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금오산」[노상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202853
한자 金烏山-盧相稷-
영어의미역 Geumosan Mountain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박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칠언 절구|기행시
작가 노상직(盧相稷, 1855~1931)
창작연도/발표연도 1911년연표보기

[정의]

1911년 노상직이 경상북도 구미시의 금오산을 지날 때 길재를 추모하며 지은 한시.

[개설]

노상직은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금곡리에서 태어났다. 생부는 극재 노필연인데 후에 숙부인 우당 노호연의 양자가 되었다. 5세에 『효경』을 배우기 시작해 12세 때 사서삼경을 다 읽었다. 15세 때 향시에 응시했으며 17세 때 당시 김해부사인 박원석이 고을의 자제들을 모아 하과(夏課)를 실시하였는데 여기에 참석하였다. 21세 때에는 대구와 거창의 도회(都會)에 참가하였으며, 26세 때 동당시(東堂試)에 합격하였다. 노상직은 평생을 후학 양성에 힘썼다.

「금오산」노상직이 1911년 노산(蘆山)을 출발하여 신의주를 지나 중국 안동(현재의 단동)까지 가는 여로 중에 왜관(倭館)·인동(仁同)·약목(若木)·금오산(金烏山)·개령(開寧, 현재의 경상북도 김천시)·추풍령(秋風嶺)·황간(黃澗)을 지나가면서 읊은 기행시이다.

[구성]

「금오산」은 칠언 절구의 기승전결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금오산의 위상을 읊어 야은 길재를 추모한 후 자신의 부족함을 탄식하였다.

[내용]

남숭산(南嵩山)은 북숭산(北嵩山)의 아름다움과 짝하였는데

(고려시대에 금오산을 남숭산이라 불렀다. 해주의 북숭산과 짝한다.)

야은(冶隱) 길재 선생이 오시어 이름을 나란히 하였네

오히려 가련하다, 서쪽 변방의 길 떠나온 자!

어느 곳에 대나무 심을 언덕을 구할 수 있으리오

(야은이 금오산에 대나무를 심었다.)

南嵩遙配北嵩佳 (高麗時稱金烏山爲南嵩, 以配海州北嵩) 吉注書來名共齊 卻憐西塞仳離者, 何地能求種竹崖(冶隱種竹金烏山)

[의의와 평가]

「금오산」노상직이 여로 도중 쓴 기행시로 경상북도 구미 지역을 대표하는 금오산야은 길재를 추모하였다. 새로운 풍경에 대한 여행자의 시선과 함께 역사 속의 인물을 되짚어 보며 성찰의 기회로 삼는 화자의 자세는 기행시의 일반적 특성을 보여 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