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201146 |
---|---|
한자 | 朴天行 |
영어음역 | Bak Cheonhaeng |
이칭/별칭 | 여건(汝健)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봉곡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용만 |
성격 | 문신 |
---|---|
출신지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봉곡리
![]() |
성별 | 남 |
생년 | 1729년![]() |
몰년 | 1791년![]() |
본관 | 밀양 |
대표관직 | 대간원대사간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字)는 여건(汝健).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의 7세손이다. 아버지는 대사간 박춘보(朴春普)이다.
박천행은 1774년(영조 50) 45세의 만학으로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세자시강원의 문학·사서·필선, 사헌부의 지평·장령·집의, 홍문관의 부수찬·수찬·부교리·교리·부응교·응교, 승정원의 동부승지·좌부승지, 사간원의 대사간을 역임하고, 외직으로 안동대도호부사를 역임하였다. 박천행은 간관으로 재직 시 칼날 같은 권세도 무서워하지 않고 소임을 다하였다. 그와 관련하여 다음의 기록이 전한다.
1779년(정조 3) 11월 21일 사헌부지평이었을 때, 홍문관 관원을 소집한 자리에서 “조정에서 곡식을 사들이고 팔고 하는 것은, 예규(例規)에 있어서는 곡식이 흔할 때 값을 올려 사들임으로써 농민을 이롭게 하고 귀할 때 값을 내려 균청(均廳)에 쌀을 팔아야 합니다. 그러나 사들이고 팔고 하는 예를 보면 쌀이 떨어졌다고 하여 비쌀 때는 상인들로부터 사들여 시중의 쌀값을 폭등시키고 민정을 갈급(渴急)하게 하니 전하께서는 이를 금단(禁斷)하시어 도시민(都市民)으로 하여금 편안히 살 수 있도록 해주십시오.”라 계언하였다. 이에 정조가 즉시 해당 관서에 명하여 시장을 조사하도록 하니 과연 쌀값이 엄청나게 비싼 것을 확인하고 시정토록 했다.
또 1780년(정조 4) 5월 홍국영(洪國榮)이 도승지로 있을 때 여동생을 정조의 후궁으로 들여 비행이 많았다. 이에 박천행은 사헌부대사헌, 사간원대사간으로서 부제학 심염조(沈念祖) 등과 삼사 합동으로 상소하여 5~6년 후에 정조가 홍국영을 파직하고 유배보내도록 하였다.
사후에 손자 박내만(朴來萬)이 높은 벼슬에 오르자 이조참판겸홍문관제학에 증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