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양. 선산 영봉리 출생이다. 아버지는 군수 하담(河澹)이고 동생은 사육신인 단계 하위지(河緯地)이다. 1429년(세종 11)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正言)과 동복현감을 지냈으나 동생 하위지와 함께 화를 당하였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 자는 태승(泰升), 호는 하곡(霞谷). 영의정 윤두수(尹斗壽)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장익공(章翼公) 윤휘(尹暉), 아버지는 윤면지(尹勉之), 어머니는 참판 경섬(慶暹)의 딸이다. 윤계는 1650년(효종 1) 사마시에 합격해 진사가 되었다. 그 뒤 3인을 선발하기로 한 알성문과에 급제했으나, 4등을 한 김석주(金錫胄)를 참방(參榜)시키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양. 아버지는 하담(河澹)이며, 단계 하위지(河緯地)의 동생이다. 1438년(세종 20) 하위지와 함께 문과에 등제되었으며, 형과 함께 화를 당하였다. 단종별단(端宗別壇)에 배향(配享)되었다....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는 다람쥐과에 속하는 포유류. 하늘다람쥐는 백두산과 경기도, 강원도 그리고 경상북도 가지산과 금오산에 이르기까지 전역에 분포하나 중부 이남 지역에서는 희귀한 종이다. 우리나라 특산아종으로, 1982년 11월 4일 천연기념물 제328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몸길이는 15~20㎝이다. 머리는 둥글고 귀는 작으며 눈이 매우 크다. 크기는 일본...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산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1864년(고종 1) 고산자 김정호가 유명한 『대동여지도』를 만들기 위해 전국 방방곡곡을 답사하던 중 이 곳에 이르러 산세를 보니 꼭 용마하도(龍馬河圖)의 그림과 같은 형상이라 하여 ‘하도봉’이라 하였다. 용마하도는 반드시 신구낙서(神龜洛書)의 그림이 있어야 격에 맞음으로 하도는 있는데 낙서가 없으니 동명을 낙서동이라 하였으며 현재...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하장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섶밭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섶밭마·섶밭마을·신전동(薪田洞)이라고 하였으며, 국도 25호선 아래에 있으므로 하도동(下道洞)이라 불렀다. 지금은 주로 섶마라고 불린다. 1914년 이후 경상북도 선산군 장천면 하장동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1988년 동이 리로 바뀌면서 장천면 하장리에 속하게 되었고, 1995년 1월 1일 구미시와 선산군...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포상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상송(上松)의 금옥고봉, 중하송(中下松)의 옥녀봉, 하자백의 호구봉(虎口峰)이라는 3대 명산의 이름을 따서 마을 이름을 지었다. 조선시대 신당포방 하송리로 부르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옥성면 포상리로 개편되었고 현재는 선산읍 포상1리에 속하게 되었다. 무을면 웅곡리와 경계를 이룬 곳으로 신당포방 하송리였다가 선산읍 포상2...
-
조선 초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양. 자는 천장(天章). 호는 단계(丹溪). 증조부는 하윤(河胤), 할아버지는 문하평리(門下評理) 하지백(河之伯), 아버지는 군수 하담(河澹), 어머니는 유면(兪勉)의 딸이다. 1412년(태종 12) 선산 영봉리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형제가 문밖을 나오지 않고 독서에만 열중하니 이웃사람들이 그의 얼굴을 보지 못하였다고 한다. 1438년(세...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죽장리 고방실마을에 있는 조선시대 문인 하위지의 묘. 하위지는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노량진의 민절서원(愍節書院), 영월의 창절사(彰節祠), 선산의 월암서원(月巖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하위지 묘는 구미시 선산읍 죽장리 고방실마을 북서쪽 고방산(古方山)의 능선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고방산에 자리 잡은 묘소에는 좌우로 각각 문인상과 석조물이 위치하고 있다....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완전리에 있는 조선 전기 사육신이던 단계(丹溪) 하위지(河緯地)의 유허비. 하위지의 자는 천장(天章), 호는 단계(丹溪)이다. 1412년(태종 12)에 선산 영봉리에서 출생하여 1438년(세종 20) 식년문과에 을과 제1인으로 급제, 부제학, 예조참판에 이르렀으나, 벼슬에 나가지 않고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 거사에 실패하여 1456년(세조 2)에 참형을 당하였...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 자는 고부(叩夫), 호는 운수당(雲水堂). 아버지는 현령 하계문(河繼文)이며, 경질공(景質公) 김지경(金之慶)의 사위로, 신곡(新谷)에 내거(來居)하였다. 1477년(성종 8) 생원시·진사시 양시에 합격하고 1483년(성종 14)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을 지냈다. 1489년(성종 20) 예조좌랑으로서 민정을...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면 소재지인 상장리 아래쪽에 있어서 하장(下場)이라 하였다. 또 장천시장이 이곳에 있다가 상장리로 옮겨 갔으므로 구장터, 아래장터, 구장동, 하장이라 하였다. 자연마을로 큰곰실, 섶밭마, 중뜸, 아래장터 등이 있다. 큰곰실은 장천면이 북웅곡방이었을 때 면 소재지였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국도 위쪽에 있다 하여 상도동이라고도 한다. 섶밭마는...
-
경상북도 구미시 지역에서 육지 표면의 자연 수계를 따라 물이 흘러 형성된 물길과 계류. 2010년 12월 31일 기준으로 구미시에는 총 18개의 하천이 있다. 낙동강과 감천 등 국가하천 2개와 지방2급하천 1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연장은 169.13㎞이며 유역 면적은 구미시의 면적과 일치한다. 이 중 국가하천은 제방 공사 등 하천의 유지 보수가 모두 되어 있으며 지방2급하천의...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유생이자 학자.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앙(景仰), 호는 학거(鶴渠). 장금용(張金用)계로서 통찬(通贊) 장맹저(張孟儲)의 후손이다. 할아버지는 인동장씨 진평파 파조 장신손(張信孫), 아버지는 장사랑 장항(張沆), 어머니는 이조참판 박추(朴鰌)의 딸로 울산박씨(蔚山朴氏)이다. 장순은 할아버지 장신손에게 글을 배우기 시작하여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동. 자는 학부(學夫), 호는 동릉(東陵). 여헌 장현광의 후손으로, 사이당(四而堂) 장지덕(張趾德)의 6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증이조참의 장위(張瑋)이며, 할아버지는 증이조참판 장석이(張錫頤)이며, 아버지는 이조참판 장인원(張仁遠)이다. 1864년(고종 1) 증광시에 급제하였다. 승정원가주서를 거쳐 승정원주서, 성균관전적, 사간원정언, 병...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임천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산림이 좋아 학과 두루미가 집을 짓고 살았다고 해서 학사라고 한다. 아래쪽에는 학의 털이 모인 곳이라 하는 모산(毛山)이 있다. 옛날에는 몽대방으로 칭할 때 임천리가 중심지로 있었다가 1914년 행정개편 때 임천리가 산동면으로 편재되었다. 그러면서 학사 또한 여러 자연마을과 함께 산동면 임천리에 편재되었다. 면의 동남쪽에 위치하고...
-
조선 후기 인동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효징(孝徵), 호는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 1587~1667)는 유성룡(柳成龍, 1542~1607)과 장현광(張顯光, 1554~1637)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623년(인조 1) 알성문과에 급제하였다. 1633년(인조 11) 선산부사로 부임하였으나 이듬해 파직되었다. 이후 시강원보덕·사간원사간·동부승지·공조...
-
경상북도 구미시 구평동에 있는 저수지. 학서지는 1945년 1월 1일부터 저수지 조성 공사를 시작하여 1945년 12월 31일에 조성을 완료하였다. 학서지는 일명 새울 못이라고 하며, 구미시 구평동에 있는 인가 면적 158,400㎡의 저수지이다. 평소 만수 면적의 70%선에서 저수 용량을 유지하고 있다. 학서지는 구미 지역에서 떡붕어 낚시터로 유명하여, 잡히는 어종도 떡붕어 외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 초명은 대진(大進), 자는 면재(勉哉)·학안(學顔), 호는 춘간(春磵)·한사(寒沙)·정와(靜窩). 증조할아버지는 강인수(姜仁壽)이고, 할아버지는 강세탁(姜世倬)이다. 아버지는 사간 강익문(姜翼文)이며, 어머니는 합천이씨(陜川李氏)로 이후신(李後臣)의 딸이다. 강대수는 1610년(광해군 2)에 진사가 되고, 1612년(광해군 4) 증광문과에 을과로...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백종(白宗), 호는 학정(鶴汀). 옥산(玉山) 이우(李瑀)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이경절(李景節), 아버지는 군수 이즙(李楫), 어머니는 심광세(沈光世)의 딸이다. 이동명은 1652년(효종 3) 진사에 합격하고 10월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예조좌랑, 병조좌랑, 사간원정언, 안주목사, 강릉부사, 상의원정, 사간, 안동부사, 동부...
-
개항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선산. 자는 치능(致能), 호는 학파(學坡). 구암(久庵) 김취문(金就文)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김복영(金福永)이다. 김병용은 1876년(고종 13)에 진사가 되었고, 1887년(고종 24)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예문관에서 수찬·교리를 역임하였으며, 비서승장례, 예조참판, 태의원소경 겸 장례원장례를 지냈다....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민속 명절. 추석은 중추가절이라고 하여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며, 또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명절이다. 추석을 한가위·중추(仲秋)라고도 부르는데, 구미 지역에서는 설 다음으로 큰 명절이라고 한다. 이날에는 햇곡식으로 송편이나 술을 빚고 햇과일을 장만한다. 멀리 있는 자손들이 부모의 집에 모여 추석차례를 지내고 나...
-
1966년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설립되었던 가톨릭 농민운동단체. 한국가톨릭농민회는 ‘생명과 해방의 공동체를 위하여’라는 구호를 내걸고, 예수 그리스도를 따라 스스로 그리고 농민 자신과 사회를 함께 변혁시켜 감으로써, 농민 구원과 겨레 구원, 인류 구원 등을 지향하는 가톨릭 농민들의 생활공동체 운동단체이다. 1966년 설립 당시 구미 지역의 가톨릭교 농민들이 주축이 되었다는 점에서 지...
-
경상북도 구미시 송정동에 있는 한국국악협회 산하 구미 지역 지부.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어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후진을 양성하여 구미 지역의 전통 예술을 발전시킬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1년 2월 26일 발기인대회에 이어 같은 해 6월 16일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2001년 7월 19일 한국국악협회로부터 정식 인준 받았다. 다양한 국악공연과 국악 관련 활동을 하고 있다. 2008...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문성리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의 지사. 한국농어촌공사의 역사는 1906년 4월 제정된 「수리조합조례」에 의해 1908년 전라북도 옥구군 서부수리조합이 설립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1970년 1월에 농지개량조합으로 개칭되었다가 1978년 4월 공법인 농지개량조합연합회로 설립되었다. 1990년 4월 「한국농촌공사 및 농지관리기금법」이 공포되고 7월에 농업진흥공사를...
-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한국무용협회 산하 구미 지역 지부.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구미지회에 소속된 8개의 산하단체 중 하나로 실제적으로는 한국무용협회에 직속되어 있다. 1989년 10월 11일 한국무용협회로부터 인준을 받아 초대 백경원 지부장이 취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구미무용제와 전국무용경연대회 등을 개최하여 구미 지역 무용 인구의 저변 확대와 창작에 힘쓰고 있다. 200...
-
한국미술협회 구미지부에서 해마다 열고 있는 회원전. 1978년부터 활동한 구선미술인회(회장 양창제)와 구미미술인협회(회장 양창제)의 활동을 기반으로 1980년 4월 30일 한국미술협회 구미지부가 창립되었다. 이에 따라 1981년 제1회 구미미술협회전이 개최되었다. 1990년 3월 20일 한국미술협회 구미지부가 인준을 받음에 따라 구미미술협회전을 계승하여 동년 12월 19일부터 12...
-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에 있는 한국사진작가협회 산하 구미 지역 지부. 구미 지역 사진 인구의 저변확대와 구미 사진의 발전을 위해 1996년 3월 23일 한국사진작가협회로부터 인준을 받아 초대 이홍화 지부장이 취임하였다. 2008년 제6대 원정대 지부장이 취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국사진작가협회 구미지부는 한국사진작가협회로부터 지부로 인준 받은 1996년 10월 제1회 한국사진...
-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에 위치한 한국산업단지공단 산하 경북 지역 본부. 한국산업단지공단은 1964년 8월 한국수출산업공단으로 발족한 뒤, 1996년 10월 정부의 5개 국가 산업단지관리공단 통폐합 결정에 따라 산업집적 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이듬해 1월 10일 설립되었다. 2010년 1월 현재 수도권 광역지역(서울·경인), 강원 광역지역(원주...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괴평리에 있는 한국수자원공사 산하 기관. 경상북도 구미 지역 일원의 수자원에 대한 종합개발과 관리, 산업단지 또는 특수지역에 대한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7년 1월 17일 구미건설사무소로 개소되었다. 이후 1980년 12월 31일 폐소되었다가 1983년 1월 15일 구미건설관리사무소로 다시 개소되었다. 같은 해 구미광역상수도 1단계 사업을 준공하였...
-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한국연극협회 산하 구미 지역 지부. 구미 지역 연극 인구의 저변 확대와 구미 연극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1995년 8월 22일 한국연극협회로부터 인준을 받아 초대 지부장에 김동웅이 취임하였다. 구미디지털연극제, 구미청소년연극제, 한국연극협회 구미지부 정기공연 등을 개최하고 있다. 2008년 4월 19~20일 구미시 문화예술회관에서 구미시 승격 30주년 기념...
