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자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 자는 자운(子運). 은열공(殷烈公) 강민첨(姜民瞻)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강봉삼(姜鳳衫)이다. 강윤하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는데, 아버지가 한겨울에 구하기 힘든 꿩탕을 먹고 싶어 하여 고민하던 차에 마침 꿩이 집 처마에 날아들어 잡아다 꿩탕을 해 드렸다. 또한 잉어를 먹고 싶어 하자 얼음을 깨고 잡아와 봉양하여 아버지의 마음을 즐겁...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효자. 김기는 임진왜란을 당하여 산중에 피난했는데, 왜적이 숙부를 죽이고 다시 어머니를 범하려고 하자 막대기로 왜적과 맞서 싸우다가 피살당하였다....
-
조선시대 구미 출신의 효자. 김내근은 어려서 부친을 여의고 진잠현감으로 있다가 모친이 돌아가시자 여막을 짓고 죽으로 연명하며 3년 동안 시묘를 하였다. 시묘를 하는 동안 재실에 흰 감과 흰 대추가 돋아나서 세상 사람들이 하늘이 효성에 감동한 소치라고 하였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효자. 본관은 상산(商山). 대호군 김려(金旅)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구주목사를 지낸 김명도(金明道)이다. 김보륜은 약관의 나이에 중사마(中司馬)를 하였고, 1519년(중종 14)에 문과에 등과한 후 안음현감을 거쳐 예조정랑이 되었다. 효성과 우애가 뛰어나 아버지가 멀리 출타하면 반드시 사람을 보내 안부를 듣고 난 후에 밥을 먹고 잠을 잤다. 또한 아버지의...
-
조선시대 구미 출신의 효자. 김복언은 어머니가 병환이 나서 물고기를 먹고 싶어 하자, 낙동강으로 가서 잡으려고 하였으나 풍랑이 심해서 잡을 수 없었다. 안타까워 통곡하면서 하늘에 호소하자, 큰 잉어가 나와서 어머니에게 올릴 수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김복언의 지극한 효성을 칭찬하여 조정에서 급부와 정려를 명하였다....
-
조선시대 구미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일선. 자는 계명(季明), 호는 모화재(慕華齋). 대장군 김창서(金昌緖)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완수재(玩睡齋) 김배(金培)이며, 아버지는 사우당(四友堂) 김구성(金九成)이다. 김선초는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를 모셨는데, 아침저녁으로 문안하고 보살핌을 게을리하지 않았으며 음식을 몸소 지어 올렸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묘 옆에 여막을 짓고...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효자. 김언제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형 김언개(金彦愷)와 함께 어머니를 모시고 바위굴로 피신하였다. 얼마 후 왜적에게 발각되어 왜적들이 어머니를 해치려고 하자 형과 함께 저항하다가 모두 피살당하였다. 조정에서 김언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정려를 내렸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효자. 본산은 선산(善山). 동생은 김윤덕(金允德)이다. 김윤수(金允壽, 1387~1463)는 1427년(세종 9)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병마사(兵馬使)에 이르렀다. 오랑캐 기병(騎兵)의 침입을 막아냈으며, 부모의 상을 당해서는 여막을 짓고 시묘(侍墓)하였다. 이후 효행을 인정받아 효자에 정려되었다. 1453년(단종 1) 중추원사(中樞院使)가 되고 충청도와...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일선(一善). 자는 순좌(舜佐), 호는 호와(箎窩). 아버지는 야은(野隱) 김술로(金述魯)이다. 김익흠(金益欽)은 부친의 등창을 입으로 빨고 하늘에 기원하여 완쾌시켰으며, 부모를 봉양하는데 정성을 다했다. 부친의 상을 당해서는 3년 동안 시묘(侍墓)하였다. 이후 효행을 인정받아 효자에 정려되었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일선(一善). 자는 중현(仲鉉), 호는 추모재(追慕齋). 증조부는 돈봉(遯峰) 김녕(金寧)이다. 김정태(金鼎台)는 1700년(숙종 26) 진사가 되었으나 부모의 상을 당하자 묘 옆에 여막을 짓고 6년간 시묘(侍墓)하였다. 이후 효행을 인정받아 효자에 정려되었다....
-
조선시대 구미 출신의 효자. 김존성(金存性)은 부모의 상을 당하자 엄동설한 가운데도 극진히 예를 다하여 장례를 치렀으며, 두 귀가 얼고 두 눈이 어두워지며 눈물이 흘러 자리가 썩게 될 지경에도 미음 죽을 먹으면서 장례를 마쳤다. 이후 효행을 인정받아 효자에 정려되고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효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택지(澤之), 호는 용암(龍巖). 박운은 효심이 남달라 40년간 어머니를 봉양하면서 항상 곁에 모시어 손수 시중을 들었고, 늙은 어머니를 즐겁게 해 드리기 위해 노력하였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애절한 마음이 하늘에 사무쳐 3년 동안 묘 옆에 띠 풀을 이은 집을 짓고 나물죽만으로 연명하여 시묘의 정성을 다 하였다. 또한 시묘가...
