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여 노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201652
한자 -喪輿-
이칭/별칭 상여 소리,만가(輓歌),향도가,향두가(香頭歌),행상소리,회심곡(回心曲),옥설개,설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집필자 박유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 「상여 노래」 『의성군지』에 수록
성격 민요|의식요
기능 구분 장례 의식요

[정의]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장례식 때 상여꾼들이 부르는 의식요.

[개설]

「상여 노래」는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장례와 관련된 만큼 가창 권역도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채록/수집 상황]

1998년 의성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의성 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가네 가네 나는 가네/ 북망산천 돌아갈 제 어찌 할꼬 험한 길을/ 애닯고도 슬픈 지고 절통하고 통분하다/ 인간의 이 공도를 뉘가 능히 막을소냐/ 춘초는 년년록이요 왕손은 귀불귀라/ 꽃이라도 낙화지면 오던 나비 아니 오고/ 좋은 음식 쉬어지면 수채 구멍 찾아 가네/ 하물며 우리 인생 늙어서 죽어지면/ 화장 장터 공동묘지 북망산천 찾아 간다/ 이 세상을 하직하니 불상하고 가련하다/ 한정 없는 길이로다 언제다시 찾아 온담/ 부모처자 손을 잡고 만단설화 못해보고/ 원수 정든이 잠깐이요 젊었을 제 고생 하소/ 어제 날에 청춘이드니 오늘날에 백박되고/ 아침나절 성턴 몸이 저녁나절 병이 들어/ 실날같은 이내 몸에 말뚝 같은 쇠사슬로/ 결박하여 끌어내니 혼비백산 나죽겠네/ 만란개유 애원한들 어느 사자 들을손가/ 옛 늙은이 말 들으니 저승길이 멀다드니/ 오늘 내가 당해보니 대문 밖이 저승이며/ 친한 벗이 많다한들 어느 누가 대신 갈까/ 금은백옥이 많다한들 금은 가져 노자하리/ 이 한 몸이 돌아가면 다시 오기 어렵도다/ 천년만을 살줄알고 걱정 없이 지내다가/ 오늘날을 생각하니 세상일이 가소롭다/ 극락세계 장엄하고 그 가운데 성도하니/ 이내 목숨 버리어도 지성으로 보호하리/ 허공 끝이 있사온들 이내 소원 다으리까/ 유정들도 무정들도 일체중지 이로서/ 너허이 너허 나무아미타-불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농촌에서는 초상이 나면 마을 단위로 사람들이 서로 협동해서 장례를 치르고, 또 상여꾼이 돼서 이 노래를 불렀으며, 현재도 부르고 있다.

[현황]

오늘날 간소화 된 장례 절차로 장지까지 차로 주검을 운반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상두꾼이 상여를 메고 부르는 「상여 노래」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크게 감소하였다.

[의의와 평가]

의성군에서 가창되는 「상여 노래」의 사설은 「상여 소리」의 사설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차이의 원인은 장례 당시의 상황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는 사설의 즉흥성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망자의 마음을 대변해주어 망자가 편안한 마음으로 이승을 떠날 수 있도록 기원하고 아울러 남은 자들이 망자의 죽음으로 인해 받는 고통을 위로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동일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