-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한국연예협회 경북도지회 산하 구미 지역 지부. 1987년 12월 1일 한국연예협회로부터 인준을 받아 초대 지부장에 오인원이 취임하였다. 위문공연, 구미시민노래자랑, 청소년예술제 등 다양한 공연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2008년 8월 14일에는 선산읍 복개천에서 아트 인 구미를 개최하여 선산읍민들에게 흥겨운 축제의 장을 마련하였고, 10월 24일에는 낙동강국화...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의 구미시지부. 구미 지역 회원의 권익을 옹호함과 더불어 예술문화인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나아가 향토예술의 창달을 통해 지역예술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9년 11월 28일 창립총회를 개최하였으며 12월 8일 무용협회·문인협회·연예협회·음악협회·미술협회 등 5개 협회를 지부로 하여 출범하였다. 1995년 연...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의 구미시지부. 구미 지역 회원의 권익을 옹호함과 더불어 예술문화인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나아가 향토예술의 창달을 통해 지역예술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9년 11월 28일 창립총회를 개최하였으며 12월 8일 무용협회·문인협회·연예협회·음악협회·미술협회 등 5개 협회를 지부로 하여 출범하였다. 1995년 연...
-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한국음악협회 산하 구미 지역 지부. 1989년 11월 25일 한국음악협회로부터 인준을 받아 문무범 초대 지부장이 취임하였다. 2008년 1월 제4대 박현숙 지부장이 선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96년부터 매년 구미음악회를 주관하고 있다. 2008년 8월 23일에는 구미1대학에서 제18회 전국학생음악경연대회를 개최하였으며 10월 29일에는 구미시 문화예술...
-
“2011년 산업 생산 75조 원, 수출 330억 달러 목표 달성” 이것은 외국에 있는 어떤 첨단도시의 이야기도 국내의 대도시 이야기도 아닌, 바로 인구 39만 명의 한국의 지방도시인 경상북도 구미시의 2011년 경제 목표이다. 구미시는 한국 내륙 최대의 첨단 전자·정보통신 산업단지와 선진 농업을 기반으로 2011년에 생산 75조 원, 수출 330억 달러를 달성하기 위해 매진하고...
-
경상북도 구미시 광평동에 있는 한국자유총연맹 경북지부 구미 지역 지회. 한반도는 현대사의 특성상 세계적인 이데올로기의 각축장이었다. 1980년대 후반에는 독일의 통일과 구소련의 몰락 등 세계적인 변화가 있었으나, 2008년 현재 남북은 아직도 휴전의 상태로 서로 존립과 안보에 열중하고 있다. 한국자유총연맹은 지나친 보수주의를 표방한다는 비난도 일부 있으나,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수호...
-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에 있었던 한국전기초자의 기술연구소. 한국전기초자(Hankuk Electric Glass)는 디스플레이용 글라스 제조기업으로 지난 1974년 한국유리가 미국의 TECHNEGLAS, 일본의 일본전기초자와 기술 및 자본을 제휴하여 설립한 이후 컬러TV와 컴퓨터 모니터 브라운관용 유리를 전문 생산하고 있다. 구미시 공단동 150번지[수출대로5길 15]에 있는 한국전...
-
경상북도 구미시 송정동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지점. 1920년대에 대흥전기(주) 김천영업소의 구미출장소가 개설되면서 처음으로 구미 지역에 전기가 공급되기 시작하였다. 1947년 10월 남선전기(주) 대구지점에 소속되었다가 1961년 7월 한국전력(주) 구미출장소로 변경된 후 1976년 3월에 한국전력공사 경북지사 구미영업소로 승격되었고 다시 1982년 4월 한국전력공사 경북지사 구미...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한국전통무용단. 선조들의 전통춤을 계승 발전시키고 현대에 맞는 우리 문화의 전형을 창조 보급하여 건강한 지역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2001년 5월 5일 한국전통무용단 영산무가 창단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전통춤 공연, 민속춤 공연, 무용 강습, 문화 행사 기획 등을 통해 그 활동 영역을 문화 활동 전분야로 폭을 넓혀 구미 지역에만 국한하지 않고 국·...
-
경상북도 구미시 광평동에 있는 문화 예술 단체. 한국정수문화예술원은 박정희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한 사업회의 하나이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사상과 철학을 선양하고 향토문화 예술 발전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8년 12월 15일 한국정수미술문화협회를 창립하였고, 2002년 12월 7일 사단법인 한국정수문화예술원으로 전환하여 경상북도로부터 비영리...
-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동에 있는 경북지적장애인복지협회 구미 지역 지부. 최근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의 확산과 함께 우리가 살아가는 지역 사회에서는 과거에 가지고 있었던 사회의 순기능들이 점차 소멸하고 지나친 물질 위주의 이념들만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산업 사회의 현대인들은 너무나 나약한 존재로 전락하고 말았다. 지적·정서적·사회적 능력의 결함으로 말미암아 사회에 적응하기...
-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에 있는 직물 제조 기업. 폴리에스터 제품 생산에는 원사와 직물 생산이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데, 한국합섬(주)은 직물 생산을 맡고 있고, 원사 생산은 한국합섬(주)으로부터 분사된 (주)에이치케이가 맡고 있다. 1987년 2월 한국합섬(주)이 설립되어 1995년 10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97년 6월에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E-HWA Synthetic...
-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에 있는 불교 계통의 신흥 종교 단체. 한국 SGI는 일본의 니치렌[日蓮] 대성인의 불법을 올바르게 계승하여 불법의 근본이념인 생명 존중 사상을 실천하면서 각 개인이 행복을 추구하고 국가 번영과 세계평화를 실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평신도들로 구성된 신흥 종교 단체이다. 한국 SGI는 1960년대 초반 일본에 있는 친인척으로부터 직접 신심(信心)을 권유받거나...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한글의 닿소리와 홀소리를 반복하여 리듬을 만들어 부른 유희요. 「언문 뒤풀이」는 국문으로 된 말을 재미있게 엮어나가는 곡조를 굿거리장단에 얹어서 부르는 유희요이다. 이러한 「언문 뒤풀이」는 「한글 뒤풀이」라고도 부른다. 「언문 뒤풀이」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첫 구절로 삼아 여기에 사랑 이야기를 엮어 음악적인 변화보다는 사설 전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한글을 배...
-
한국문인협회 구미지부에서 해마다 열고 있는 백일장. 한글날 기념행사로 한글 사랑을 일깨우고 공단도시의 삭막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1991년 10월 19일 제1회 한글백일장이 개최되었다. 이후 구미예술제 행사의 일환으로 구미시 주관, 한국문인협회 구미지부 주최로 매년 10월 9일을 전후하여 실시하고 있다. 구미시와 한국문화예술단체총연합회 구미지부가 주최하는 문화예술사업이다. 특히 구미...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과 칠곡군 가산면 산지에서 시작하여 산동면과 구미 시가지를 거쳐 낙동강으로 흐르는 하천. 한내천은 구미시 행정구역 가운데 낙동강 왼쪽에서 본류로 유입되는 상당한 규모의 지류(支流)이다. 한내천의 상류에 위치한 산지는 칠곡군과 군위군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내천과 이에 연결되는 많은 작은 하천들은 자연마을의 입지 조건, 식수와 농경지를 제공하는 데 큰...
-
경상북도 구미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풍물단체. 농악 놀이 및 지역 예술문화를 널리 보급하여 전통예술을 발전시키고 건전한 문화와 공동체 의식 정착을 위해 설립되었다. 1993년 KEC전자 풍물단으로 창단하였다. 이후 2000년 한두레마당예술단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농악과 사물놀이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하여 활동을 하고 있다. 1993년 이후 KBS 국악대상 토요한마당, MBC...
-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자건(子健), 호는 한벽재(寒碧齋). 할아버지는 증호조참의 정희언(鄭希彦)이며, 아버지는 증병조참판 정유공(鄭由恭)이다. 정붕(鄭鵬)이 그의 조카이다. 성종조 준량(俊良)으로서 피소(被召)되어 비안(比安)·지례(知禮)·김산(金山)의 수령을 역임하였다. 학문과 덕행이 탁월하여 가는 곳마다 송덕비가 세워졌으며 청백리였다. 1474년(성종 5...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 초명은 대진(大進), 자는 면재(勉哉)·학안(學顔), 호는 춘간(春磵)·한사(寒沙)·정와(靜窩). 증조할아버지는 강인수(姜仁壽)이고, 할아버지는 강세탁(姜世倬)이다. 아버지는 사간 강익문(姜翼文)이며, 어머니는 합천이씨(陜川李氏)로 이후신(李後臣)의 딸이다. 강대수는 1610년(광해군 2)에 진사가 되고, 1612년(광해군 4) 증광문과에 을과로...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과 칠곡군 가산면 산지에서 시작하여 산동면과 구미 시가지를 거쳐 낙동강으로 흐르는 하천. 한내천은 구미시 행정구역 가운데 낙동강 왼쪽에서 본류로 유입되는 상당한 규모의 지류(支流)이다. 한내천의 상류에 위치한 산지는 칠곡군과 군위군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내천과 이에 연결되는 많은 작은 하천들은 자연마을의 입지 조건, 식수와 농경지를 제공하는 데 큰...
-
조선 말 구미 지역에서 활동한 무신. 서울에 거주하였으며 무과에 급제하였다. 1867년(고종 4) 9월 20일에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870년(고종 7) 12월 고과 점수가 높아 전주영장(全州營將)으로 승진 임명되었다. 1871년(고종 8) 1월에 인동부민이 세운 흥학선정비(興學善政碑)가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의 인동향교 내에 소재하고 있다....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조선 말 인동부사를 역임했던 한홍열의 선정비. 한홍열은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하였으며, 1867년(고종 4)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870년(고종 7)에 도목정(都目政)에 따라 승진하여 이임하였다. 그는 인동부사로 재임하면서 특히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선정을 베풀었기에 백성들이 이를 기려 선정비를 세웠다. 비석은 덮개돌과 비좌 없이 비...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박래은(朴來殷)의 처 함종어씨(咸從魚氏) 정려편액. 함종어씨는 어유찬(魚有瓚)의 딸로서 밀양인(密陽人) 박래은(朴來殷)의 처이다. 박래은은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의 9세손이며 박의호(朴義浩)의 독자로 1811년(순조 11) 1월 29일 질환으로 급사하였다. 갑자기 닥친 불행에 함종어씨는 슬픔을 삼키지 못하고 슬하에 혈육이 없음을 한탄하면서...
-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에 있는 TV와 PDP용 제품 제조 기업. 1973년 8월 합동공업사로 설립되었고, 1978년 1월 합동전자공업사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1988년 8월 (주)합동전자로 법인화하였다. 1997년 8월 (주)합동정밀을, 2000년 5월에 (주)화인알텍과 왜관지점을, 2006년 1월에 HD Electronics Texas를, 2월에 HD Electronics Re...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대망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대망리의 가장 위쪽 마을 즉, 윗목이라 하여 상망, 상리, 항골 등으로 불린다. 대망리 전체로 보아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마을로 망장방(網張坊)시대는 상망장동리, 망장면(望障面)일 때는 상리동리의 독립된 마을이었으나 1914년 행정제도 개편으로 평성면(坪城面), 망장면(望長面), 서내면(西內面)이 고아면(高牙面)으로 통폐합하여 1...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중기 낙동강이 흘러들던 이 마을의 위치가 낙동강의 목[項]과 같다 하여 항곡(項谷)이라 하였다. 또는 낙동강과 감천이 합류하는 지점이라 물이 풍부하여 항곡 또는 항골이라 하였다. 자연마을로 뒷마, 아름마, 웃마 등이 있다. 뒷마는 마을 가운데 있는 정자나무 뒤쪽에 자리 잡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아름마는 정자나무를 중심으로 마을 아...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항곡리에 있는 수령 18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 26m, 지름 3m까지 자란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늙은 나무에서는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떨어진다. 꽃은 5월에 취산꽃차례(聚繖꽃次例 : 먼저 꽃대 끝에 한 개의 꽃이 피고 그 주위의 가지 끝에 다시 꽃이 피고 거기서 다시 가지가 갈라져 꽃이 핌)...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항곡리 항곡마을에서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항곡마을은 지형이 낙동강의 목[項]과 같다 하여 항곡이라고 불리는 자연부락이다. 항곡리 항곡마을 동제는 상당과 하당에서 매년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상당은 마을 뒷산의 바위 밑 산제당에서 산신제를 지내고, 하당은 마을 가운데의 느티나무에서...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대망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대망리의 가장 위쪽 마을 즉, 윗목이라 하여 상망, 상리, 항골 등으로 불린다. 대망리 전체로 보아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마을로 망장방(網張坊)시대는 상망장동리, 망장면(望障面)일 때는 상리동리의 독립된 마을이었으나 1914년 행정제도 개편으로 평성면(坪城面), 망장면(望長面), 서내면(西內面)이 고아면(高牙面)으로 통폐합하여 1...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중기 낙동강이 흘러들던 이 마을의 위치가 낙동강의 목[項]과 같다 하여 항곡(項谷)이라 하였다. 또는 낙동강과 감천이 합류하는 지점이라 물이 풍부하여 항곡 또는 항골이라 하였다. 자연마을로 뒷마, 아름마, 웃마 등이 있다. 뒷마는 마을 가운데 있는 정자나무 뒤쪽에 자리 잡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아름마는 정자나무를 중심으로 마을 아...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메뚜기를 소재로 부르는 민요. 「항굴레비 노래」는 모찌기 할 때 메뚜기가 날아들면 손에 잡아 들고 부른 노래이다. 메뚜기의 모양을 다른 사람과 비유하며 노래를 만들어가고 있다. 구미시 고아읍 다식리 모산에서 1984년 7월 11일에 천혜숙·조형호가 조사·채록하였으며, 가창자는 홍옥련(여, 당시 70세)이다. 「항굴레비 노래」는 메뚜기의 모양을 주위 사람과 비교하...
-
1919년 3·1운동 시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 구미 지역의 3·1운동은 3월 12일 진평동에서 시작되어 약 한 달 동안 전개되었다. 진평동 독립만세운동은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 동안 4차례에 걸쳐 적게는 20~30명에서부터 많게는 2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체포되어 6개월 이상 감옥 생활을 한 인사만도 25명이나 되었다. 또 4월 3일 해평면에서도...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사혁(士赫), 호는 해강(海岡).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의 7세손이다. 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 박춘보(朴春普)이다. 박천형은 1773년(영조 49) 37세로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감찰, 호남어사, 제주어사, 접위관, 사간원정언, 세자시강원문학·필선·보덕, 사헌부장령·집의, 홍문관수찬·부교리·교리·부응교·응교, 황해도의 곡...
