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구미대원사석조여래좌상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230002
한자 龜尾大圓寺石造如來坐像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물/불상
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인동49길 16-35[구평동 48]
시대 고대/고대,고려/고려
집필자 주수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6년 6월 29일연표보기 - 구미대원사석조여래좌상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0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구미대원사석조여래좌상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현 소장처 대원사 - 경상북도 구미시 인동49길 16-35[구평동 48]
성격 불상
재질 석조
크기(높이) 136㎝[광배 포함 높이]|89㎝[무릎 폭]
소유자 대원사
관리자 대원사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 구평동대원사에 있는 통일 신라 말에서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석불 좌상.

[개설]

구미대원사석조여래좌상은 불상의 양감이 깊지 않아 마치 부조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이다. 불상의 양식은 통일 신라 시대의 특징이 많이 보이지만, 도식화와 왜곡의 경향이 보여 통일 신라 말이나 후삼국, 혹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구미시 신동(新洞)의 부처골에 있던 것으로 대원사 마당으로 옮겨졌다. 2006년 6월 29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0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광배를 포함한 높이 136㎝, 무릎 폭 89㎝의 불상으로, 원래 불두가 떨어져 있었으나 접합하였다. 전반적으로 안정감 있는 삼각형의 구도를 보이고 있다. 안면은 눈썹만 남기고 그 아래로 마멸되어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호선을 그리는 눈썹이 유려하고, 광대뼈에서 볼로 내려오는 선이 풍만하게 표현되었으며, 턱선이 갸름하게 처리된 것으로 보아 사실적 표현에 바탕을 둔 정교한 얼굴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귓불이 길게 늘어지지만 어색하지 않고, 윗부분이 말려 있는 형식이다. 미간에 남아있는 콧등은 도톰하게 솟아 마치 두 눈에 힘을 주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삼도가 분명하게 표현된 목 아래로는 편단우견 착의법의 가사가 가슴 높이로 지난다. 가사는 왼쪽 어깨에서 내려오면서 왼쪽 가슴 앞에서 한 번 뒤집히며 오른쪽 가슴 바로 아래로 바짝 지나간다. 옷자락은 거의 선각에 가깝게 묘사한 것으로 보일 정도로 얇지만 분명하게 단을 이루며 깎였는데 그 기법이 유려하고 섬세하다. 가슴에 비해 허리는 매우 잘록하게 표현되었고, 오른팔은 길게 늘어뜨려 항마촉지인을 하고, 왼팔도 마치 촉지인처럼 늘어뜨렸는데 손바닥이 정면을 향하게 손을 반전시킨 것이 촉지인과 다르다. 오른손의 손등과 왼손의 손바닥도 어느 정도 양감을 유지하면서 사실적인 느낌이 든다. 결가부좌한 하체의 무릎은 높은 편이고, 가사가 하체를 덮고 있는데, 특히 왼쪽 허벅지 위에 올라가 있는 오른발이 얇은 가사에 덮여있는 모습도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광배는 두광, 신광, 거신광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신광은 불상의 왼팔 옆으로는 잘 남아 있고, 오른팔 옆으로는 절반가량 남아 있다. 주변에 문양대를 두고 그 안에 당초문을 넣은 형식이다. 두광은 거의 파손되어 불두 오른쪽으로 일부가 남아 있는데 그마저도 마모가 심하다. 다만 두광이 시작되는 오른쪽 어깨 부분에 극히 일부의 문양 흔적이 보여서 신광과 마찬가지로 당초문대가 시문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거신광은 신광 주변으로 남아 있으며 도식화된 화염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기초로 현재는 훼손된 부분을 복원한 상태이다.

[특징]

얕은 돋을새김[부조]이지만 인체의 풍부한 양감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옷 주름은 유려하면서도 선명하게 보이도록 예리하게 깎았다. 가사의 옷 주름 아래로 인체의 굴곡이 은은히 드러나게 묘사하여 생동감이 있다. 도식화된 경향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균형과 생동감이 느껴진다. 항마촉지인과 유사하면서도 왼손을 내려 손바닥을 정면으로 향한 수인은 드문데 어떤 도상을 표현한 것인지 연구가 필요하다.

[의의와 평가]

통일 신라 시기에 완성된 이상적 사실주의 양식은 통일 신라 말에서 후삼국 시기에 점차 해체되는데, 구미대원사석조여래좌상은 이후 다양한 양식이 실험되었던 시기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추정된다. 부조를 얕게 처리하여 노동력을 최소로 투입하면서도 양감은 최대한 이끌어 낸 것도 눈여겨볼 만한 점이다. 통일 신라는 우리나라의 조각사에서 고전기로 불리는데, 이후 새로운 고려 불상 양식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보여 주는 매너리즘 시기의 작품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