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바느질을 하면서 부르는 부녀자들의 노동요. 「바느질 노래」는 여성 특유의 감성이 반영되어 있으며, 여성으로서의 자긍심과 독특한 정한(情恨) 및 바느질 모습을 생생하게 부각시킨 부녀요(婦女謠)이다. 구미에서 채록된 「바느질 노래」는 두 곡이 있는데, 하나는 천혜숙·조형호가 1984년 7월 11일 구미시 고아읍 다식리 모산에서 김말임(여, 당시 59세)에게서 조사·...
-
해평이라는 지명은 신라후기부터 사용되었는데, 그 전에는 파징(波澄)이라고 하였다. 큰물이 났을 때 주산인 갈마산에 올라 보면 사방이 물로 가득하여 마을 전체가 마치 바다를 이룬 것 같았다고 한다. 다시 물이 빠졌을 때는 들판 역시 바다 크기만 하였을 것인데, 그런 맥락에서 마을 이름도 예로부터 해평(海平)이라고 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주민들은 자신들이 사는 곳이 다른...
-
신평2동 구미국가산업단지 이주민마을은 1973년 구미산업단지에 편입된 여러 마을에 살던 이주민들의 주거단지로 조성된 마을이다. 이 마을로 가려면 경부고속국도 구미IC를 빠져 나와 처음 만나는 로타리에서 직진하여 구미 LG전자 사원아파트 쪽으로 가야 한다. LG전자 사원아파트에서 우회전하여 달리다 보면 신평로타리를 만나는데, 로타리에서 11시 방향으로 보이는 사잇길에서부터...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상장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옛날 마을 앞에 소가 낙동강 배에 올라 와서 배 타고 신선같이 놀고 있으므로 신선선자와 배다리의 다리교자를 따서 선교동이라고 하였다. 또한 약 200년 전 그 동네에 처음 살았던 파잠(巴岑)이라는 사람의 자의 호를 따서 파잠이라 한 것이 변음 되어 바자미 혹은 바지미라 한다. 북웅곡방 시절 장천리와 함께 선교동리로 하나의 동리였으나...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상장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옛날 마을 앞에 소가 낙동강 배에 올라 와서 배 타고 신선같이 놀고 있으므로 신선선자와 배다리의 다리교자를 따서 선교동이라고 하였다. 또한 약 200년 전 그 동네에 처음 살았던 파잠(巴岑)이라는 사람의 자의 호를 따서 파잠이라 한 것이 변음 되어 바자미 혹은 바지미라 한다. 북웅곡방 시절 장천리와 함께 선교동리로 하나의 동리였으나...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학(許壆)의 자는 박경(博卿)이다. 왕산 허위의 4남 2녀 가운데 장남이다. 아명은 허만령(許萬齡)이며, 일명 허형(許瀅) 혹은 허영(許瑩)이라고도 하였다. 허학은 아버지 왕산 허위가 1907년 경기도 연천에서 창의할 때 참여하여 연락과 무기 조달을 담당하였다. 1912년 중부(仲父)인 성산 허겸을 따라 가족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여 박...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형보(亨甫). 할아버지는 박영(朴英)이다. 박경지(朴敬祉)는 1635년(인조 13) 무과에 급제하였고, 이듬해 무과중시(武科重試)에 장원 급제하였다. 이후 여러 무관직을 거쳐 1643년 함경남도병마절도사를 지냈고, 1648년 전라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1654년(효종 5) 경상좌도병마절도사를 거쳐 1658년 경상우도병마절...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월곡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무들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 뒷산 줄기가 박을 심어서 덩굴이 뻗어가는 모양 같다고 박곡 또는 박실이라 지었다. 박곡마을은 월곡리 주변의 조명산과 연화봉 사이에 자리잡고 있다. 해평습지가 박곡마을 앞의 국도 25호선을 따라 낙동강 변에 위치하고 있다. 주민들은 마을 앞의 소폭의 도로를 거쳐 물달마을에서 면소재지로 이어지고, 국도...