-
고려 전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왕비. 고려 태조의 29번째 부인이다. 해평(지금의 선산) 사람으로 대광(大匡) 벼슬을 한 선필(宣必)의 딸이다. 성씨는 알 수 없다. 선필은 신라의 장군으로 있으면서 태조를 도와 고려사신의 신라내왕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930년(태조 13)에 고려에 귀부하였는데, 이때 태조는 그를 상보(尙父)로 삼고 특별히 우대하였다고 한다. 태조는 고려를 세운...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해방의 기쁨을 노래한 신민요. 「해방가」는 창부 타령의 곡조에 해방의 기쁨을 가사에 담고 있다. 구미시 옥성면 초곡리에서 1984년 7월 26일에 최정여·박종섭·임갑랑이 조사·채록하였으며, 가창자는 육종수(남, 당시 64세)이다. 「해방가」는 일제로부터 광복을 이룬 역사적 사건을 창부 타령의 곡조에 담아 노래한 것으로, 가사는 다음과 같다. 아니~ 노지는 못하겠...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정묵(金正默)은 1905년(고종 42)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1914년 북경서성중국대학(北京西城中國大學) 정치학과를 졸업하였으며, 1915년 항일투쟁을 목적으로 중국 동삼성(東三省) 장작림(張作霖) 휘하 곽송령(郭松齡) 부대에 입대하여 군사훈련을 받았다. 1918년 밀입국하여 장진홍(張鎭弘)과 독립운동 방향을...
-
조선시대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字)는 자일(子一), 호는 남악(南岳). 군기시첨정 윤훤(尹萱)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윤은필(尹殷弼), 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윤홍언(尹弘彦), 어머니는 장림수(長臨守) 이순민(李舜民)의 딸로서 전주이씨이다. 동생이 문숙공(文肅公) 윤승훈(尹承勳)이다. 윤승길은 1564년(명종 19)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장령 등...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중우(仲又), 호는 연초재(燕超齋). 사용 윤희림(尹希琳)의 현손이자 국자감정 윤변(尹忭)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영의정 윤두수(尹斗壽), 아버지는 문익공(文翼公) 윤방(尹昉)이다. 윤신지는 선조와 인빈김씨(仁嬪金氏)의 소생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결혼하여 해숭위(海嵩尉)에 봉하여졌다. 선조가 때때로 시를 지어 바치게 할 정...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사찰. 해운사(海雲寺)는 대혈사(大穴寺)라는 이름으로 조선시대에 있었으나 폐사되었다가 1925년 승려 철화에 의해 복구되면서 사명을 해운사라 하였다. 해운사는 1925년 승려 철화에 의해 금오산성 안의 도선굴과 대혈사지 사이에 건립한 사찰이다. 이보다 아래쪽에 대혈사가 있었는데, 고려 후기 길재(吉再)가 이곳에 은거하여 손수 대나무를 심었고...
-
조선시대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자앙(子仰), 호는 오음(梧陰). 장원(掌苑) 윤계정(尹繼丁)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사용 윤희림(尹希林), 아버지는 군자감정 윤변(尹忭), 어머니는 부사직 현윤명(玄允明)의 딸이다. 동생이 윤근수(尹根壽)이다. 윤두수는 이중호(李仲虎),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58년(명종 13) 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정자·...
-
조선 전기 선산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자화(子華), 호는 해은(海隱). 할아버지는 충선공(忠宣公) 문익점(文益漸)이다. 문영(文英)은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1396)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393년(태조 2)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교리를 지냈으며, 이후 선산부사를 거쳐 홍문관직제학을 역임하였다. 형 문래(文萊)가 목화에서 실을 뽑는 물레를 만...
-
고려시대 구미 출신의 문신. 윤신준은 본관은 해평(海平)이며 해평윤씨의 원조(遠祖)가 되는 인물로, 고려 인종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르고 해징부원군(海澄府院君)에 봉해졌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중소(仲素), 호는 추봉(秋峰). 국자감정 윤변(尹忭)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영의정 윤두수(尹斗壽), 아버지는 문익공(文翼公) 윤방(尹昉), 어머니는 판관 한의(韓漪)의 딸이다. 윤이지는 1600년(선조 33) 문음(門蔭)으로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가 된 뒤 양구현감·은산현감·적성현감·통진현감·용안현감을 역임하였다....
-
고려 전기 해평김씨의 시조. 김훤술(金萱述)은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후손으로 고려 태조를 도와 개국공신이 되었으며, 삼중대광보국문하시중(三重大匡輔國門下侍中)에 오르고 해평군(海平君)에 봉해졌다. 후손들이 그에 따라 본관을 해평으로 하였다. 시호는 장렬(壯烈)이며, 후인들이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수호신으로 추앙하고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해평리 영응사(靈應祠)에 석상을 만들어 모셨...
-
고려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김수는 고려 후기에 과거에 급제하여 대사간·직제학·개성윤을 지냈고,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을 토벌한 공으로 해평군(海平君)에 봉해졌고, 조선왕조가 개국한 후에는 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경상북도 구미의 선산에 우거하면서 매월 초하루에 학생들을 모아 학문을 강론하였고, 성산(星山)으로 이사해서 이숭인(李崇仁)과 도의로 사귀면서 녹봉서당(鹿峯書堂)...
-
고려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고려 후기에 판공부사를 역임한 해평윤씨(海平尹氏)의 시조 충간공(忠簡公) 윤군정(尹君正)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충렬왕대 부지밀직사사를 역임한 윤만비(尹萬庇), 아버지는 영의공(英毅公) 윤석(尹碩)이다. 형이 문영공(文英公) 윤지현(尹之賢)이며, 아들이 대호군 윤보(尹寶)이다. 영의정 윤두수(尹斗壽)와 좌찬성 윤근수(尹根壽)가 8...
-
고려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고려 후기에 판공부사를 역임한 해평윤씨(海平尹氏)의 시조 충간공(忠簡公) 윤군정(尹君正)의 현손이며 충렬왕대 부지밀직사사를 역임한 윤만비(尹萬庇)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영의공(英毅公) 윤석(尹碩), 아버지는 해평군(海平君) 윤지표(尹之彪)이다. 윤진은 1382년(우왕 8) 판후덕부사(判厚德府事) 재임 시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
길시우를 시조로 하는 경상북도 구미시 세거 성씨. 길당(吉塘)은 고려 문종 때 송나라에서 귀화한 팔학사의 한 사람으로서 벼슬이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이르고, 해평백(海平伯)에 봉해졌는데, 이것이 해평길씨의 뿌리가 되었다. 그 후 계대(系代)가 실전(失傳)되었다가 후손인 성균관생원(成均館生員) 길시우(吉時遇)를 시조로 삼아 세계(世系)를 잇고 있다. 해평길씨는 야은 길재(吉再)의 음...
-
김훤술을 시조로 하여 경상북도 구미지역에 살았던 성씨. 시조 김훤술(金萱述)이 고려 건국 일등공신으로 삼중대광(三重大匡)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르고 해평군(海平君)에 봉해졌다. 후손들이 김훤술이 해평군에 봉해진 것을 연유로 그곳을 관향으로 삼았다고 한다. 김훤술 이후의 계대(系代)가 실전(失傳)되었고 또한 달리 상고(詳考)할 문헌도 없어, 고려조에 홍호시전직(弘虎寺殿直)을 지낸...
-
『선산부읍지(善山府邑誌)』의 ‘인물 고려조’에는 김훤술을 “본관이 해평(해평인)이다. 태조(太祖)를 도와 공을 세워 지위가 시중(侍中)에 이르렀다. 시호(諡號)는 장렬공(莊烈公)이다.”라고 적고 있다. 그는 일찍이 마을 주민들이 성황사에 안치하여 민간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왔다. 그 흔적이 아직까지 전해지고 있는데, 지금도 김훤술 석상은 마을 뒷개숲의 시중사(侍中祠)에 모...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월호리에 있는 농공단지. 1990년 1월 24일에 해평면 월호리 일원을 농공단지로 지정하였으며, 1990년 10월 5일부터 농공단지 조성 공사를 시작하였다. 1991년 9월 24일에 해평농공단지 조성 공사를 완료하였다. 해평농공단지는 전체 지정 면적이 62,000㎡이며, 조성 면적은 43,000㎡, 공공시설 면적이 19,000㎡이다. 2014년 12월 31일...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해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상류 주택. 1788년(정조 12)에 지은 집으로, 건너편에 위치한 쌍암 고택의 주인인 최광익이 차남의 살림집으로 지었으나, 형제가 집을 바꾸었다. 본가인 쌍암 고택에서 바라볼 때 북쪽 언덕이라서 북애 고택이라 불린다. 해평동 북애 고택은 ㄷ자형의 정침과 ㅡ자형의 중문간채가 튼 口자형을 이루며 동북향하여 자리 잡고 있고, 중문간채 앞...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해평리에 있는 조선시대 사당. 해평김씨의 시조인 장렬공(莊烈公) 김훤술(金萱術)의 석상(石像)을 봉안하여 공덕을 추모하는 사당이다. 해평동 시중사(侍中祠)는 정면 3칸, 측면 1칸 반 규모의 맞배기와집이다. 정면의 간살은 양측간을 반 칸 규모로 잡아 실제 정면의 길이는 2칸 규모이다. 화강석으로 소로수장한 무익공(無翼工)집으로 기둥은 앞면에만 둥근 기둥을 사...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해평리는 솔미[松山], 보천, 상송(일명 산성), 뒷마, 골안, 남촌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솔미는 송산사가 있던 곳이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인재 최현(崔晛)의 유허비가 있다. 보천은 낙동강 해평의 낙동강나루가 있어 소금배가 닿으며 해평들의 곡식을 안동 쪽으로 나르던 보천탄 자리이다. 상송은 해평산성이 있던 곳이다. 뒷마는 해평김씨...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해평리 큰마마을에서 음력 정월 14일 밤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평리 큰마마을 동제는 마을의 주산(主山)인 갈마산(해발 64.4m)에서 음력 정월 14일 저녁 8시경에 보천사 스님이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주민들은 이를 흔히 ‘주산 제사’라고 부른다. 해평리는 낙동강을 끼고 있는 자연마을로서, 흔히 ‘해...
-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행정구역. 신라 때 병정현·파정현이었다가 고려 성종 때에 해평현으로 개칭되었고, 조선 초기에 인동현에 예속되었다. 그 뒤 해평방·산내방으로 불리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해평방과 산내방을 통합하여 선산군 해평면이 되었고, 1995년 구미시와 선산군 통합으로 구미시 해평면이 되었다. 북쪽에서 서쪽으로 경사를 이루는 지형으로 도개면 경계에 냉산이 솟아...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월호리에 있는 해평면 관할 행정기관. 경상북도 구미시를 구성하고 있는 2개 읍(선산읍·고아읍), 6개 면(무을면·옥성면·도개면·해평면·산동면·장천면), 19개 동(송정동·원평1동·원평2동·지산동·도량동·선주원남동·형곡1동·형곡2동·신평1동·신평2동·비산동·공단1동·공단2동·광평동·상모사곡동·임오동·인동동·진미동·양포동) 중 해평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
-
조선시대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가회(可晦), 호는 치천(稚川). 사용 윤희림(尹希琳)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국자감정 윤변(尹忭), 아버지는 영의정 윤두수(尹斗壽), 어머니는 관찰사 황기(黃琦)의 손녀이자 참봉 황대용(黃大用)의 딸이다. 동생이 정민공(靖敏公) 윤흔(尹昕), 장익공(章翼公) 윤휘(尹暉)이다. 윤방은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58...
-
고려 후기 해평부원군에 봉해진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할아버지는 고려 후기에 판공부사를 역임한 해평윤씨(海平尹氏)의 시조 충간공(忠簡公) 윤군정(尹君正), 아버지는 충렬왕대 부지밀직사사를 역임한 윤만비(尹萬庇)이다. 윤석은 고려 충선왕 때 별장을 거쳐 충숙왕이 즉위하자 호군(護軍)에서 대언(代言)에 올랐다. 1320년(충숙왕 7) 총부전서(摠部典書)로서 천추사(千...
-
조선시대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자고(子固), 호는 월정(月汀). 장원(掌苑) 윤계정(尹繼丁)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사용 윤희림(尹希林), 아버지는 군자감정 윤변(尹忭), 어머니는 부사직 현윤명(玄允明)의 딸이다. 형이 해원부원군(海原府院君) 윤두수(尹斗壽)이다. 윤근수는 김덕수(金德秀),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1558년(명종 13) 문과에 급...
-
해평을 본관으로 하여 경상북도 구미지역에 살았던 성씨. 해평섭씨(海平葉氏)에 대하여 『일선지(一善誌)』를 비롯한 몇몇 읍지류의 성씨조에 임진왜란 이후 없어졌다고 서술하고 있을 뿐 달리 상고할 자료는 전하지 않는다. 통계청의 인구 조사에 의하면 해평섭씨는 1985년에는 총 2가구 8명, 2000년에는 총 4가구 10명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월호리에 있는 천주교 대구대교구 소속 성당. 해평성당은 구미시가 공업단지로 발전하기 전에 구미 지역을 가로지르는 낙동강 동부지역의 중심지인 해평면 월호리에 1969년 11월 7일 설립되었다. 일요일 오전 9시와 11시에 주일 미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평일 미사는 월요일·수요일·금요일에는 오전 10시와 화요일·목요일에는 오후 8시에 진행하고 있다. 토요일 오후...
