 2편, 돈유(敦諭) 2편, 제문 17편이 실려 있다. 권12는 제문 30편, 애사 2편이, 권13~권14는 묘지명 9편, 신도비명 1편, 묘표 음기 6편, 행장 11편, 시장(諡狀) 1편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약헌집』에서는 숙종대의 정국 동향과 저자의 교류 관계, 특히 『국조 명신 언행록(國朝名臣言行錄)』[32책], 『역대 사론』[41권 10책] 등의 저술 배경을 살펴볼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