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001872 |
---|---|
한자 | 南山館次宿抱川韻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경기도 포천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흥모 |
[정의]
1698년 이현석이 이수광의 시 「숙포천백형댁」의 운자를 따서 지은 오언 율시의 한시.
[개설]
「남산관 차숙포천운(南山館 次宿抱川韻)」은 1698년 이현석(李玄錫)[1647~1703]이 함경도 안변 부사(安邊府使)에 임명되어 임지(任地)로 가는 도중에 포천현의 관사(館舍)로 향하며, 증조할아버지인 지봉(芝峯) 이수광(李睟光)[1563~1628]이 지은 「숙포천백형댁(宿抱川白兄宅)」[포천의 큰형님 댁에 묵으며]의 각운(脚韻)을 따서 창작한 차운시(次韻詩)이다. 「남산관 차숙포천운」은 저자 이현석의 문집 『유재집(游齋集)』 권(卷) 11의 「학성록(鶴城錄)」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책마천심설(策馬穿深雪)[말에 채찍질하며 깊은 눈 속을 헤쳐 가는데]
중정주이혼(中程晝已昏)[일정에 맞추려다 보니 낮은 이미 어두워져서]
라심우답로(懶尋牛踏路)[소가 밟고 간 길은 찾지 못했네]
수견조귀촌(愁遣鳥歸村)[근심은 떨쳐 버리고 새는 마을로 돌아가고]
권기요기색(倦妓饒飢色)[고달픈 기생은 굶주린 빛이 가득하고]
피맹대병흔(疲氓帶病痕)[피곤한 민들은 병의 흔적을 띠고 있네]
소봉혼고황(所逢渾苦況)[만나는 이마다 온통 어려운 상황이라]
예겁향관문(預怯向官門)[미리 겁을 먹고 남산관의 문으로 향하네]
저자인 이현석은 증조할아버지인 이수광과 같은 길을 걷는다는 감상에 빠져서 행로에 올랐다. 그러나 눈을 만나게 되어 피곤한데, 포천현의 관사인 남산관(南山館)으로 향하는 도중에 민(民)들의 어려운 상황을 보고 무거운 마음을 품고 가고 있다.
[특징]
「학성록」은 이현석이 1698년 안변 부사로 나가 지은 시집으로 「지족록(知足錄)」, 「지족록(止足錄)」이라고도 한다. 「학성록」에 수록된 시들은 이수광이 안변 부사를 역임한 적이 있었기에, 그 시운(詩韻)에 차운(次韻)하여 지은 것이 많다. 학성(鶴城)은 안변의 옛 지명이다.「남산관 차숙포천운」은 이수광의 문집 『지봉집(芝峯集)』 권 12의 「학성록」가운데 「숙포천백형댁」의 각운을 따서 지은 시이다. 이수광과 이현석이 같은 관직을 제수 받아 시간은 다르지만 한양에서 함경도로 가는 ‘경흥로(京興路)’를 걷는다는 배경으로 인해 이현석이 감상에 빠져 지은 시이다.
[의의와 평가]
「남산관 차숙포천운」을 비롯하여 「도포천」, 「모숙포천」, 「봉어제석왕사비문과포천」 등은 조선 시대 포천을 배경으로 한 한시들 가운데 포천을 지나면서 지은 시이다. 기타 유람기(遊覽記)에서 볼 수 있듯이, 조선 시대 포천은 한양과 함경도를 잇는 ‘경흥로’의 도로 상에 자리 잡아 수많은 사람들이 오고가던 무대로 여러 가지 이야기를 담고 있는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