-
해평을 본관으로 하여 경상북도 구미지역에 살았던 성씨. 해평손씨(海平孫氏)에 대하여 『일선지(一善誌)』를 비롯한 몇몇 읍지류(邑誌類)의 성씨조에 임진왜란 이후 없어졌다고 서술하고 있을 뿐 달리 상고(詳考)할 자료는 전하지 않는다....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에 있는 낙동강 본류와 주변의 습기가 많은 땅. 습지(濕地)는 바다와 강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축축한 토지로, 항상 침수 상태에 있거나 홍수 시 침수하기 쉬운 토지를 말한다. 낙동강과 같은 하천의 자연제방 배후의 낮은 지역에 형성된 습지를 배후습지라고 하며, 충적평야 등의 낮은 곳에 나타나는 것을 저습지라 부르기도 한다. 람사협약이 규정하는 습지는 자연적 또는...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성리에 있는 재래시장. 해평시장 자리에는 조선 선조 때까지 시가원이라는 국립여관과 해평객사가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없어졌다. 이후 해평면 낙성리 지역을 중심으로 상업이 발전하여 시장의 형태를 이루었으며, 1920년대 초부터 정기시장을 형성하였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들어서는 오일장으로 크게 발전하였으며, 특히 우시장은 하루에 소가 300마리 씩...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월호리에 있는 우편, 체신, 금융 기관. 우체국은 국장의 지위에 따라서 4급(서기관국), 5급(사무관국), 6급(주사국), 7급(주사보국)으로 분류되거나 기능에 따라서 체신청, 우편집중국, 집배국, 무집배국으로도 분류된다. 또한 설립 주체에 따라 일반우체국, 별정우체국, 우편취급소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급과 5급우체국은 총괄국으로서 기초자치 단체 단위로...
-
해평을 본관으로 하여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 살았던 성씨. 해평유씨(海平柳氏)에 대하여 『일선지(一善誌)』를 비롯한 몇몇 읍지류(邑誌類)의 성씨조에 임진왜란 이후 없어졌다고 서술하고 있을 뿐 달리 상고(詳考)할 자료는 전하지 않는다....
-
윤군정을 시조로 하는 경상북도 구미시 세거 성씨. 시조 윤군정(尹君正)은 고려 고종과 원종 때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서 수사공(守司空)·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공부판사(工部判事)를 지냈다. 손자 윤석(尹碩)은 고려 충숙왕 때 충근절의동덕찬화보정공신·벽상삼중대광으로서 도첨의사·우의정·판전리사사를 지냈으며 해평부원군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해평을 본관으로 하였다. 윤군정의...
-
해평을 본관으로 하여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 살았던 성씨. 해평전씨(海平全氏)에 대하여 『일선지(一善誌)』를 비롯한 몇몇 읍지류(邑誌類)의 성씨조에 임진왜란 이후 없어졌다고 서술하고 있을 뿐 달리 상고(詳考)할 자료는 전하지 않는다....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월호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기본 예절과 민주시민의 자질을 길러주는 인성 교육, 지식 기반 사회에 적응력 높고 심신이 건강한 인재, 정보 수집과 활용 능력이 뛰어난 창의적인 인간, 근검절약하며 질서를 생활화하는 예의 바른 인간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부지런히 배우고 스스로 일하자’이다. 1953년 4월 1일 해평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금산리의 베틀산 서쪽 사면에서 시작하여 도문리, 월호리, 낙성리, 해평리를 거쳐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하천. 해평천은 『새마을하천표』에 도문천(하폭 20m, 몽리면적 0.17㎢)으로 표시되어 있다. 구미시 지역을 통과하는 낙동강의 중심 하천들 가운데 하나로 해평면 중심지가 하류부에 위치하고 있다. 해평천은 하류 부근에서 직선으로 낙동강에 연결되지 않고 남서쪽에...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월호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정직하고 예절 바른 어린이, 새로운 생각으로 탐구하는 어린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22년 5월 9일 해평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23년 5월 18일 2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41년 해평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64년 10월 26일 괴...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 지역의 조선시대 행정구역 명칭. 이 지역은 낙동강 동쪽의 분지로 대구에서 다부를 거쳐 해평·낙동·태봉·문경으로 이어지는 도로와 의성·군위·개령으로 이어지는 도로가 교차하여 육상 교통로의 중요한 거점이면서 또한 낙동강 유역의 해상 교통로였으므로 일찍부터 창(倉)이 설치되어 물자 수송의 요충지가 되었다. 또한 해평(海平)이라는 지명처럼 넓고 비옥한 평야 지대를 이...
-
경상북도 구미시 지산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지낸 박도환의 송덕비(頌德碑). 구미시 지산동에 소재하는 계선각(繼善閣)은 중추원의관 박도환, 혜민원참서관(惠民院參書官) 박효달(朴孝達), 유학(幼學) 박조용(朴詔鏞) 등 3대에 걸쳐 자선을 베푼 밀양박씨 문중 세 인물의 송덕비를 보호하기 위해 세운 비각이다. 계선각이 세워진 후 신평동에서 이곳으로 옮겨온 ‘학생박동...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안강(安康). 자는 행원(行遠). 아버지는 노이진(盧以晋)이다. 노성여(盧聖與)는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반대 당파의 방해로 삭탈관직되었으며, 이후 은거하여 학문과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공공 문제 해결 및 공공 서비스의 생산·분배와 관련된 지방자치단체의 제반 활동.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행정의 중심은 국가의 질서 유지에 있었다. 그러나 현대의 행정은 이러한 기능에 더하여 시민의 일상생활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작용을 하고 있어, 복지국가 시대의 행정이 실질적 의미의 행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선산 지역은 562년(진흥왕 23) 일...
-
경상북도 구미시를 형성하고 있는 전체 면적과 행정 체계. 구미는 지리적으로 경상북도의 서남부에 위치하여 예로부터 이 지역의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현재 구미시의 경계는 동남쪽으로는 칠곡군, 서쪽으로는 김천시, 북쪽으로는 상주시, 동북쪽으로는 군위군 및 의성군과 접하고 있다. 낙동강이 북에서 남으로 관류하여 농업의 중심지였으나, 1970년대 초부터 구미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서...
-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주아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인물 박근석의 송덕비(頌德碑). 박근석은 조선 말 중추원의관을 지낸 인물로서 여러 모로 백성들에게 시혜를 베풀었기에 주민들이 이를 기려 선정비를 세웠다. 구미시 옥성면사무소 앞 공터에 박태훈 기념비와 함께 세워져 있다. 높이 143㎝, 너비 45.5㎝, 두께 15.5㎝의 비신을 세우고 그 위에 팔작지붕의 덮개돌을 얹은 형태다. 덮개돌...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교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본래 동내면 지역으로서 선산향교가 있다 하여 향교마 또는 교촌이라 하였다. 또 이 고을을 생골이라고 하는 것은 이 곳에 향교가 있는 관계로 생원들이 많았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생골의 북쪽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고, 남동쪽은 소하천을 따라 나타나는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골짜기 입구에 마을이 조성되어 있는데, 주변의 샘골, 뒷골,...
-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동에서 음력 9월 6일에 지내는 열녀 향랑을 기리는 추모 제사. 열녀 향랑(香娘)은 조선 숙종 때, 구미시 형곡에서 박자신의 딸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행실이 바르고 정숙하였다. 계모 밑에서 자라면서도 효성을 다하고 순종하였다. 17세 때에 임천순의 아들 칠봉에게 시집을 갔으나 남편의 행패가 극심하여 시부모의 뜻에 따라 친정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계모의 박대가...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국가와 향토를 지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일어나 싸운 민병. 1592년 4월 13일 일본군이 부산진을 침략하면서 북상하자 구미 선산에서는 노경임(盧景任)을 대장으로 하는 선산향병(善山鄕兵)이 조직되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일본군이 들이닥치면서 곧 무너졌다. 그리고 해평 출신 부안현감 고한운(高澣雲)이 군졸과 흩어진 의사들을 모아 금오산성에서 진을 치고 일...
-
조선시대 구미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나주. 자는 복초(復初), 호는 향와(香窩). 초암(草庵) 정윤우(丁允祐)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정건수(丁建壽)이다. 벼슬은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를 거쳐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를 지냈다....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선산읍에서 단계교를 거쳐 이문리로 가는 큰길 위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노상리(路上里)라 하였다. 처음에는 청송심씨들이 정착하여 살면서 고향을 그리워하여 향촌(鄕村)이라 불렀다. 감둥골은 감나무가 많은 지역으로 감씨(甘氏) 성을 가진 사람이 이곳에 정착하여 살았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성걸은 우물이 흐르던 곳에 있는 느티나무 아래 제단(祭壇)...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료와 특유의 조리법으로 만든 음식. 향토음식은 한 고장에서 독특하게 개발된 음식으로서 그 고장이 갖는 기후, 지세, 자연 환경에 순응하면서 개발되고 그 고장이 겪어온 정치, 경제, 문화 변천의 영향을 받으면서 형성된 음식이다. 그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토 지역에서만 생산되는 특산 재료를 사용하여 그것에 적합한 조리법으로 발전시킨...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겸(許蒹)의 호는 성산(性山)이다. 아버지는 청추헌(聽秋軒) 허조(許祚), 어머니는 진성이씨이고, 방산 허훈의 동생이자 왕산 허위의 형이다. 허겸은 다른 이름으로 허혁(許爀)·허환(許煥)·허노(許魯)를 같이 사용하였다. 허겸은 1896년 3월 아우인 허위가 김산에서 이기찬을 대장으로 추대하여 의진을 일으키자 찬획으로 참여하였다. 이어...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형식(許亨植)은 1909년 11월 18일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 임은동에서 허필(許苾, 1855~1932)의 아들로 태어나 조국 광복을 위해 온 몸을 바쳤던 항일투사였다. 본명은 허극(許克)으로 알려져 있으나 호적에는 허연(許埏)으로 등재되어 있다. 한말 의병장 왕산 허위(許蔿, 1855~1908)의 종질이기도 하다. 허형식은 북만주...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겸(許蒹)의 호는 성산(性山)이다. 아버지는 청추헌(聽秋軒) 허조(許祚), 어머니는 진성이씨이고, 방산 허훈의 동생이자 왕산 허위의 형이다. 허겸은 다른 이름으로 허혁(許爀)·허환(許煥)·허노(許魯)를 같이 사용하였다. 허겸은 1896년 3월 아우인 허위가 김산에서 이기찬을 대장으로 추대하여 의진을 일으키자 찬획으로 참여하였다. 이어...
-
개항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학자이자 의병장. 본관은 김해. 호는 방산(舫山). 도학문장(道學文章)으로서의 기대 때문에 아명(兒名)을 허도문(許道文)이라 했다. 불고헌 허돈(許暾)이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 임은동에 옮겨 살면서 세칭 임은허씨로 불리워졌다. 청추헌 허조(許祚)의 장자로 태어나 백부 허정(許柾)의 양자로 들어갔다. 1894년 동학혁명이 일어나던 해 위암 장지연(張志淵)...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판소리 창자가 판소리를 부르기에 앞서 목을 풀기 위하여 부르는 짧은 노래. 단가는 판소리 창자가 길고도 어려운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목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부르는 곡이다. 사설의 내용은 흔히 중국 고사나 명승고적 및 인생 감회를 담고 있으며, 대체로 중모리 장단에 평조와 평이한 선율로 되어 있어 화평하고 담담한 느낌을 준다. 허두가(虛頭歌)라고도 한다. 송...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학(許壆)의 자는 박경(博卿)이다. 왕산 허위의 4남 2녀 가운데 장남이다. 아명은 허만령(許萬齡)이며, 일명 허형(許瀅) 혹은 허영(許瑩)이라고도 하였다. 허학은 아버지 왕산 허위가 1907년 경기도 연천에서 창의할 때 참여하여 연락과 무기 조달을 담당하였다. 1912년 중부(仲父)인 성산 허겸을 따라 가족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여 박...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여진(汝珍), 호는 호재(浩齋). 증조부는 허추(許錘), 할아버지는 허선(許譔), 아버지는 사정(司正) 허정(許禎)이다. 1519년(중종 14) 진사시를 거쳐 같은 해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사관(史官)과 주서가 되었다. 조선 중종 연간 기호사림파를 대표했던 정암 조광조의 문하에서 수업하였다. 1524년(중종 19)...
-
조선시대 구미 출신의 학자.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사심(士心), 호는 낙서(洛西). 죽암(竹庵) 허경윤(許景胤)의 후손이며, 할아버지는 생원 남애(南厓) 허참이다. 문학과 행의(行誼)로 사우(士友)가 경복(敬服)하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형식(許亨植)은 1909년 11월 18일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 임은동에서 허필(許苾, 1855~1932)의 아들로 태어나 조국 광복을 위해 온 몸을 바쳤던 항일투사였다. 본명은 허극(許克)으로 알려져 있으나 호적에는 허연(許埏)으로 등재되어 있다. 한말 의병장 왕산 허위(許蔿, 1855~1908)의 종질이기도 하다. 허형식은 북만주...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학(許壆)의 자는 박경(博卿)이다. 왕산 허위의 4남 2녀 가운데 장남이다. 아명은 허만령(許萬齡)이며, 일명 허형(許瀅) 혹은 허영(許瑩)이라고도 하였다. 허학은 아버지 왕산 허위가 1907년 경기도 연천에서 창의할 때 참여하여 연락과 무기 조달을 담당하였다. 1912년 중부(仲父)인 성산 허겸을 따라 가족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여 박...
-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위(許蔿)가 활동하던 시기는 조선 왕조 말기로, 1895년 명성왕후 시해사건, 1905년 11월 을사보호조약과 그에 따른 을사의병(乙巳義兵), 1907년 해이그밀사사건과 고종의 강제 퇴위, 군대해산으로 이어지면서 조선은 국가로서의 주권을 서서히 상실해가고 있었다. 허위는 이러한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막대한 재산을 내어 의병을 결성하여 일제...
-
조선 말기 일본의 주권침략에 대항하여 싸운 허위의 구국 의병투쟁.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한반도에서 그들의 우월한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을미사변(乙未事變)을 일으키는가 하면, 조선인들의 고유한 문화적 전통과 민족정신을 말살하기 위해 두발과 복장의 형태마저 강제로 바꾸도록 하였다. 이른바 이것이 단발령(斷髮令)과 변복령(變服令)이다. 일찍부터 일본과 서양을 금수(禽獸)로 여겼던...
