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201358 |
---|---|
한자 | 張宇樞 |
영어음역 | Jang Uchu |
이칭/별칭 | 두경(斗卿),임졸재(任拙齋)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인호 |
조선 후기 구미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두경(斗卿), 호는 임졸재(任拙齋). 장금용(張金用)의 후손이며 극명당(克明堂) 장내범(張乃範)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만회당(晩悔堂) 장경우(張慶遇), 아버지는 선교랑(宣敎郞) 장원(張厡)이다. 형으로 장우주(張宇柱), 장우상(張宇相)이 있다.
장우추는 당시의 인동도호부(仁同都護府)에서 태어났다. 1679년(숙종 5)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체격이 장대하고 문예가 숙성하여 기대를 크게 모았다. 1682년(숙종 8) 서인(西人) 유생들이 김장생(金長生)의 문묘종사소(文廟從祀疏)를 추진하기 위해 도회(都會)를 현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소재의 인동향교에서 개최하자 장만기(張萬紀), 김순발, 장우한(張宇漢), 장우주 등이 인동향교를 점거하면서 양 세력이 물리적으로 충돌하였다. 이에 대구, 인동, 선산 등지의 대표적인 서인계 유생들이 모여 인동향교에 소청을 설치하였다. 이 다툼 과정에서 인동부사의 친서인적 성향에 대해 김순발이 인동부사를 비방하였고 이로 말미암아 장우추는 김순발과 함께 경상감영에 압송되었다가 경상감사의 심문과정에서 사망하였다. 묘소는 인동 판곡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