-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주아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인물 박근석의 송덕비(頌德碑). 박근석은 조선 말 중추원의관을 지낸 인물로서 여러 모로 백성들에게 시혜를 베풀었기에 주민들이 이를 기려 선정비를 세웠다. 구미시 옥성면사무소 앞 공터에 박태훈 기념비와 함께 세워져 있다. 높이 143㎝, 너비 45.5㎝, 두께 15.5㎝의 비신을 세우고 그 위에 팔작지붕의 덮개돌을 얹은 형태다. 덮개돌...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박근술(朴根述)은 1919년 3월 12일과 3월 14일 두 차례에 걸쳐 칠곡군 인동면(仁同面)에서 이상백(李相柏)을 비롯한 주민 3백여 명과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인동면 진평동에서의 만세 운동은 3월 7일 대구 계성학교(啓聖學校) 학생 이영식(李永植)이 선언서 20매를 이 마을의 유지 이상백에게 전달하면서 추진되었다. 이들은 거사일...
-
경상북도 구미시 지산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지낸 박도환의 송덕비(頌德碑). 구미시 지산동에 소재하는 계선각(繼善閣)은 중추원의관 박도환, 혜민원참서관(惠民院參書官) 박효달(朴孝達), 유학(幼學) 박조용(朴詔鏞) 등 3대에 걸쳐 자선을 베푼 밀양박씨 문중 세 인물의 송덕비를 보호하기 위해 세운 비각이다. 계선각이 세워진 후 신평동에서 이곳으로 옮겨온 ‘학생박동...
-
경상북도 구미시 지산동에 있는 조선 말 인물 박동보의 송덕비. 구미시 지산동에 소재하는 계선각(繼善閣)은 중추원의관 박도환, 혜민원참서관(惠民院參書官) 박효달(朴孝達), 유학(幼學) 박조용(朴詔鏞) 등 3대에 걸쳐 자선을 베푼 밀양박씨 문중의 세 인물의 송덕비를 보호하기 위해 세운 비각이다. 계선각이 세워진 후 신평동에서 현재 위치로 옮겨온 ‘학생박동보구황비(學生朴東輔救荒碑)’의...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공익(公益), 호는 만오(晩悟). 박수홍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박선호(朴善浩)이다. 박래겸(朴來謙, 1780~1842)은 1809년(순조 9) 증광문과에 병과 23등으로 급제하여 이후 벼슬이 호조참판과 예조참판에 이르렀다. 1829년 영의정 이상황(李相璜)이 심양정사(審陽正使)로 갈 때 서장관으로 임명되어 수행하였고, 1833...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호는 오초(烏樵). 박수홍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박도호(朴道浩)이다. 박래면(朴來冕, 1823~1879)은 1858년(철종 9) 식년문과에 을과 6등으로 급제하여 이후 벼슬이 공조참의에 이르렀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영서(永瑞). 박수홍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박문호(朴文浩)이다. 박래명(朴來命, 1797~1875)은 1824년(순조 24) 무과에 급제하여 이후 벼슬이 전라우도수군절도사와 경상좌도병마절도사에 이르렀다....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조선 말 박래민의 송덕비. 박래민은 본관이 밀양으로, 자는 숙후(叔厚), 호는 월파(月坡)이며, 1888년(고종 25) 무과에 급제하여 용양위부사과를 지낸 인물로서, 충과 효를 겸전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박래민은 구미 지역 출신으로서 1903년(고종 40)에 인근 주민들이 곤궁한 지경에 처하자 집안 창고에 들어 있던 곡식을 내어줌으로써 굶주림을 구제...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명서(命瑞). 박수홍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박문호(朴文浩)이다. 박래영(朴來永, 1793~1846)은 1823년(순조 23) 무과에 급제하여 이후 벼슬이 충청도수군절도사에 이르렀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치수(穉受). 박수홍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박응호(朴應浩)이다. 박래익(朴來益, 1796~1862)은 1823년(순조 23) 무과에 급제하여 이후 벼슬이 전라좌도수군절도사에 이르렀다....
-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판소리 명창. 박록주(朴綠珠, 1905~1976)는 동편제 「흥보가」의 인간문화재로서 정통 판소리 보존과 후진 양성 등을 통해 판소리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박록주는 12세 때 박기홍(朴基洪)에게 판소리의 기본을 배운 뒤 김창환, 송만갑, 김정문, 정정렬, 유성준 명창으로부터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등을 배워 일가를 이루...