-
조선 말기 일본의 주권침략에 대항하여 싸운 허위의 구국 의병투쟁.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한반도에서 그들의 우월한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을미사변(乙未事變)을 일으키는가 하면, 조선인들의 고유한 문화적 전통과 민족정신을 말살하기 위해 두발과 복장의 형태마저 강제로 바꾸도록 하였다. 이른바 이것이 단발령(斷髮令)과 변복령(變服令)이다. 일찍부터 일본과 서양을 금수(禽獸)로 여겼던...
-
조선 말기 일본의 주권침략에 대항하여 싸운 허위의 구국 의병투쟁.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한반도에서 그들의 우월한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을미사변(乙未事變)을 일으키는가 하면, 조선인들의 고유한 문화적 전통과 민족정신을 말살하기 위해 두발과 복장의 형태마저 강제로 바꾸도록 하였다. 이른바 이것이 단발령(斷髮令)과 변복령(變服令)이다. 일찍부터 일본과 서양을 금수(禽獸)로 여겼던...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무신. 양민의 신분으로 무과에 급제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경상우도의 병마절도사 민영(閔泳)의 막하로 종군하였다. 척후장(斥候將)이 되어 광주(廣州) 쌍령의 경안교에서 청병(淸兵)을 만나 7~8명을 죽이고, 이튿날 적의 대규모 공격에 대항하여 군사를 이끌고 싸워 격퇴시켜 허장군(許將軍)이라는 칭송을 들었다. 이 공으로 훈련원첨정을...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종(許鍾)의 자는 성증(聖曾), 호는 중산(重山)이다. 아버지는 방산 허훈의 장자인 허숙이다. 외조부는 한주 이진상이다. 일찍이 조부인 허훈으로부터 글을 배웠다. 허종은 종조부인 허겸과 같이 신민회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20년 전후에는 백농(白儂) 이동하(李東廈)가 경영하였던 대구의 삼산여관을 중심으로 김응섭(金應燮)·김...
-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정치가. 김윤환은 경북고등학교와 경북대학교 영문학과를 거쳐 미국 오하이오대학교 신문대학원을 수료하였다. 1955년부터 대구일보사를 시작으로 동화통신을 거쳐 조선일보사의 기자로 활동하였다. 이후 주일·주미 특파원으로 활동하였고, 1975년부터 조선일보사의 편집국장을 역임하였다. 1979년 제10대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이후 11·13·14·15대 국회의원...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묵어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웃머들의 동쪽인 금정산(錦井山) 기슭에 있는 마을로서 1923년 이전에는 허천이라고 불렀으나, 지금은 삼산이라 부른다. 허천으로 불리었을 당시에는 현재의 마을 위치보다 서쪽에 위치하였는데 그 곳에 도둑이 많아 현재의 마을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경북마을지』에서 금정산, 유악산, 금오산 등 3개의 기슭에 있는 마을이어서 삼산이라 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학(許壆)의 자는 박경(博卿)이다. 왕산 허위의 4남 2녀 가운데 장남이다. 아명은 허만령(許萬齡)이며, 일명 허형(許瀅) 혹은 허영(許瑩)이라고도 하였다. 허학은 아버지 왕산 허위가 1907년 경기도 연천에서 창의할 때 참여하여 연락과 무기 조달을 담당하였다. 1912년 중부(仲父)인 성산 허겸을 따라 가족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여 박...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겸(許蒹)의 호는 성산(性山)이다. 아버지는 청추헌(聽秋軒) 허조(許祚), 어머니는 진성이씨이고, 방산 허훈의 동생이자 왕산 허위의 형이다. 허겸은 다른 이름으로 허혁(許爀)·허환(許煥)·허노(許魯)를 같이 사용하였다. 허겸은 1896년 3월 아우인 허위가 김산에서 이기찬을 대장으로 추대하여 의진을 일으키자 찬획으로 참여하였다. 이어...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형(許蘅)의 호는 범산(凡山)이다. 허희(許禧)의 장자이며 허필(許苾, 1855~1932)의 형이다. 방산 허훈 형제와는 사촌간이다. 첫째아들 허민(1870~1910)은 1904년 제릉참봉, 1907년 궁내부주사를 지냈다. 둘째아들 허발(1872~1955)과 셋째아들 허규(許珪, 1884~1957)는 모두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딸 허...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학(許壆)의 자는 박경(博卿)이다. 왕산 허위의 4남 2녀 가운데 장남이다. 아명은 허만령(許萬齡)이며, 일명 허형(許瀅) 혹은 허영(許瑩)이라고도 하였다. 허학은 아버지 왕산 허위가 1907년 경기도 연천에서 창의할 때 참여하여 연락과 무기 조달을 담당하였다. 1912년 중부(仲父)인 성산 허겸을 따라 가족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여 박...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형식(許亨植)은 1909년 11월 18일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 임은동에서 허필(許苾, 1855~1932)의 아들로 태어나 조국 광복을 위해 온 몸을 바쳤던 항일투사였다. 본명은 허극(許克)으로 알려져 있으나 호적에는 허연(許埏)으로 등재되어 있다. 한말 의병장 왕산 허위(許蔿, 1855~1908)의 종질이기도 하다. 허형식은 북만주...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겸(許蒹)의 호는 성산(性山)이다. 아버지는 청추헌(聽秋軒) 허조(許祚), 어머니는 진성이씨이고, 방산 허훈의 동생이자 왕산 허위의 형이다. 허겸은 다른 이름으로 허혁(許爀)·허환(許煥)·허노(許魯)를 같이 사용하였다. 허겸은 1896년 3월 아우인 허위가 김산에서 이기찬을 대장으로 추대하여 의진을 일으키자 찬획으로 참여하였다. 이어...
-
개항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학자이자 의병장. 본관은 김해. 호는 방산(舫山). 도학문장(道學文章)으로서의 기대 때문에 아명(兒名)을 허도문(許道文)이라 했다. 불고헌 허돈(許暾)이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 임은동에 옮겨 살면서 세칭 임은허씨로 불리워졌다. 청추헌 허조(許祚)의 장자로 태어나 백부 허정(許柾)의 양자로 들어갔다. 1894년 동학혁명이 일어나던 해 위암 장지연(張志淵)...
-
경상북도 구미에서 활동한 행정가. 본관은 김해. 1904년 9월 4일 아버지 허종(許鍾)과 어머니 이녕발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남이·권태을·주류조이다. 허흡의 가계는 임은동 입향조 허돈(許暾)에서 시작하여 허임(許恁) - 허정(許柾) - 허훈(許薰) - 허숙 - 허종(許鍾) - 허흡(許洽) - 허억(許檍) - 허렴(許燫)으로 이어진다. 허흡의 묘소는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일선. 자는 헌가(獻可). 도감판관 승의랑 김완식(金完湜)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동래교수 김백경(金伯卿)이다. 김순은 1537년(중종 32) 문과에 급제하고, 형조정랑과 충청도사를 지냈다. 천성이 강직하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청백리에 녹선되기도 하였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상로(商老). 수원부사 윤처성(尹處誠)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승문원참교 윤면(尹沔), 아버지는 첨정 윤훤(尹萱), 어머니는 현감 김모(金模)의 딸이다. 형이 정성공(靖成公) 윤은보(尹殷輔)이다. 윤은필은 1504년(연산군 10)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부교리, 장령, 부응교 등을 거쳐 1530년(중종 25) 도승지, 부제...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인덕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마을 뒷산이 선인이 부채를 거꾸로 드리운 형상이며 덕을 드리는 곳이라고 해서 현디기라는 명칭이 붙었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자연마을인 문수, 용인, 지검, 헌덕을 합하여 인덕리로 개칭하였다. 문수산 아래 어름골이 있는데, 여름에는 얼음이 얼고 겨울에는 녹아내린다고 한다. 면의 동쪽에 있으며 마을을 관통하는 국도 25...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산. 자는 헌보(獻甫). 할아버지는 경상북도 구미의 덕산황씨 입향조인 황정문(黃正文)이고, 아버지는 증병조참판 황구수(黃龜壽)이다. 형으로 목사(牧使) 황린(黃璘)이 있다. 동생 황필과 함께 진사시에 합격하고 1502년(연산 8) 문과에 급제하여 교리(校理)와 동래부사를 역임하였다....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헛개나무는 중부 이남의 표고 50~800m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황해도 등에 분포하며 금오산을 비롯하여 주왕산, 오대산, 태백산, 월악산 등지에 자란다. 환경부 특정식물종 4등급에 해당한다. 높이 10m에 이른다. 나무껍질은 흑회색이며 작은 가지는 갈자색(褐紫色)으로 껍질눈...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조선 시대 인물 유운용의 선정비. 유운용의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응견(應見), 호는 겸암(謙菴)이다. 임진왜란 때 영의정으로 국난 극복에 공을 세운 유성룡(柳成龍)의 형으로 퇴계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릴 때부터 총명하여 모든 경사(經史)를 통독함으로써 사문의 촉망을 받았다. 1572년(선조 5) 친명(親命)으로 음사(蔭仕)를...
-
고려 전기의 왕후. 본관은 일선(一善). 본명은 김국(金國). 외할아버지는 시중(侍中)에 추증된 김원숭(金元崇), 외할머니는 화의군대부인(和義郡大夫人)에 봉하여진 왕씨(王氏)이다. 아버지는 고려 성종, 어머니는 성종의 제2비 문화왕후(文和王后) 김씨(金氏)이다. 모후의 성을 따라 김씨로 하였다. 목종이 폐위되고 현종이 즉위하여 왕비로 삼고 현덕왕후(玄德王后)라 하였다. 1010년(...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인덕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마을 뒷산이 선인이 부채를 거꾸로 드리운 형상이며 덕을 드리는 곳이라고 해서 현디기라는 명칭이 붙었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자연마을인 문수, 용인, 지검, 헌덕을 합하여 인덕리로 개칭하였다. 문수산 아래 어름골이 있는데, 여름에는 얼음이 얼고 겨울에는 녹아내린다고 한다. 면의 동쪽에 있으며 마을을 관통하는 국도 25...
-
경상북도 구미시 황상동에 있는 조선시대 서원. 조선 중종 때 유학자인 죽정(竹亭) 장잠(張潛)을 배향하는 서원이다. 장잠은 자(字)는 호원(浩源), 호는 죽정(竹亭)으로 조선 중종 및 명종 때의 유학자이다. 정암 조광조의 문하에서 글을 배웠고, 1531년(중종 26)에 진사가 되었으며 도덕과 학문이 뛰어나 존경받았다. 현암서원은 1692년(숙종 18) 9월에 현암사우(賢巖祠宇) 2...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홍익인간의 이념아래 명랑·성실·창의를 바탕으로 한, 심신이 깨끗하고 사람다운 품격을 중히 여기는 건강한 사람을 육성하여 국가와 민족, 인류사회 발전에 이바지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이다. 구체적으로는 심신을 깨끗이 하고 품격을 중히 여기는 참된 사람,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며 공동체발전에 기여하는 실력을 갖춘 사람, 개성을 존중하고...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항곡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명랑 성실 창의’를 바탕으로 한, 심신이 깨끗하고 사람다운 품격을 중히 여기는 건강한 현일인을 육성하여 국가와 민족, 인류사회 발전에 이바지한다는 건학 이념을 가지고 있다. ‘올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갖춘 글로벌 현일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심신이 깨끗하고 품격을 중히 여기며, 또한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며 공동...
-
경상북도 구미시에 전해 오는 모친의 한평생 한 맺힌 삶을 노래한 규방가사. 「혈루 뿌린 사친가」는 한 집안의 성쇠와 모친의 파란만장한 삶의 굴곡을 가까이에서 지켜본 딸의 입장에서 노래하였다. 「혈루 뿌린 사친가」는 대체로 서사·본사·결사의 구성 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3·4조 또는 4·4조의 4음보 율격으로 되어 있다. 서사에서는 고르지 않은 세상사와 집안이 몰락하여 모친과 형제가...
-
석채는 원래 향교의 석전을 이르는 명칭이었다. 현지에서는 서원의 향사에 약간 미치지 못하는 제사를 이르고 있다. 현지 주민의 설명에 따르면, 지역 유림의 공인에 의하여 서원을 설립하고 서원 내의 사당에 모신 분을 향사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아직 서원을 갖추지 못했으나, 향사를 드리지 않기에는 못내 서운하기 때문에 석채를 모신다고 한다. 따라서 서원의 향사보다 작은 규모로 모시...
-
향사는 단순히 배향자에 제사를 지내는 절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원래 향사의 집행은 입재일에서 파재일까지 여러 단계를 거친다. 향사는 크게 입재, 향례, 파재,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입재는 재계, 희생과 제물의 진설, 분정, 사축이다. 향례는 전폐, 초헌, 아헌, 종헌, 음복, 망예이다. 파재는 음복개좌와 출문당회이다. 그러나 현재의 동락서원 향사는 당일 입재하여...
-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동에 있는 형곡1동 관할 행정기관. 경상북도 구미시를 구성하고 있는 2개 읍(선산읍·고아읍), 6개 면(무을면·옥성면·도개면·해평면·산동면·장천면), 19개 동(송정동·원평1동·원평2동·지산동·도량동·선주원남동·형곡1동·형곡2동·신평1동·신평2동·비산동·공단1동·공단2동·광평동·상모사곡동·임오동·인동동·진미동·양포동) 중 형곡1동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동에 있는 형곡2동 관할 행정기관. 경상북도 구미시를 구성하고 있는 2개 읍(선산읍·고아읍), 6개 면(무을면·옥성면·도개면·해평면·산동면·장천면), 19개 동(송정동·원평1동·원평2동·지산동·도량동·선주원남동·형곡1동·형곡2동·신평1동·신평2동·비산동·공단1동·공단2동·광평동·상모사곡동·임오동·인동동·진미동·양포동) 중 형곡2동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올바른 품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 목표이다. 구체적으로는 (1)바른 삶을 실천하는 예의바른 민주시민을 기른다. (2)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갖춘 실력 있는 지성인을 기른다. (3)스스로 미래를 개척하고 탐구하는 창조인을 기른다. (4)공동체 의식으로 배려와 사랑을 실천하는 봉사인을 기른다. (5)명랑 활달하며 심신이 조화...
