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신 신앙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집안에 위치하는 신적 존재를 믿는 의례 행위. 가신 신앙은 가정의 안녕과 화목을 기원하기 위해 부녀자들이 중심이 되어 집안 곳곳에 신을 모셔 놓고 섬기는 행위이다. 가신 신앙은 가정 단위의 신앙이지만, 유교적인 제례와는 전혀 갈래가 다르다. 성격상으로 유교 제례는 남성들이 주가 되고 형식성·이념성·논리성 등의 특징을 지니는 데 비해서, 가신 신앙은 부인들이 주가...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집을 수호한다는 가신 중에서 으뜸인 신. 성주는 집안의 가신 중 평안·무병·장수 등을 관장하는 가장 최고의 신이다. 성주는 집을 지키는 가택신, 또는 대주(垈主)[가장(家長)]의 수호신으로, ‘성조(成造)’라고도 한다. 성주는 가옥의 수호신이므로 조상 단지처럼 맏아들의 집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가정이 형성되고 가옥이 마련되면 모셔지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어떤...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집안의 재물을 지켜 주는 수호신. 업은 각 가정에서 그 집안의 재복(財福)을 관장하는 재신(財神)이다. 업은 흔히 사람, 구렁이, 족제비, 두꺼비 등의 동물로 상징된다. 남의 집 앞에 버려진 아이를 ‘업둥이’라 부르는데, 업둥이의 ‘업’은 재운(財運)을 관장하는 신의 이름으로, ‘업둥이’라는 이름은 ‘복을 가져오는 아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옛날에는 집 앞에 버...
-
경기도 포천지역의 주부들이 부엌에서 모시는 신. 조왕(竈王)은 집안에 모시고 위하는 가신 신앙의 한 대상으로 불씨 및 부엌 등을 관장하는 신이다. 본래 조왕은 불의 신 또는 부엌신으로서 특히 모성이 반영된 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조왕각시’ 또는 ‘조왕할매’ 등이라고도 한다. 조왕은 부엌에 위치하는 존재이기에 여성, 특히 주부의 신앙처럼 된 일면이 있다. 부엌 안에서도 특히...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집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신 터주는 집의 울타리 안을 주로 관장하는 택지신(宅地神)으로서, 집안의 액운을 거둬 주고 집터를 맡아서 재복(財福)을 관장하다고 믿는 신이다. 이를 터줏대감·지신·터주대주 등이라고도 한다. 터가 편안해야 집안이 편안하다고 하여 터를 다지고 지신밟기를 하면서 터를 눌러 준다. 터주를 위한 가장 큰 행사는 음력 정초에 벌이는 ‘지신밟기’를...
마을 신앙
-
경기도 포천지역의 각 마을에서 행해지는 공동체 신앙. 마을 신앙은 한 마을을 단위로 마을 구성원들끼리 자발적으로 재앙을 멀리하고, 마을의 화합과 번창을 신에게 기원하기 위하여 매년 한 두 차례씩 정기적으로 거행하는 신앙 행위이다. 마을 신앙의 본질은 공동의 생활 공간을 정기적으로 신성하게 하기 위한 세시 의례(歲時儀禮)의 하나로 보인다. 이때 풍물이나 집단 놀이가 벌어져 마을 구성...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 공동으로 올리는 의례. 동제(洞祭)는 마을 공동체 성원들이 일정한 장소에서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고 일정한 시간과 절차를 통해 마을의 무병, 안녕, 풍년 등을 기원하는 마을 제사이다. 우리나라에서 자연 마을이 생산 단위로서 전국적으로 형성된 때는 대개 조선 후기로 보는데, 이때는 유교적 이념이 민간의 무속적 관행으로 확산되는 시기...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 2리 궁말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금현 2리 궁말 마을 산신제는 금현 2리 궁말 마을에서 매년 음력 9월 1일이나 3일 중에서 택일하여 마을 앞에 있는 죽엽산(竹葉山) 제당에서 산신령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궁말은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1335~1408]의 둘째 부인인 신덕왕후(...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에 있는 고인돌에서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던 개인 의례. 금현리 고인돌 제의는 마을 주민이 좋지 않은 일이 있거나 필요할 때마다 고인돌을 대상으로 개인의 번영과 소원 성취를 기원하며 지내던 굿이거나 제사였다. 금현리 고인돌의 정식 문화재 명칭은 ‘포천 금현리 지석묘(抱川金峴里支石墓)’이다.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 5리 304-10번지에 위치하며,...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 2리 독곡 마을에 있는 돌탑에서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개인 의례. 기지리 탑제는 독곡 마을 주민이 좋지 않은 일이 있거나 필요할 때마다 마을 길 옆에 위치한 돌탑[성심탑]을 대상으로 개인의 번영과 소원 성취를 기원하며 지내는 일종의 고사이다. 예로부터 ‘성심탑’이라고 불리는 돌탑은 탑이 두 개여서 ‘할아버지탑’·‘할머니탑’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내 2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내촌면 산신제는 음력 7월 1일 새벽 1시에 내촌면 내 2리 중심에 있는 당산나무[느티나무]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내 2리는 고장촌(高張村, 高藏村)이라 하는데, 고장산 아래 위치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광산 김씨(光山金氏)를 비롯하여 11개 성씨가 모여...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회산리 산신제는 음력 9월 9일 대회산리 상동 마을에서는 불무산(佛舞山) 자락의 제단에서, 절골 마을에서는 금장산 중턱에서 각각의 산신령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대회산리(大回山里)는 주변에 불무산, 종자산, 보장산(寶藏山), 은장산(銀藏山) 등 ‘큰 산으로 둘러...
