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062
한자 海南邑
영어공식명칭 Haenam-eup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태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면으로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55년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면에서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2년 07월 01일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복평리가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으로 편입
해남읍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지도보기
성격 법정읍
면적 65.2㎢
가구수 10,306세대
인구[남/여] 24,806명[남자 12,154명|여자 12,652명]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에 속하는 법정읍.

[명칭 유래]

고려시대 침명현해남현(海南縣)으로 개칭되어 처음으로 ‘해남’이라는 지명이 등장하였다. 조선 초 직촌화 과정에서 황원군(黃原郡)·죽산현(竹山縣)과 통합되면서 현재의 해남이 시작되었다. 1409년(태종 9) 해남현이 진도군과 합하여 해진군(海珍郡)이 되고, 1437년(세종 19) 해진군에서 해남과 진도가 분리되면서 해남현이 되었다. 현재의 해남읍이 읍호(邑號)로 처음 불린 것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해남면이 되면서이다. 이후 1955년 해남읍으로 승격하였다.

[형성 및 변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군일면과 군이면이 통합되면서 해남군 해남면으로 개설되었다. 1955년 해남면이 승격하여 해남군 해남읍으로 개편되었다. 1973년 마산면 복평리해남읍에 편입되었다.

해남은 조선 1409년에 해남현이 진도군과 합하여 해진군이 되고, 치소를 지금의 삼산면 평활리에 있는 구 녹산지로 옮겼다. 1412년에는 옥산 고현성으로 옮겨 지금의 해남읍 성내리에 읍성을 축조하기 시작하였다. 지금 해남읍성으로 치소를 옮긴 연대가 언제쯤인지는 자세하지 않으나, 읍성의 남문인 정원루가 완성된 해인 1469년 즈음으로 추측하고 있다. 진도와 합군되었던 해진군이 다시 해남현으로 분리된 것은 1437년이며, 이때에 비로소 현감이 상주하였다. 영암에 영속해 있던 해남현 시절에는 지금의 해남읍이 현일면, 현이면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해남현이 나주부 관할 해남군이 된 1895년 5월 12일 이후에는 군일면, 군이면이라 불렀다.

[자연환경]

북으로는 만대산금강산(金剛山)[488m]을 끼고 있고 남으로는 덕음산(德陰山)[381.3m]과 말매봉이 있는 평야지대가 펼쳐져 있다. 만대산은 동쪽에서 남으로 굽어 뻗고, 중간에 우슬재가 있다. 서쪽에는 남곽산이 있다.

[현황]

해남읍(海南邑)은 해남군의 군청소재지로 2018년 10월 31일 현재 면적은 65.2㎢이고, 평동리, 읍내리, 고도리, 남동리, 남외리, 성내리, 수성리, 해리, 신안리, 연동리, 안동리, 백야리, 내사리, 부호리, 남천리, 용정리, 구교리, 복평리 등 18개 법정리, 37개 행정리, 37개 자연마을에 1만 306세대, 2만 4806명[남자 1만 2154명, 여자 1만 2652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해남읍의 주요 공공기관은 해남세무서, 해남우체국, 전남해남경찰서, 해남교육지원청, 해남군농업기술센터, 광주보호관찰소 해남지소, 광주지방법원 해남지원, 해남고용센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전남지원 해남 진도 사무소, 해남군지역대, 해남자동기상관측소, 호남지방통계청 해남사무소, 해남소방서, 광주은행, 한국전력공사 해남지점, 국민건강보험공단 해남지사, 해남군선거관리위원회 등이 있다. 교육기관은 해남고등학교, 해남 공업고등학교, 해남중학교, 해남제일중학교, 해남동초등학교, 해남서초등학교가 있다.

해남읍 주민들은 주로 상업과 농업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해남읍 전체가 해남의 상권을 이루고 있으며, 미용실, 식당, 병원, 약국, 전자제품상, 공공기관, 교육기관, 아파트, 호텔 등이 있다. 농업의 주산물은 쌀, 보리, 배추, 고구마, 파프리카, 배, 단감, 장류, 버섯 등을 생산하고 있다. 농업용수는 금강저수지, 우슬저수지, 생미저수지 등을 활용하고 있다. 교통은 국도 제18호선국도 제13호선, 지방도 제806호선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다.

해남읍은 지형으로 보아 배드리[호천리] 안과 밖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배드리 안 해남읍해남읍의 한복판을 흐르고 있는 해남천을 중심으로 마을이 밀집되어 있어 관공서를 비롯하여 학교, 상가가 있는 시가지권을 형성하여 도시적 기능이 강하다. 그러나 배드리 밖은 남북으로 뻗어 있는 국도 제13호선을 경계로 하여 논밭과 산을 배경으로 농업 위주의 마을이 자리하고 있는 변두리권으로 분리된다.

주요 문화유적으로 「윤두서자화상(尹斗緖自畵像)」[국보 제240호, 1987년 12월 26일 지정], 해남윤씨 가전 고화첩 일괄(海南尹氏家傳古畵帖一括)[보물 제481호, 1968년 12월 19일 지정], 윤선도 종가 문적(尹善道宗家文籍)[보물 제482호, 1968년 12월 19일 지정], 윤단학 노비허여문기 및 입안(尹丹鶴 奴婢許與文記및立案)[보물 제483호, 1968년 12월 19일 지정]이 있고, 사적으로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海南尹氏綠雨堂一圓)[사적 제167호, 1968년 12월 19일 지정], 천연기념물로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海南綠雨壇榧子나무 숲)[천연기념물 제241호, 1972년 8월 2일 지정], 해남 성내리 수성송(海南城內里守城松)[천연기념물 제430호, 2001년 9월 11일 지정]이 있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는 해남 고산유고 목판 일괄(海南孤山遺稿木板一括)[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19호, 1999년 7월 5일 지정], 해남 약수사 불교 전적(海南藥修寺佛敎典籍)[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22호, 2015년 8월 6일 지정],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는 판소리고법(판소리鼓法)[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9-3호, 2002년 4월 20일 지정],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는 해남향교 대성전(海南鄕校大成殿)[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7호, 1984년 2월 29일 지정], 해남 민정기 가옥(海南閔正基家屋)[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86호, 1992년 3월 9일 지정]이 있다. 해남군 향토문화유산은 해남 연동리 윤재운 고택(海南蓮洞里尹在運古宅)[9호, 2003년 11월 24일 지정], 해남 성내리 단군전(海南城內里檀君殿)[12호, 2006년 1월 1일 지정], 해남 용정사(海南龍井祠)[16호, 2010년 5월 26일 지정], 해남 죽음사 영모재(海南竹陰祠永慕齋)[23호, 2013년 8월 1일 지정], 신안리 석불입상 및 석탑(新安里石佛立像및石塔)[24호, 2015년 6월 29일 지정], 금강산성(金剛山城)[27호, 2015년 6월 29일 지정], 해남 신안리 지석묘군(新安支石墓群)[28호, 2015년 6월 29일 지정]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