-
경상북도 구미시에 속하는 법정동. 들 좋고 수세 좋기로 유명한 곳으로 가시나무가 많아 형곡(荊谷)이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선산군 하고면(下古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형동(上荊洞)·하형동(下荊洞)·하신동(下新洞)·동림동(東林洞)·부산동(釜山洞) 각 일부를 병합하여 형곡동이라 하고 구미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 구미면이 읍으로 승격하면서 구미읍 형곡동이 되었고...
-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2동에 있는 재래시장. 형곡중앙시장은 1993년 5월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2동 321번지[형곡로 186] 일대에 상가건물이 완공되면서 개장하였다. 형곡중앙시장은 부지 면적 3,163.9㎡에 건축 면적 3,358.88㎡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물 규모는 지하 1층에 지상 2층이다. 형곡중앙시장은 상설시장으로 전체 133개의 점포가 입점해 있으며, 업종별로는 의류와...
-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지식 정보화 사회와 무한 경쟁의 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실력과 인성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학력 향상, 다양한 소질 계발, 도덕적 인성 함양 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건강한 사람, 성실한 사람, 유능한 사람’이다. 1990년 11월 29일 형곡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91년 3월 1일 초대...
-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스스로 실천하는 어린이, 정직하고 예의 바른 어린이,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1년 3월 1일 송정국민학교에서 분리된 32학급 921명으로 형곡국민학교가 개교하였다. 1995년 3월 1일 형곡국민학교에서 형남국민학교가 분리되었다. 1996년 3월 1일 형곡초등학교로 교명...
-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사랑을 아는 참된 사람, 미래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사람, 모두를 위할 줄 아는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생각하며 찾는다’이다. 1993년 4월 27일 형남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4년 3월 4일 7학급 346명으로 개교하였다. 초대 권대웅 교장이 취임하였다. 1997년 2월 14일 제1회 졸업식을 가졌다....
-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는 어린이, 정직하고 예절 바른 어린이, 자기 소질을 키워가는 어린이, 자기 스스로 실천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3년 8월 2일 형남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1995년 3월 1일 형곡국민학교에서 23학급을 분리하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 형남초등학교로 교명...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형보(亨甫). 할아버지는 박영(朴英)이다. 박경지(朴敬祉)는 1635년(인조 13) 무과에 급제하였고, 이듬해 무과중시(武科重試)에 장원 급제하였다. 이후 여러 무관직을 거쳐 1643년 함경남도병마절도사를 지냈고, 1648년 전라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1654년(효종 5) 경상좌도병마절도사를 거쳐 1658년 경상우도병마절...
-
경상북도 구미시 형곡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서로 돕고 예의 바른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실천하는 어린이,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3년 3월 1일 형곡국민학교에서 분리되어 형곡서부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 형곡서부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가 1999년 3월 1일 현재의 형일초등학교로 다...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과 옥성면을 나누는 산지 지형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 형제봉(531m)의 동쪽으로 낙동강이 남동 방향으로 굽이쳐 흐르고 있다. 남쪽에는 감천과 그 지류들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 낙동강으로 유입되며, 북쪽에는 옥성면의 넓은 들이 펼쳐져 있다. 형제봉을 중심으로 하는 산지 지형은 북동쪽이 산지에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면 거의 낙동강과 감천에 둘러싸여 있는 섬과 같...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자는 형중(瀅仲), 호는 국정(菊亭). 할아버지는 경상북도 구미의 덕산황씨 입향조인 황정문(黃正文)이고, 아버지는 증병조참판 황구수(黃龜壽)이다. 1449년(세종 31)에 태어났다. 2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내직(內職)으로 교리(校理)와 승지(承旨)를 역임하였고, 외직(外職)으로 단양군수와 남원군수를 거쳐 상주목사를 역임하였다....
-
고려 후기의 승려. 혜각비를 지은 안진(安震)은 1313년 과거에 급제하고 1318년 원의 제과에 급제한 인물이므로 혜각비를 찬한 시기는 적어도 1313년 이후이며, 선산의 주륵사에 비문이 새겨진 것 역시 그 이후일 것이다. 체원(體元)이 뽑아 정리한 『화엄경관음지식품(華嚴經觀音知識品)』 후지에 따르면 혜각은 화엄종 승려이다. 그의 제자 보응대사(普應大師) 인원(忍源)이 체원의 가...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호고(好古), 호는 낙서(洛西). 증이조판서 장철견(張哲堅)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사인(舍人) 장계문(張季文), 아버지는 군수 장기정(張麒禎), 어머니는 조광침(趙光琛)의 딸로 백천조씨(白川趙氏)이다. 장만은 1591년(선조 24)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있다가 예문관검열, 전생주부, 형조좌랑, 예조좌랑, 지평 등을 거쳐...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에 있는 조선 후기 실학자 유휘문이 세운 살림집. 1700년대에 지은 이 집은 설립자 유휘문의 호를 따서 ‘호고와 종택’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본래 안동시 임하면 마령리 가르편마을에 있었으나 임하댐 수몰 지역에 편입되어 1987년에 현 위치로 옮겨지었다. 종택은 정면 5칸, 측면 4칸 규모의 ㅁ자형 겹집이다. 사랑방 오른쪽에는 감실 1칸이 돌출되어 편날...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홀아비바람꽃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바람꽃(Anemone)속 식물이다.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며, 환경부 특정식물종 4등급에 해당한다. 이른 봄 개화기에 남획이 많이 이루어져 자생지를 철저히 보호하고 있다. 꽃대가 1개씩 자라 홀아비바람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높...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헛개나무는 중부 이남의 표고 50~800m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황해도 등에 분포하며 금오산을 비롯하여 주왕산, 오대산, 태백산, 월악산 등지에 자란다. 환경부 특정식물종 4등급에 해당한다. 높이 10m에 이른다. 나무껍질은 흑회색이며 작은 가지는 갈자색(褐紫色)으로 껍질눈...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백중 무렵에 논매기를 마치고 일꾼을 대접하는 풍습. 곰배기 날이 되면 주인집에서는 일꾼들에게 ‘꼼비기 돈’이나 쌀·의복 등을 선물로 주고 음식을 제공하며, 힘든 일을 마쳤다고 며칠간의 휴가를 주기도 한다. 봄철 4월경에 못자리를 마치고 나서 먹는 것을 ‘4월 꼼비기’라고 하고, 7월 백중 즈음에 세벌논매기를 마치고 먹는 것은 ‘7월 꼼비기’라고 한다. 바쁜...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호박꽃을 소재로 하여 부르는 유희요. 「호박꽃요」는 식물을 소재로 한 민요로서, 다른 지역에서도 흔하지 않은 노래이다. 「호박꽃요」는 호박을 보고 임을 그리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호박꽃의 잎은 마치 사람의 손바닥처럼 생겨서 호박 넝쿨을 보고 사람의 손을 연상하여 노래를 만들었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넝출넝출 호박넝쿨 담장 안에 손을 주고/우리님은 어디가고...
-
경상북도 구미시 도량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건물. 경상북도 구미시 도량동에 있는 선산인 충순위(忠順衛) 김광보의 존모지소로 1928년에 건립되었다. 통훈대부 장교원(張敎遠)의 기문이 있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일선(一善). 자는 순좌(舜佐), 호는 호와(箎窩). 아버지는 야은(野隱) 김술로(金述魯)이다. 김익흠(金益欽)은 부친의 등창을 입으로 빨고 하늘에 기원하여 완쾌시켰으며, 부모를 봉양하는데 정성을 다했다. 부친의 상을 당해서는 3년 동안 시묘(侍墓)하였다. 이후 효행을 인정받아 효자에 정려되었다....
-
조선 전기의 구미 출신의 유생.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호원(浩原), 호는 죽정(竹亭). 장금용(張金用)의 후손이다. 할아버지는 통례문통찬(通禮門通贊) 장맹저(張孟儲), 아버지는 충순위 장적손(張嫡孫), 어머니는 전호군(典護軍) 최한충(崔漢忠)의 딸로 화순최씨(和順崔氏)이다. 후손들이 현재의 경상북도 구미시 황상동 일대에 세거함에 따라 훗날 인동장씨 황상파(凰顙派)의 파조가 되...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여진(汝珍), 호는 호재(浩齋). 증조부는 허추(許錘), 할아버지는 허선(許譔), 아버지는 사정(司正) 허정(許禎)이다. 1519년(중종 14) 진사시를 거쳐 같은 해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사관(史官)과 주서가 되었다. 조선 중종 연간 기호사림파를 대표했던 정암 조광조의 문하에서 수업하였다. 1524년(중종 19)...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미혼의 남성과 여성이 부부로 인정받는 평생의례. 전통적인 혼례는 『사례편람』이 널리 보급된 조선 후기부터 일반적으로 의혼(議婚), 납채(納采), 납폐(納幣), 친영(親迎)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큰 범주에서는 구미 지역의 전통 혼례 절차도 이와 비슷하지만,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차이가 있다. 현재 구미 지역은 다른 지역과 같이 전통적인 혼례 방식은 볼 수 없고,...
-
군위댁은 올해(2007년) 76세로 군위군 소보면 율리 사리2동 흔히 새기터라 불리는 곳이 친정이다. 성씨는 은씨이며, 이름은 대전(大田)으로 충청남도 도청소재지와 이름이 같아 사람들이 한 번 들으면 잊어버리지 않는다고 한다. 19세에 선산김씨인 남편 김영동(金泳東) 씨에게 시집왔다. 남편은 네 살 위였는데 11년 전 작고하였다. 세시풍속을 비롯하여 마을의 이모저모에 대...
-
야송댁(여, 94세) 할머니가 혼자 살고 계신 이 목조 기와집은 신동 마을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전통 가옥이다. 이 집은 일자형(一字形)의 사랑채와 안채, 아래채, 마구간채가 튼 구(口)자형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 기와집인데, 평면은 좌측에 부엌 1칸을 두고 우측으로는 사랑방 2칸과 사랑마루 1칸을 연접시켰으며 전면(前面)에는 쪽마루를 설...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홀아비바람꽃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바람꽃(Anemone)속 식물이다.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며, 환경부 특정식물종 4등급에 해당한다. 이른 봄 개화기에 남획이 많이 이루어져 자생지를 철저히 보호하고 있다. 꽃대가 1개씩 자라 홀아비바람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높...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홀아비바람꽃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바람꽃(Anemone)속 식물이다.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며, 환경부 특정식물종 4등급에 해당한다. 이른 봄 개화기에 남획이 많이 이루어져 자생지를 철저히 보호하고 있다. 꽃대가 1개씩 자라 홀아비바람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높...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홀아비바람꽃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바람꽃(Anemone)속 식물이다.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며, 환경부 특정식물종 4등급에 해당한다. 이른 봄 개화기에 남획이 많이 이루어져 자생지를 철저히 보호하고 있다. 꽃대가 1개씩 자라 홀아비바람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높...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헛개나무는 중부 이남의 표고 50~800m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황해도 등에 분포하며 금오산을 비롯하여 주왕산, 오대산, 태백산, 월악산 등지에 자란다. 환경부 특정식물종 4등급에 해당한다. 높이 10m에 이른다. 나무껍질은 흑회색이며 작은 가지는 갈자색(褐紫色)으로 껍질눈...
-
경상북도 구미에서 활동한 행정가. 본관은 김해. 1904년 9월 4일 아버지 허종(許鍾)과 어머니 이녕발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남이·권태을·주류조이다. 허흡의 가계는 임은동 입향조 허돈(許暾)에서 시작하여 허임(許恁) - 허정(許柾) - 허훈(許薰) - 허숙 - 허종(許鍾) - 허흡(許洽) - 허억(許檍) - 허렴(許燫)으로 이어진다. 허흡의 묘소는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선산부사 홍술조의 선정비. 홍술조(洪述祖)는 병자호란 때 청군에 항거한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인 홍익한(洪翼漢)의 손자로서 음사로 벼슬길에 나아가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금천현감(衿川縣監)으로서 흉년에 봉록을 내어 진휼함으로써 선산부사에 승차하였다. 뒤에 순천부사로 있으면서도 진휼(賑恤)과 치적이 높이 평가받기도 하는 등 지방관으...
-
개항기의 문신. 음사(蔭仕)로 관직에 올라 1873년(고종 10) 대사간이 되었으며, 이듬해에 대사간에 재임명되었다가 곧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이 해에 흥선대원군을 등에 업고 대일 외교를 담당하던 부산훈도(釜山訓導) 안동준(安東晙)이 백성의 재물을 빼앗아 치부했다고 계를 올려 처형당하도록 하였다. 1875년에는 지방의 부호와 사족들에 죄를 씌워 재물을 빼앗고 수많은 세납물을...
-
경상북도 구미시에 불천위 사당이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응지(應之), 호는 휴휴당(休休堂).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세종조부터 성종조까지 살았던 문인으로 문장과 글씨에 능했으며, 이름난 재상이었다. 1471년(성종 2) 익성 부원군(益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유용(洪有龍), 할아버지는 증 영 중추부사 홍덕보(洪德輔)이고, 아버지는 한성...
-
조선시대 구미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홍중(弘仲), 호는 경암(敬菴). 할아버지는 노희식(盧希軾)이고, 아버지는 노수함[(盧守諴), 1516~1573]이다. 어머니는 인동장씨(仁同張氏)로 장열(張烈)의 딸이며, 부인은 풍산유씨(豊山柳氏)로 유운용(柳雲龍)의 딸이다. 노경임(盧景任, 1569~1620)은 장현광(張顯光, 1554~1637)과 유성룡(柳成龍, 1542~...
