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200821 |
---|---|
한자 | 柳百之 |
이칭/별칭 | 이송당(二松堂),자능(子能)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광우 |
출생 시기/일시 | 1628년 7월 8일 - 유백지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677년 - 유백지 남별전 참봉에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679년 - 유백지 유백지 남별전 참봉에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682년 - 유백지 차사원에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682년 - 유백지 상서원 부직장에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683년 - 유백지 상서원 직장에 임명 |
몰년 시기/일시 | 1684년 - 유백지 사망 |
출생지 | 가사리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 |
거주|이주지 | 우천 -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 |
거주|이주지 | 생물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
부임|활동지 | 자여도 찰방 - 경상남도 창원시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풍산(豊山) |
대표 관직 | 상서원 직장 |
[정의]
조선 후기 단밀현[현 의성군 단밀면]에 거주하였던 문신.
[가계]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자능(子能). 호는 이송당(二松堂). 생부는 군수(郡守)를 역임한 유진(柳袗), 어머니는 현감(縣監) 권채(權采)의 딸 정부인(貞夫人) 안동 권씨(安東 權氏)와 하옥(河沃)의 딸 정부인 진주 하씨(晉州 河氏), 계부(季父)는 익위사 세마(翊衛司 洗馬)를 역임한 중부(仲父) 유단(柳褍), 할아버지는 문충공(文忠公) 유성룡(柳成龍), 증조할아버지는 관찰사(觀察使)를 지낸 유중영(柳仲郢), 부인은 진사(進士) 김시강(金是杠)의 딸 의성 김씨(義城 金氏)로 알려져 있다.
[활동 사항]
유백지(柳百之)[1628~1684]는 1628년(인조 6) 7월 8일 경상도 상주목(尙州牧) 가사리(佳士里)[현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에서 출생하였고, 만년까지 인근 우천(愚川)[현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 소재]에 거주하였다. 어려서부터 자품(姿稟)이 순수하고 아름다웠으며 성품이 온화하였다고 한다.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1677년(숙종 3) 남별전 참봉(南別殿 參奉)으로 있으면서 숙종에게 사은(謝恩)했다고 한다[『이송당집』 수록 「가장(家狀)」에는 1679년 음직으로 남별전 참봉에 제수되었다고 기록]. 1680년(숙종 6) 자여도 찰방(自如道 察訪)에 제수[「가장」에는 1681년]되었는데, 임기 동안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이 송덕비를 세웠다고 한다. 1682년(숙종 8) 차사원(差使員)을 겸직하였으며, 상서원 부직장(尙瑞院 副直長)에 제수되었으나 고향으로 낙향하였다.
1683년(숙종 9) 상서원 직장(尙瑞院 直長)[「가장」에 기록]에 제수되었으나 시국이 혼란하다 하여 나아가지 않았다. 당시는 경신환국(庚申換局) 이후 서인들에 의해 남인 인사들의 옥사가 지속되던 시기였다. 유백지는 이에 거주지를 상주목의 속현(屬縣)인 단밀현(丹密縣) 생물(生物)[현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로 옮겼다. 생물은 부친 유진의 별업이 있던 곳이다. 그리고 집 앞에 소나무 두 그루를 심고 호를 스스로 이송당(二松堂)이라 하며, 학문 연구에 주력하였다. 1684년(인조 10) 12월 20일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문집으로 2권 1책의 『이송당집(二松堂集)』이 전한다. 계부 유단(柳褍)의 문집인 『도암집(道巖集)』과 함께 엮어 1938년 후손들이 간행하였다. 여기에는 유백지의 시(詩) 9수, 서(書) 9편, 제문(祭文) 2편이 수록되어 있다.
[묘소]
유백지의 행장(行狀)에는 묘소가 의성 덕봉(德峯)[현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덕봉리]에 자리한다고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