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회고가」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202970
한자 懷古歌
영어의미역 Sijo Thinking of Former Capital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석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조
작가 길재(吉再, 1353~1419)
창작연도/발표연도 조선 전기

[정의]

조선 전기 구미 지역 출신의 길재가 고려왕조를 회고하며 지은 시조.

[개설]

길재(吉再, 1353~1419)는 여말선초의 성리학자로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재보(再父), 호 야은(冶隱)·금오산인(金烏山人)이다. 금주지사(錦州知事) 원진(元璡)의 아들로 경상북도 구미에서 출생하여 1363년 냉산(冷山) 도리사에서 처음 글을 배웠다. 길재는 고려왕조가 망하자 어머니 봉양을 핑계로 금오산에 은둔하며 절의를 지켰다.

길재는 새 왕조 임금의 부름을 받고도 서울 송도에 가지 않았는데, 1400년(정종 2)에 독촉이 심하여 어쩔 수 없이 상경하였다. 조정에서 태상박사(太常博士)의 직을 내렸으나 길재는 두 왕조를 섬길 수 없다며 고사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저서에 『야은속집(冶隱續集)』, 『야은집(冶隱集)』 등이 있다. 「회고가」는 조선 전기에 길재가 옛 도읍지인 송도(松都)를 돌아보며 고려왕조를 회고하며 지은 시조 1수로 『진본청구영언(珍本靑丘永言)』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한 마리 말을 타고 고려의 도읍지 개성을 돌아보니/ 산과 물은 옛 모습 그대로 변한 것이 없는데 사람은 온데간데없구나/ 아 태평한 세월이 꿈이었단 말인가(五百年 都邑地를 匹馬로 도라드니/ 山川은 依舊되 人傑은 간듸 업네/ 어즈버 太平烟月이 이런가 노라)

[의의와 평가]

「회고가」는 은나라의 옛 신하였던 기자(箕子)가 은허(殷墟)에 찾아들어 부른 회고적 노래인 「맥수가(麥秀歌)」, 그리고 당나라의 시성(詩聖) 두보(杜甫)가 읊조린 “나라가 망하매 산과 강만 남았고, 성 안의 봄에 풀과 나무만 무성하도다(國破山河在 城春草木深)”와 일맥상통한다. 길재「회고가」는 망국의 한과 무상감을 읊었는데 ‘필마’는 벼슬이 없는 필부의 신분을, ‘태평연월’은 고려의 융성기를 각각 비유적으로 나타내었다. 나라는 망하고 고려의 충신들은 간 곳이 없건마는 자연은 여전히 변함이 없다는 인세무상(人世無常)의 정회를 망국의 한과 융합하여 노래하였다.

「회고가」원천석(元天錫)의 “흥망(興亡)이 유수(有數)니 만월대(滿月臺)도 추초(秋草)ㅣ로다/ 오백년(五百年) 왕업(王業)이 목적(牧笛)에 부쳐시니/ 석양(夕陽)에 지나객(客)이 눈물 계워 라”와 고려의 도읍지를 돌아보며 느끼는 과거에 대한 회상·비탄의 감정을 노래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고려왕조의 망국과 관련된 회고가로 정도전(鄭道傳)의 “선인교(仙人橋) 나린 물이 자하동(紫霞洞)에 흐르니/ 반천년(半千年) 왕업(王業)이 물소이로다/ 아희야 고국흥망(古國興亡)을 무러 무엇리요”도 있는데, 정도전의 시조는 길재원천석의 시조와는 전혀 다른 시상을 나타내고 있다. 작가의 입장에 따라 고려 망국에 대한 태도가 얼마나 다른가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