-
경상북도 구미시 진평동에 있는 조선 기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던 홍훈의 선정비. 홍훈은 음사로 벼슬길에 진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고, 1875년(고종 12) 경상도관찰사로 도임하였다. 관찰사로서의 그의 행적을 살펴보면, 1875년에는 부민(富民)과 지방 사족(士族)에 대한 수탈과 침학이 극심하여 죄를 씌워 재물을 빼앗고, 수많은 세납물을 갖가지 방법으로 횡령, 남징(濫徵)하...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는 뱀과에 속하는 파충류. 현재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뱀류는 뱀아목의 뱀과·바다뱀과·살모사과 등 3과로 분류되어 있다. 뱀과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유혈목이속·능구렁이속·실뱀속·뱀속 등 4속 7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유혈목이속에는 대륙유혈목이와 유혈목이 2종이 서식한다. 몸길이는 평균 70~80㎝이나 남쪽으로 갈수록 길어진...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도개면 청산리에 위치한 산 구미시를 지나는 낙동강의 왼쪽, 곧 동쪽의 산지 지형 가운데 가장 높은 산이 청화산(700m)이며, 이 산과 연결되어 북동쪽 방향의 낮은 봉우리가 화산이다. 산의 북서쪽과 남동쪽에는 계곡이 있고, 여기로 흐르는 물은 군위군을 관통하는 위천으로 흐르고 있다. 그리고 삼각 형태의 산지 지형 꼭지점에 청산리의 청운동마을이 있다. 청운동마...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학자. 본관은 신천(信川). 할아버지는 승랑장 강인석이고, 아버지는 강윤리이다. 강거민은 태종 대에 반역죄로 죽임을 당한 영의정 심온의 아들 심회(1418~1493)를 양자로 키웠다. 유모가 심회를 데리고 선산 땅에 도착하였을 때, 마을에 살던 강거민과 부인 전씨가 앞들 삼밭에서 용이 하늘로 올라가는 꿈을 같이 꾸고서 마을에 와 있던 심회를 양자로 들였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무신. 정영은 1610년(광해군 2) 현재의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포상리에서 출생하였다. 어릴 때부터 자질과 기백이 남달라 누구도 그 뜻을 거스르지 못했다. 신장이 8척에 도량이 넓고 활달하며 그 음성이 우렁차 집안에서 하인에게 명하는 소리가 몇 리 밖까지 들렸다고 한다. 본관은 해주. 자는 화숙(和叔). 신당 정붕(鄭鵬)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병조판서(兵曹...
-
경상북도 구미시 광평동에 속하는 자연마을. 약 300여 년 전 전주이씨가 터를 잡아 형성된 마을로 살구나무가 많아서 새봄마다 살구꽃이 아름답게 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새로이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터라 부른다. 낙동강의 충적 평야 위에 세워진 작은 마을로서 경부고속국도 구미인터체인지가 있는 교통의 요지이다. 구미가 공업도시로서 급격한 변화를 겪었고 바로 옆에 공단이 들어섰음에...
-
조선 후기의 구미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화심(華深), 호는 신천(信天). 만회당(晩悔堂) 장경우(張慶遇)의 6세손이다. 아버지는 증호조참판 장광표(張光表)이다. 장동원은 영조 때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경주영장(慶州營將)을 역임하고 수직으로 동지중추부사에 제수되었다....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송곡리 도리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화엄석탑(華嚴石塔)이라 부르는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우리나라 석탑 가운데 같은 유형을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로 조성되었다. 해평면 송곡리 도리사 극락전 앞뜰에 위치한다. 지대석은 10장의 장대석으로 결구(結構)되었는데, 상면에 각형일단(角形一段)의 받침을 각출하여 기단부를 받치고 있다. 기단부 네 모퉁이에 방주(方柱)...
-
1413년(태종 13)부터 1995년까지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 설치되었던 행정구역. 조선시대 태종 때부터 불린 이름으로, 고을에 도적이 없고 인심이 좋아 살기 좋은 곳이므로 선산이라 하였다. 본래 신라의 일선군(一善郡)이었는데 614년(진평왕 36) 일선주(一善州)를 설치하고, 다시 757년(경덕왕 16) 숭선군(嵩善郡)으로 개칭했다. 고려초인 995년(성종 14)에 선주(...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반죽한 찹쌀가루 위에 꽃잎을 얹어 기름에 지진 떡. 화전은 삼짇날의 세시음식이다. 1611년 『도문대작(屠門大爵)』에서 ‘전화법’, ‘유전병’으로 처음 기록된 이후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과 『경도잡지(京都雜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등의 많은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먼저 찹쌀가루에 소금을 약간 넣고 끓는 물로 익반죽한다. 대추, 국화 잎, 국화 꽃잎...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풍수지리상 비봉산 봉황을 즐겁게 하기 위하여 꽃을 심고 새가 노래하는 마을로 만들었다 하여 화조리(花鳥里)라 하였다. 본래 동내방(東內坊)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조남리(鳥南里)를 병합하여 화조동이 되었고, 이후 현재의 선산읍 화조리가 되었다. 비봉산 지맥인 남산(藍山)으로 이어지다 비봉산을 향해 다소곳이 돌아앉은 듯한...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화조2리에 있는 수령 250년의 팽나무. 팽나무는 느릅나무과의 낙엽 교목으로, 우리나라의 정자나무 가운데 느티나무 다음으로 많이 심어져 있는 수종이다. 높이는 20m에 달하고 평지에서 양지와 음지를 가리지 않으나 평탄하고 깊은 땅을 좋아한다. 성장이 빠른 편이며, 뿌리가 잘 발달하여 강풍과 해풍에도 강하고 내염성이 있어 동해안 일대에서 좋은 생육을 보이고 있...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화중(和仲). 아버지는 통선랑(通善郞) 장보한(張輔漢)이다. 장여간은 당시의 선산도호부(善山都護府)에서 태어났다. 1633년(인조 11)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1635년(인조 13) 증광 문과에 합격하였으며 판관과 현감을 역임하였다....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화투장의 특성을 나열하면서 부르는 노래. 「화투노래」는 1984년 7월 27일 구미시 선산읍 노상리의 최용보(남, 당시 63세)와 7월 10일 고아읍 오로리의 김분이(여, 당시 82세)가 가창한 것을 채록하였다. 「화투노래」는 화투장에 담겨 있는 내용을 하나씩 먼저 제시하여, 월별로 자신의 속마음을 사설로 엮어 부르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투노래」는 일제...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환갑을 맞이한 부모에게 만수무강을 기원하면서 부르는 노래. 「환갑 노래」는 1984년 8월 24일 구미시 무을면 원리의 정순이(여, 당시 68세)와 7월 10일 고아읍 오로리의 김분이(여, 당시 82세)가 부르는 것을 채록하였다. 「환갑 노래」는 낳아주시고 길러주신 부모님의 환갑을 맞이한 기쁨을 사설로 엮어 부른다. 이 노래의 구성과 형식은 뚜렷하지 않지만 환갑...
-
환경미술협회 구미시지부에서 해마다 열고 있는 환경 미술 전시회. 환경미술협회 구미시지부는 2000년대 새롭게 설립된 단체로, 운영상 여러 가지 어려움도 많았으나 회원들 상호간의 노력으로 환경미술협회 구미지부전이 알찬 내용과 형식으로 지속되었다. 이후 구미를 비롯한 도내 각 시군에 환경미술협회 지부가 설립되면서 시군 지부와의 협력 속에서 명실상부한 경상북도 전체의 미술제로 변모를 준...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자연환경 보호를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제반 활동. 우리나라의 환경운동은 1980년대에 비로소 시작되었다. 1980년대 환경운동은 민주화 운동의 일부였으며 그것은 환경운동의 특징이기도 하였다. 환경 문제가 민주화 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정치적 민주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환경운동은 1987년 6월 민주화 운동을 기점으로 하여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진...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학자. 본관은 일선(一善). 자는 고풍(古風), 호는 활계(活溪). 아버지는 매돈(梅墩) 김번(金蕃)이다. 김진호(金震頀, 1571~1615)는 평생 동안 학문 연구에 노력하였으며, 만년에는 역학(易學)에 통달하여 「방원도(方圓圖)」와 「범주도(範疇圖)」를 저술하였다. 저서로는 『활계선생집(活溪先生集)』이 있다. 구미의 화강서원(華江書院)에 제향되었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인. 본관은 덕산(德山). 자는 태수(鮐叟), 호는 고산(孤山) 또는 매학(梅鶴). 할아버지는 경주부윤 황필이고, 아버지는 진사 황옥(黃沃)이다. 1521년(중종 16)에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대망리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진사가 되어 여러 번 벼슬에 천거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학문과 서도에만 정진하여 서예의 대가가 되었으며 특히 초서에 능했다. 모재...
-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주아리에 있는 조선 말 황두선(黃斗善)의 효자비. 황두선은 장수인(長水人)으로 영상(領相) 황희(黃喜)의 후손이며, 황충로(黃忠老)의 아들이다. 양친이 병환에 있으면 필요한 물품을 구하기 위하여 백방으로 노력하였고, 한 번도 병석을 떠나지 않았다. 노환으로 양친이 별세하자 피눈물을 흘리며 여막(廬幕)을 짓고 3년간 시묘(侍墓)를 한 후에도 초하루 보름에 묘를...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 깽깽이풀은 꽃이 예쁘고 약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남획이 극심하여 자생지에서의 소멸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 환경부 특정식물종 5등급에 해당한다. 뿌리가 노란색이어서 황련(黃蓮)·조선황련이라고도 한다. 한편 깽깽이풀의 아름다움에 반한 이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자는 형중(瀅仲), 호는 국정(菊亭). 할아버지는 경상북도 구미의 덕산황씨 입향조인 황정문(黃正文)이고, 아버지는 증병조참판 황구수(黃龜壽)이다. 1449년(세종 31)에 태어났다. 2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내직(內職)으로 교리(校理)와 승지(承旨)를 역임하였고, 외직(外職)으로 단양군수와 남원군수를 거쳐 상주목사를 역임하였다....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에 속하는 법정리. 앞에 비봉산이 있어서 봉산(鳳山)이라 하였다가, 수놈인 봉(鳳)끼리 마주 보는 것은 좋지 않다 하여 황산(凰山)이라 하였다. 또 비봉산의 봉(鳳)과 황산동의 황(凰)이 앞들의 소나무 숲이 우거진 오봉산에서 알을 낳고 그 알을 서로 지켜보았다고 하여 유래한 이름이라고도 한다. 물항(勿項)·물목이라고도 부른다. 자연마을로 가운데골목, 큰골목,...
-
경상북도 구미시에 속하는 법정동. 인동 8경 가운데 2경과 3경인 봉두조하(鳳頭朝霞), 황상숙무(凰桑宿霧)에서 따서 봉상동(鳳桑洞)이라 하였다. 행정상 명칭은 황상동(黃桑洞)으로 황상산(黃桑山) 밑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2013년 1월 16일 구미시 고시 제2013-11호에 의해 한자 지명을 황상동(凰顙洞)으로 변경하여, 일제 강점기 왜곡되었던 명칭을 원래 지명으로 복원하였다....
-
경상북도 구미시 황상동 금강선원에 있는 고려시대 마애여래입상. 구미시 황상동의 속칭 석현(石峴)이라 불리는 고갯길 왼쪽으로 솟아 있는 암벽의 앞면에 조각된 마애여래입상이다. 높이는 약 7m이며, 다리 밑에는 연화(蓮華)를 새긴 대(臺)를 갖추었고, 머리 위는 별석(別石)으로 갓 모양을 갖추었을 것으로 여겨지나 일부가 파괴되어 원래 모습을 찾을 길이 없다. 머리카락은 아래로 내려져...
-
조선 전기 경상북도 구미시 황상동 지역 세심당 암벽에 새겨진 글자. 세심당은 1523년(중종 18)에 축조한 연당(蓮塘)으로 알려졌다. 죽정(竹亭) 장잠(張潛)이 지은 『세심당기문』이 있었으나 분실되어 사라졌다. 황상동 세심당 암각은 구미시 황상동 죽림정사(竹林精舍)의 오른편에 있다. 황상동 세심당 암각은 세심당의 암벽에 ‘세심당’이라고 세로로 새겨져 있다. ‘세심’이라는 말은 역...
-
조선 전기 경상북도 구미시 황상동 지역에 있는 세심당 암벽에 새겨진 글자. 조선 중종 때 인동현감으로 있던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은 공무가 끝나면 수레를 타고 죽림정사를 방문하여, 이 암벽에 앉아 죽정(竹亭) 장잠(張潛)과 학문을 강론하였다고 전한다. 이현(二賢)은 이언적과 장잠을 가리키는 것이다. 황상동 이현암 암각은 구미시 황상동 죽림정사 서편에 있는 세심당(洗心塘) 위에...
