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201525 |
---|---|
한자 | 仁同金氏 |
영어의미역 | Indong Gim Clan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 |
집필자 | 김용만 |
김정을 시조로 하는 경상북도 구미지역의 세거 성씨.
인동은 신라시대에 사동화현(斯洞火縣)이라 하였고, 그 후에 수동현으로 개칭하였다. 신라 경덕왕 때 지금의 이름인 인동으로 고쳤다. 1018년(현종 9)에 경산부(京山府; 지금의 성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 경산에서 분리되면서 처음으로 지방 수령인 감무(監務)를 두었다. 1413년(태종 13) 지방제도 개편으로 감무를 혁파하고 현감(縣監)을 두었다.
1604년(선조 37) 4월 찰리사(察理使) 곽재우(郭再祐)에 의하여 천생산성의 외성이 축조된 후 관방(關防)의 요새로 부각됨에 따라 1605년(선조 38) 7월 도원수 한준겸(韓浚謙)의 계청에 의하여 도호부로 승격됨과 동시에 도호부사가 조방장(助防將)을 겸임하게 하였다. 1895년(고종 32) 5월 26일 칙명 제98호에 따라 지방제도가 개정되면서 인동은 군(郡; 4등 군)이 되었다가 1914년 3월 인동군 관할 9개 면이 칠곡군에 병합되었다. 1977년 3월 경상북도 구미출장소의 행정 관할로 되었다가 1978년 2월 구미시에 편입되었다.
시조는 김정(金淀)으로 신라 경순왕의 넷째아들 김은열(金殷說)의 손자인 수원김씨 시조 김품언(金稟言)의 22세손 김예중(金禮仲)의 아들이다. 세조 때에 문과에 급제하였고, 남학교수(南學敎授)와 승문원교리(承文院校理)를 역임한 뒤 인동현감을 지냈다. 후손들의 세거지에 따라 경상북도 영일군 대성면에 사는 계통을 대송파(大松派), 강원도 철원군 일원에 사는 계통을 철원파로 나누고 있다.
김정이 인동현감을 지낸 것을 연유로 후손들이 수원김씨에서 분관(分貫)하여 계대하여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