-
조선시대 구미 지역 출신의 효자. 본관 인동(仁同). 죽정(竹亭) 장잠(張潛)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증장악원정 장내적(張乃迪)이다. 장경욱은 가난한 살림에도 불구하고 고기잡이와 사냥을 하여 부모에게 맛있는 음식을 대접하고 봉양하여 주변 사람들이 남다른 효성에 감동하였다고 한다....
-
조선시대 구미 지역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오(敬五), 호는 긍재(兢齋). 심곡(深谷) 장제원(張悌元)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성균진사 장원표(張源杓)이다. 장교찬은 부친의 병환에 11년 동안 곁을 떠나지 않았다. 부친의 시탕(侍湯)에 정성을 다하고 부친이 변비로 몹시 고통을 겪자 대나무 통을 항문에 꽂고 입으로 빨아서 대변을 나오게 하여 괴로움을 덜어 주었다고...
-
조선시대 구미 지역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태로(台老), 호는 검계(儉溪). 기산(岐山) 장용한(張龍翰)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장탄(張坦)이다. 장국주는 일찍이 부모를 잃어서 예를 다하지 못한 것을 애통해 하다가 작고한 부친의 환갑이 되는 해 가묘에 고하고 재사(齋舍)에서 여묘하는 의절을 본받아 3년을 지냈다. 또 집의 처마에 흰 비둘기가 날아와 서식하는 이적이...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동언(東彦). 아버지는 통덕랑 장돈(張暾)이다. 장석진은 당시의 인동도호부(仁同都護府)에서 태어났다. 영조 때 아버지 장돈이 원통한 옥사에 걸려 감옥에 갇히게 되자 서울에 가서 길거리에서 밤낮으로 통곡하였는데, 때마침 당시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계속되었다. 당시 형조판서 윤동도(尹東度)가 불러서 그 까닭을 듣고는 영조에게...
-
조선 전기 구미출신의 효자.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사립(斯立), 호는 죽창(竹窓). 할아버지는 풍저창승(豊儲倉丞) 장보(張俌), 아버지는 통례문통찬(通禮門通贊) 장맹저(張孟儲)이다. 형은 장적손(張嫡孫)이다. 장신손은 당시의 인동도호부(仁同都護府)에서 태어났다. 1507년(중종 2)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평소 효성이 남달라 형 장적손(張嫡孫)과 함께 3년 동안 정성을 다해 시...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자장(子長). 할아버지는 풍저창승(豊儲倉丞) 장보(張俌), 아버지는 통례문통찬(通禮門通贊) 장맹저(張孟儲)이다. 동생이 죽창(竹窓) 장신손(張信孫)이며, 아들이 죽정(竹亭) 장잠(張潛)이다. 장적손은 당시의 인동도호부(仁同都護府)에서 태어났다. 평소 효성이 남달라 동생 장신손(張信孫) 함께 3년 동안 정성을 다해 시묘하였는데...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이자 효자.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공보(公輔), 호는 송재(松齋). 증조부는 성암(省菴) 전좌명(田佐命)이다. 통훈대부(通訓大夫)로서 의령현감을 지냈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었는데, 추모에 정성을 다하고 향사에 정성이 극진하여 많은 사람들이 효행에 감복하였다. 효자로 추천되어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에 이르고 음직이 다시 내려졌으나 노모가 계시니 집을...
열녀
-
조선시대 구미 출신의 열녀. 본관은 선산(善山). 구암(久庵) 김취문(金就文)의 후손이며, 남편은 곡부(曲阜) 공윤수(孔胤洙)이다. 공윤수의 처 선산김씨는 남편이 병을 얻자 주야로 정성을 다하여 간호하였으나 차도가 없었다. 결국 남편이 기절하여 온 가족이 황망히 울고 있을 때, 김씨는 조용히 방에 들어가 자신의 정성이 부족한 탓이라 여기고 자결하였는데, 그 후 남편은 소생하였다....