-
경상북도 구미시 황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주인 정신을 실천하는 어린이, 공중 질서를 지키는 어린이, 끈기 있게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을 단련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1년 2월 28일 황상국민학교로 설립 승인을 받아 1992년 3월 2일 28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2년 본관 교사를 준공하고, 1993년 교사 17칸을 증축하였다. 1996년 3월...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봉남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산세가 좋고 황새가 많이 서식하여 봉덕산(鳳德山)이라 부르며, 두루미(황새)가 해마다 찾아와 서식하므로 황새골 또는 대조리(大鳥里)라 하였다. 울고개, 울곡이라고도 하며 조선 초기 김천 구읍 오진사댁 규수가 신당게 정진사댁 도령과 혼인하였지만 신랑이 곧 죽게 되자 오진사댁 규수는 신랑없는 시집살이를 살면서 친정으로 넘어가면서 울고...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읍성 서문 밖에 있는 마을로 읍으로 들어오는 입구이므로 이문(里門)이라 하였다. 마을을 개척할 당시 새와 연꽃이 많다고 하여 연봉(連鳳), 고려 숭선군(崇善郡) 때 뒷산의 모양이 날개를 편 큰새[大鳥]의 형상 같다 하여 황새골[大鳥谷]이라고도 불렀다. 약 1,500년 전에 김해김씨가 처음 정착하여 이루어진 마을로, 비봉산 오른쪽 날개 끝자락...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이문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뒷산(선산여자중학교 뒷산)의 모양이 날개를 편 큰 새(大鳥)의 형상과 같다 하여 황새월이라 했다. 원래 서내방 대조동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선산면 이문동으로 편입되었다. 현재 선산읍 이문리의 한 마을이 되었다. 선산읍사무소에서 서쪽으로 약 500여m 지점으로 장원봉 아래 있다. 읍내에서 가장 먼저인 1980년대 우공...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산. 자는 헌보(獻甫). 할아버지는 경상북도 구미의 덕산황씨 입향조인 황정문(黃正文)이고, 아버지는 증병조참판 황구수(黃龜壽)이다. 형으로 목사(牧使) 황린(黃璘)이 있다. 동생 황필과 함께 진사시에 합격하고 1502년(연산 8) 문과에 급제하여 교리(校理)와 동래부사를 역임하였다....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웅곡리에 있는 개항기 효자 황중화의 정려비. 황중화는 평해인(平海人)으로 자는 응오(應五) 호는 국사(菊史)이다. 무을 웅곡리에서 출생하였으며, 효행이 지극하였다. 부친의 병환 때 변을 맛보며 탕약(湯藥)을 조절하였고, 변을 보지 못하면 입으로 빨아주었다. 부친의 타계 후 3년 시묘를, 부모님 살아계실 때처럼 하였다. 황중화의 효행에 감동을 받은 선산 유림(...
-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평해. 자는 국서(國瑞), 호는 월정(月庭). 1888년 4월 17일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성수리에서 황봉수(黃鳳秀)의 둘째 아들로 출생하였다. 황진박은 1910년 조선이 일본에 합병되자 책장을 박차고 일어나 약장사로 변장하여 뜻있는 동지를 찾아 각처를 두루 다녔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 서울로 가서 구국 투쟁을 벌였다. 고향으로...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인. 본관은 덕산. 자는 백견(伯見), 호는 구산(龜山). 황필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호군(護軍) 황하윤(黃河潤)이다. 1617년(광해군 9) 14세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이이첨(李爾瞻) 등이 폐비론을 선동하여 황진용에게 글을 지어 상소하라 하자 “사람으로서 어머니를 폐하는 것은 인륜에 어긋난 일이니 죽어도 글을 쓰지 못 하겠다” 하고 상소에 불참하고 고...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문성리에서 음력 1월 15일 밤에 횃불을 무기로 사용하여 이웃 마을과 싸움을 하던 민속놀이. 횃불싸움은 고아읍 문성리를 비롯한 구미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 밤에 아이들이 쥐불놀이를 경쟁적으로 시작하다가 나중에는 마을 간에 결렬한 싸움을 하는 집단놀이이다. 이를 불싸움·쥐홰싸움·불쌈이라고도 한다. 횃불싸움에 대한 문헌기록으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정월 상원...
-
조선 전기 구미 지역 출신의 길재가 고려왕조를 회고하며 지은 시조. 길재(吉再, 1353~1419)는 여말선초의 성리학자로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재보(再父), 호 야은(冶隱)·금오산인(金烏山人)이다. 금주지사(錦州知事) 원진(元璡)의 아들로 경상북도 구미에서 출생하여 1363년 냉산(冷山) 도리사에서 처음 글을 배웠다. 길재는 고려왕조가 망하자 어머니 봉양을 핑계로 금오산에...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무덤을 만들 때 봉분 주변의 흙을 밟으며 부르는 의식요. 「달구소리」는 1984년 7월 26일 구미시 옥성면 초곡리 육종수(남, 당시 64세)와 선산읍 노상리 한계술(남, 당시 80세)이 부르는 노래를 채록하였다. 「달구소리」는 망자의 시신을 묻고 봉분을 다지면서 동작을 통일하기 위해 선후창 형식으로 부른다. 선창자가 앞소리를 하면 나머지 일꾼들은 선창하는 사람...
-
조선 전기 인동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여강(驪江). 초명은 이적(李迪), 자는 복고(復古), 호는 회재(晦齋)·자계옹(紫溪翁). 할어버지는 참군 이수회(李壽會), 아버지는 이번(李蕃), 어머니는 계천군(鷄川君) 손소(孫昭)의 딸로 경주손씨(慶州孫氏)이다. 경주손씨 가문은 일찍이 경주 양동에 자리 잡은 세력으로, 손소 손중돈(孫仲暾) 등 현달한 관료를 배출하였다. 이언적은 경상...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박증휘는 유배를 감수하면서 용기 있게 많은 상소를 올려 국정 쇄신에 힘을 보탠 인물로, 현종조에 유명한 칠간신(七諫臣) 중의 하나이다.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회중(晦中), 호는 낙정(洛汀). 할아버지는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 아버지는 효자 남강(南江) 박진환(朴震煥), 어머니는 김선(金璇)이다. 박증휘는 1648년(인조 26) 식년문과에 병과...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에 속하는 법정리. 산이 비스듬하게 자리 잡고 있어 횡산(橫山)이라 하였다. 자연마을로 신동(新洞), 대방골[大方谷], 도롱골, 말골 등이 있다. 신동은 새로 생긴 마을이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대방골의 이름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대방초등학교 뒤에 큰대방골이 있었으나 없어지고 지금의 대방골, 즉 작은대방골에 새로운 동네가 생겼다. 도롱골은 약 500년 전 이곳...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 자는 자온(子韞), 호는 무명재(無名齋)·효량(孝良). 증조할아버지는 함양군수 강윤리(康允釐)이고, 할아버지는 영덕현감 강거례(康居禮)이다. 아버지는 용양위부사과 강척(康惕)이며, 어머니는 김숙자(金淑滋)의 딸이며, 동생은 강중진(康仲珍)이다. 강백진은 김종직의 문인으로 1472년(성종 3) 생원이 되었으며, 1477년(성종 8) 문과에 급제하였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일선(一善). 자는 효선(孝先), 호는 신재(新齋). 할아버지는 김성경(金成慶)이고, 아버지는 김보(金甫)이며, 형은 김진조(金振祖)이다. 김진종(金振宗, 1496~1557)은 1528년(중종 23) 식년문과에 을과 2등으로 급제하였으며, 이후 홍문관응교, 경성판관(鏡城判官) 등을 역임하였다. 1545년(인종 1)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파직되어...
-
경상북도 구미시 시미동에 있는 (주)효성의 섬유 생산 공장. (주)효성은 1957년 효성물산 설립을 시초로 1966년 11월 동양나이론을 설립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1973년 6월 주식을 상장하였고, 1998년 9월에 (주)효성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효성그룹의 사업조직은 섬유, 산업자재, 화학, 중공업, 건설, 무역, 정보통신 등 7개 사업그룹(PG)으로 분류되고, 그 산하에 2...
-
경상북도 구미시 구포동에 있는 노틸러스효성(주)의 정보통신 기기 생산 공장. 효성그룹의 사업조직은 섬유, 산업자재, 화학, 중공업, 건설, 무역, 정보통신 등 7개 사업그룹(PG)으로 분류되고, 그 산하에 27개의 사업부(PU)를 두고 있다. 노틸러스 효성(주)는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주), 효성캐피탈(주)과 함께 정보통신 사업그룹에 포함되어 금융자동화기기를 주력제품으로 생산하고 있...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일선(一善). 자는 효숙(孝叔). 할아버지는 김성경(金成慶)이고, 아버지는 김보(金甫)이며, 동생은 김진종(金振宗)이다. 김진조(金振祖)는 1510년(중종 5) 식년문과에 병과 8등으로 급제하여 벼슬이 성균관사성에 이르렀다....
-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공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효언(孝彦), 호는 오봉(五峯). 연안군(延安君) 이숙기(李叔琦)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홍문관수찬 이세범(李世範), 아버지는 이천현감 이국주(李國柱), 어머니는 사직 박여(朴旅)의 딸로 정경부인 비안박씨(比安朴氏)이다. 이호민은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79년(선조 12) 진사에 합격하고 1584...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효자. 김기는 임진왜란을 당하여 산중에 피난했는데, 왜적이 숙부를 죽이고 다시 어머니를 범하려고 하자 막대기로 왜적과 맞서 싸우다가 피살당하였다....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부모를 극진하게 섬긴 아들. 가계(家系)의 연속이 중요시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가족제도 하에서는, 넓게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 좁게는 아버지와 아들 간의 관계가 가정 내 인간관계 중에서 가장 근원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흔히 부자관계(父子關係)로 표현되는 이 관계는, 부모와 자식이 각기 독립적인 인격자임을 상호간에 인정하는 바탕에서 발생한 인간관계가 아니...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효자. 본관은 상산(商山). 대호군 김려(金旅)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구주목사를 지낸 김명도(金明道)이다. 김보륜은 약관의 나이에 중사마(中司馬)를 하였고, 1519년(중종 14)에 문과에 등과한 후 안음현감을 거쳐 예조정랑이 되었다. 효성과 우애가 뛰어나 아버지가 멀리 출타하면 반드시 사람을 보내 안부를 듣고 난 후에 밥을 먹고 잠을 잤다. 또한 아버지의...
-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동·형곡동과 칠곡군 북삼읍 경계부에 걸쳐 있는 산. 옛날 모로실마을에 한 젊은이가 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는데, 어느 날 이 어머니가 앉은뱅이병이 들어서, 움직이지도 못하고 매일 쓸쓸히 누워만 있었다. 젊은이는 어머님의 병을 고치기 위하여 매일 해뜨기 전 한 산봉우리에 올라가 어머니의 병이 완쾌되기를 기원하였다. 마침내 그 지성에 감응되어 어머니의 병이 완쾌되었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일선(一善). 호는 강헌(岡軒). 아버지는 김방로(金邦老)이다. 김종리(金從理)는 양촌(陽村) 권근(權近, 1352~1409)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396년(태조 5) 식년문과에 동진사(同進士) 12등으로 급제하였다. 이후 임실현감(任實縣監)·진산도사(珍山都事)·고부도사(古阜都事) 등을 거쳐 예문관직제학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효정(孝貞)이...
-
조선 후기 인동부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효징(孝徵), 호는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 1587~1667)는 유성룡(柳成龍, 1542~1607)과 장현광(張顯光, 1554~1637)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623년(인조 1) 알성문과에 급제하였다. 1633년(인조 11) 선산부사로 부임하였으나 이듬해 파직되었다. 이후 시강원보덕·사간원사간·동부승지·공조...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백옥(伯玉), 호는 낙남(洛南). 증조부는 증좌승지 최치운(崔致雲), 할아버지는 증좌참찬 최심(崔深), 아버지는 관찰사 인재(訒齋) 최현(崔晛), 어머니는 의성김씨로 창원부사 김복일(金復一)의 딸이다. 해평에서 출생하였다. 1627년 9월(인조 5) 이인거(李仁居)가 후금과의 화친을 비판하며 횡성에서 일으킨 반란에 관련했다 하여 아...
-
조선 시대 구미 출신의 유생.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백임(伯任), 호는 훈재(塤齋). 형조판서 윤상저(尹尙著)의 후손이며 묵헌(黙軒) 윤희빙(尹希聘)의 증손이다. 윤홍선은 8세에 『소학(小學)』의 대의에 통달하고 오직 학문을 탐구하는 데 뜻을 두었으며 한강(寒岡) 정구(鄭逑),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원리 금오산(金烏山...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봉산리에 있는 전자 소재 제조 기업. 2000년 6월 (주)휘닉스디스플레이전자가 설립되어 7월에 1983년 10월 설립된 (주)보광의 구미공장 전자부품사업부의 자산·부채 및 영업권, 종업원 등을 포괄 양수하였다. 2003년 4월에(주)휘닉스PDE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04년 5월 PDP 파우더(Powder) 제2공장을 준공하였고 같은 해 6월 코스닥에...
-
경상북도 구미시에 불천위 사당이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응지(應之), 호는 휴휴당(休休堂).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세종조부터 성종조까지 살았던 문인으로 문장과 글씨에 능했으며, 이름난 재상이었다. 1471년(성종 2) 익성 부원군(益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증조할아버지는 홍유용(洪有龍), 할아버지는 증 영 중추부사 홍덕보(洪德輔)이고, 아버지는 한성...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의령(宜寧). 호는 흑구(黑鷗). 아버지는 남경희(南景熙)이며, 어머니는 용궁전씨(龍宮全氏)이다. 남상순(南相淳)은 무을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1940년 1월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대학 부설 대판중학교(大阪中學校)에 입학하였다. 1941년 9월 전영수(田永秀)가 일제의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조선청년학생이 주동이 되어 독립을 달성...
-
박정희 정권시절, 경제개발 5개년계획과 새마을운동이라는 개혁운동으로 우리나라 전역에는 소위 근대화의 물결이 불어 닥쳤다. 1차 산업 중심의경제적 기반이 2차 산업, 즉 공업중심으로 바뀌는 과정이 박정희 정권시절에 진행되었다. 이러한 와중에 가장 일찍, 그리고 가장 강하게 근대화와 공업화의 영향을 받은 곳이 현재의 구미시였다. 박정희 대통령의 고향이기도 한 이곳에 구미산업...
-
경상북도 구미시의 시조(市鳥). 구미시는 희작(喜鵲)이라 하여 기쁜 소식을 알려 주는 전령인 까치를 시조로 정하여 구미시의 새로운 발전과 화합을 기약하고 있다. 까마귀과에는 전 세계에 약 100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8종이 있다. 까치속에는 3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까치 1종이 분포한다. 까치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북서부에 분포하는 텃새이다. 몸길이 46㎝, 날개길...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고 있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솔나리는 환경부에서 희귀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11). 꽃이 옆을 향해 피면서 잎이 솔잎처럼 가늘어 솔나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높이 70㎝에 이른다. 줄기는 가늘고 단단하며, 비늘줄기는 길이 3~3.5㎝, 너비 2~2.5㎝ 달걀 모양 타원형이다. 잎은 길이 4~18㎝, 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