-
경기도 포천시 동교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교동 나뭇골 마을 산치성은 매년 음력 동짓달에 좋은 날을 택일하여, 마을 옆 산의 중턱에 있는 제당에서 산신령에게 나뭇골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사는 특별히 정해진 날짜는 없고 음력 동짓달 초순 중에서 그때그때 좋은 날을 선택하여 지낸다.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은 물론이고...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명덕 2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명덕 2리 산신제는 음력 9월 3일 무렵에 명덕 2리 마을 뒷산의 제단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명덕 2리는 아랫마을이라 하고, 명덕 1리와 명덕 3리는 윗마을이라 부른다. 산신제는 윗마을과 아랫마을에서 따로 지내 왔다. 명덕 1리와 명덕 3리의 산신제는 1년에...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소학 1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소학 1리 산신제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국립 민속 박물관[1967년 조사],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1995년 조사], 국민 대학교[1999년 조사], 전국 문화원 연합회 경기도 지회[2002년 발간], 포천 문화원[2009년 조사] 등의 기관이나 단체가 여러 차례 조사하였다. 내용에서 다소 상이한 부분이...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소회산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소회산리 산신제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1995년 조사], 국민 대학교[1999년 조사], 경기도 박물관[2000년 조사], 전국 문화원 연합회 경기도 지회[2002년 발간], 포천 문화원[2009년 조사] 등의 기관이나 단체가 여러 차례 조사하였다. 내용에서 다소 상이한 부분이 발견되...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송우 5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송우 5리 산신제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국립 민속 박물관[1967년 조사],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1995년 조사], 국민 대학교[1999년 조사], 포천 문화원[2009년 조사] 등의 기관이나 단체가 여러 차례 조사하였다. 내용에서 다소 상이한 부분이 발견되는데, 이러한 원인은 조사 당시의 시기적인 차...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 1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신평 1리 마을제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1995년 조사], 국민 대학교[2000년 조사], 경기도 박물관[2000년 조사], 전국 문화원 연합회 경기도 지회[2002년 발간], 포천 문화원[2009년 조사] 등의 기관이나 단체가 여러 차례 조사하였다. 내용에서 다소 상이한 부분이 발...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운천1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운천리 산신제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국립 민속 박물관[1967년 조사],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1995년 조사], 국민 대학교[1999년 조사], 경기도 박물관[2000년 조사], 전국 문화원 연합회 경기도 지회[2002년 발간], 포천 문화원[2009년 조사] 등의 기관이나 단체가 여러 차례 조사하였다....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 3리에서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굿. 이동교 3리 대동굿은 현재까지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1995년 조사], 국민 대학교[1999년 조사], 포천 문화원[2009년 조사] 등의 기관이나 단체가 여러 차례 조사하였다. 내용에서 다소 상이한 부분이 발견되는데, 이러한 원인은 조사 당시의 시기적인 차이와 함께 조사자와 제보자의 상황으로 인해 발생...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 3리에서 마을의 액운을 막고 무사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이동교 3리 장승제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1995년 조사], 국민 대학교[1999년 조사], 전국 문화원 연합회 경기도 지회[2002년 발간], 포천 문화원[2009년 조사] 등의 기관이나 단체가 여러 차례 조사하였다. 내용에서 다소 상이한 부분이 발견되는데, 이...