-
조선시대 구미 출신의 열녀. 본관은 인동(仁同). 아버지는 장이상(張利相)이며, 남편은 현풍곽씨(玄風郭氏) 곽종화(郭鍾化)이다. 곽종화의 처 인동장씨는 품행이 단아하며 시부모를 봉양하는 데 정성을 다하였으며, 남편이 중풍에 걸리자 정성을 다하여 간병하였다. 지역의 유림이 곽종화의 처 인동장씨의 열행을 추천하였고, 조정에서 정려가 내려졌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열녀. 본관은 양성(陽城). 아버지는 이석배(李碩培)이며, 남편은 현풍곽씨(玄風郭氏) 곽태호(郭泰鎬)이다. 곽태호의 처 양성이씨는 16세에 시집온 후 시부모와 남편을 잘 모시고 부도(婦道)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남편이 중병으로 5년 동안 앓게 되자 그 병을 자기가 대신 앓기를 매일 같이 기도했지만, 남편은 끝내 1918년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열녀.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길원득의 처 김씨는 산중에서 졸지에 만난 왜군이 욕을 보이려 하자 끝까지 저항하다가 피살당하였다. 조정에서 길원득의 처 김씨의 열행을 인정하여 정려를 내렸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열녀. 김도의 처 하씨는 부덕을 두루 갖춘 열부였는데, 임진왜란을 당하여 부부가 산중으로 피신하다가 적을 만나면 욕을 보기 전에 투신할 것을 서로에게 약속하였다. 마침 적을 만나서 남편이 투신하려고 하자 하씨가 만류하면서 먼저 투신하였고, 남편도 곧 뒤를 따랐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열녀. 김무석(金武錫)의 처 김씨는 임진왜란 때 남편이 왜적에게 난도 당하자, 필사적으로 항거하다가 피살되었다. 김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정려가 내려졌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열녀. 본관은 신천(信川). 아버지는 강경선(康景善)이며, 남편은 김석지(金錫址)이다. 김석지의 처 신천강씨는 품성이 정결하고 효성과 우애가 뛰어났으며, 아내로서의 도리를 다하였다. 임진왜란 때 시아버지와 남편이 죽자 자결하려고 하였으나, 어린 자식이 있어 당장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단도를 품고서 때가 오기를 기다렸다. 전란이 날이 갈수록 치열해져서 끝이 날...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열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왜적이 인동 고을에 진을 치고 갖은 만행을 자행하였다. 왜적들이 김성기의 처 임씨를 붙잡아 욕을 보이려 하자 끝내 항거하며 바위 밑으로 떨어져 죽었다. 임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조정에서 정려가 내려졌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열녀. 본관은 진성(眞城). 아버지는 퇴계 이황의 7세손 이세룡(李世龍)이며, 남편은 김예선(金禮宣)이다. 김예선의 처 진성이씨는 18살 때 출가하여 시부모를 정성으로 봉양하였으며, 시부가 병환이 나자 정성을 다하여 하늘에 쾌유를 빌었다. 남편이 죽자 오히려 시부모를 위로하고 아들을 잘 키웠으며, 3년 상이 끝나던 날 아들을 시숙에게 맡기며 남편의 뒤를 따라...
-
조선시대 구미 출신의 열녀. 김춘심(金春心)은 김복재(金卜才)의 아내로 남편이 물에 빠져 죽자 따라서 물에 빠져 죽었다. 다음날 물에서 건져 보니 남편의 시체를 안고 죽어 있었다고 한다. 이후 열행(烈行)이 인정되어 열녀에 정려되었다....
-
고려시대 구미 출신의 열녀. 김효충(金孝忠)의 처 한씨(韓氏)는 남편이 역병으로 죽자 역병이 옮길 것을 두려워하여 가족들이 피신하고 친척들도 오지 않았기에 홀로 정성을 다해 장례를 치르고 3년상을 마쳤다. 부친이 후사(後嗣)가 없음을 가련하게 생각하여 개가(改嫁)를 권하자 머리카락을 자르고 자결하려 하여 다시 권할 수 없었다. 이후 열행(烈行)이 인정되어 열녀에 정려되었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열녀. 김희준(金希俊)의 처 최씨(崔氏)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노자암(鸕鶿巖)에 피신해 있다가 왜적에게 붙잡혔으나, 배를 타고 끌려가던 도중 강에 몸을 던져 자결하였다. 이후 열행(烈行)이 인정되어 열녀에 정려되었다. 묘소는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농소리에 있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열녀. 본관은 여산(礪山). 아버지는 우곡(愚谷) 송량(宋亮)이다. 노경건(盧景鍵)의 처 여산송씨(宋氏)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남편과 함께 상주(尙州)의 산속으로 피신하였다. 1593년(선조 26) 5월 왜군에게 발각되어 남편이 위험해지자 전력을 다해 대항하였고, 왜군이 남편을 살해한 뒤 겁탈하려고 하자 혼신의 힘을 다해 저항하다가 피살되었다. 이후 열행(烈...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열녀. 도성유(都聖兪)의 처 김씨(金氏)는 임진왜란 당시 남편이 왜군에게 살해되자 남편의 장례를 마친 뒤 나무에 목을 매어 자결하였다. 이후 열행(烈行)을 인정받아 열녀에 정려되었다....
-
조선시대의 구미 출신의 효부. 본관은 전의(全義). 인동(仁同) 사람 장병구(張炳九)의 아내이다. 장병구의 처 전의이씨는 20세에 남편이 죽은 후에 시부모를 극진히 모셔 효도를 하였으므로 관에서 포창을 하였다....
-
조선 후기의 열녀. 본관은 김해(金海). 남편은 인동장씨(仁同張氏) 장시호(張時皥)이다. 장시호의 처 김해배씨는 당시의 인동도호부(仁同都護府)에서 태어났으며 17세에 장시호에게 출가하였다. 성품이 순박하고 행실이 예의에 어긋남이 없어서 시부모에게 극진히 효도하고 동서 간에 화목하며 하인에게는 엄격하면서도 아껴주니 온 집안이 화목하고 엄숙하였다. 1800년(정조 24) 인동부사 이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