-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기산리에서 마을의 무사태평과 복을 빌던 굿. 일동면 지서앞 마을굿은 주민들이 무당을 불러 마을의 우환을 쫓아내고 무사태평과 복을 기원하며 마을 수호신에게 치성을 드리던 의식이다. 일동면 지서(支署)[ 일동 파출소]는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기산리 284번지에 있다. 일동면 지서 앞에 당목이 있었는데, 1988~1989년 무렵에 길을 넓힌다고 베고 난 후에 젊은...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정교 2리 용화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정교 2리 용화 마을 산치성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국립 민속 박물관[1967년 조사], 국립 문화재 연구소[1991년 조사],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1995년 조사], 국민 대학교[1999년 조사], 전국 문화원 연합회 경기도 지회[2002년 발간] 등의 기관이나 단체가 여러 차례 조사하였다....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지현 2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지현 2리 산신제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1995년 조사], 국민 대학교[1999년 조사], 전국 문화원 연합회 경기도 지회[2002년 발간], 포천 문화원[2009년 조사] 등의 기관이나 단체가 여러 차례 조사하였다. 내용에서 다소 상이한 부분이 발견되는데, 이러한 원인은 조사 당시...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직동리 산신제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1995년 조사], 국민 대학교[1999년 조사], 포천 문화원[2009년 조사] 등의 기관이나 단체가 여러 차례 조사하였다. 내용에서 다소 상이한 부분이 발견되는데, 이러한 원인은 조사 당시의 시기적인 차이와 함께 조사자와 제보자의 상황으로 인해 발...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진목 2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진목 2리 산신제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국립 민속 박물관[1967년 조사], 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1995년 조사], 국민 대학교[1999년 조사], 전국 문화원 연합회 경기도 지회[2002년 발간], 포천 문화원[2009년 조사] 등의 기관이나 단체가 여러 차례 조사하였다. 내용에서 다소 상이한 부분이...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창수면 마을제는 창수면 추동리에 있는 당목(堂木)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추동리의 창수 초등학교 앞에 있는 느티나무를 당목이라 부르고 있는데, 과거에 마을제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 6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화현 6리 산제는 매년 음력 9월 1일 저녁에 화현면 화현 6리의 제당에서 마을 수호신인 운악산신과 신목(神木)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화현 6리 산제는 옛날부터 매년 지내 오던 마을의 공동 제의로서, 제상의 방식에 커다란 변화는 없으나 비용을 마련하는 방법에는...
무속 신앙
-
경기도 포천지역에서 무당을 중심으로 민간에 전승되는 습속. 무속 신앙은 무당을 주축으로 하여 신에게 인간들의 소원을 빌어 주는 굿이라는 의례를 통해 원망을 충족시켜 주는 신앙 체계이다. 즉 조상의 성격을 갖는 신령을 모시고 무당이 사제(司祭)를 담당하고, 단골이라는 신도가 참여하여 굿·치성 등의 의례를 행하게 된다. 이를 무격신앙, 무교(巫敎) 등이라고도 한다. 무당은 종교적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