-
경상북도 구미시 출신의 명창 박록주가 새롭게 다듬어 부른 「흥보가」. 「박록주제 흥보가」의 바탕은 김정문 명창에게 배운 「송만갑제 흥보가」이다. 박록주는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에 김정문에게 배운 「흥보가」를 바탕으로 김창환의 「제비 노정기」, 백점봉의 「비단 타령」 등을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다듬어 개성이 강한 「박록주제 흥보가」로 만들었다. 「박록주제 흥보가」는 1967년...
-
경상북도 구미시 구포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인물 박명수의 송덕비. 낙동강은 영남의 젖줄이 되는 하천으로서 강의 연안에 해당하는 부분은 홍수 등의 재난을 예방하기 위하여 항상 수로의 정비와 제방의 축조, 수리가 수반된다. 박명수 송덕비는 이러한 수로 정비와 제방 축조에 공헌한 박명수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구미시 구포동의 천해사 아래 산록의 비각 안에 박명수 기념불망비와 함께 세워...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박명언(朴明彦)은 1919년 칠곡군 인동면(仁同面) 진평동에서 이상백(李相柏)을 중심으로 이영식(李永植)·이내성(李乃成) 등과 함께 독립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7일대구 계성학교(啓聖學校) 학생 이영식은 독립선언서 20매를 가지고 이상백을 찾아와 동지를 모이게 하여 상의하고 태극기를 만들었다. 박명언은 마을에 독립...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박명출(朴命出)은 1919년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이내성, 박근술, 박명언, 박삼봉, 박순석 등과 함께 진평동에서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만들어 주민들에게 나누어주고 마을 뒷산에 올라가서 200여 명의 시위 군중과 함께 독립 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벌이다가 일본 경찰에게 붙잡혔다. 1919년 4월 25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몽득(朴夢得)은 1939년 10월 25일 왜관에서 청년동지회를 조직하여 농민계몽을 통한 항일운동을 전개하다가 일본 경찰에서 붙잡혔다. 1942년 2월 23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l년 6개월 형을 선고받고 수감되어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수여되었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揚). 자는 공서(公瑞), 호는 오송헌(五松軒). 고조부는 박수홍(朴守弘)이고, 할아버지는 박증휘(朴增輝)이며, 아버지는 박성익(朴成翼)이다. 박봉령(朴鳳齡, 1671~1718)은 1699년(숙종25) 식년문과에 병과 14등으로 급제하여 이후 벼슬이 병조참판과 예조참판에 이르렀으며, 인현왕후(仁顯王后)의 국상(國喪) 때에는 빈궁도감(殯宮...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밀양(密陽). 아버지는 박우준이다. 박봉술(朴鳳述)은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에 몸을 바친 공로를 인정받아 1983년 대통령 표창이 수여되었으며, 경상북도 구미시 황상동에 묘비가 있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성구(成九), 호는 동정(東井). 박수홍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박래겸(朴來謙)이다. 박봉하(朴鳳夏, 1809~1881)는 1852년(철종 3) 음사(蔭仕)로 은진현감을 지냈으며, 이후 벼슬이 광주목사에 이르렀다. 경상북도 영천시에 애민선정비(愛民善政碑)가 세워져 있다....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장인은 생육신인 경은(耕隱) 이맹전(李孟專, 1392~1480)이다. 박사제(朴斯悌)는 문과에 급제하여 시강원보덕을 역임하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삼봉(朴三鳳)은 1919년 3월 14일 인동면(仁同面) 진평동에서 이상백(李相栢), 이내성, 박근술, 박명언 등이 주도한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이들은 마을 뒷산에서 시위 군중 약 200명과 함께 독립 만세를 외치며 시위 행진을 하다가 일본 경찰에게 붙잡혔다. 1919년 4월 25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6개월 형을 선...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희광의 별명은 박상만(朴相萬)이다.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의 10세손이며, 아버지는 박윤하(朴胤夏)이다. 박희광은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8세의 나이로 부친을 따라 만주로 갔다. 16세 때 봉천성(奉天省) 남성자학교(南省子學校)를 졸업하고 오동진(吳東鎭) 휘하 통의부(統義府)에 자진 입대하여 6개월간 군사 훈련을 받았다. 임시정부...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비안(比安). 자는 영가(寧可). 호는 율정(栗亭). 박서생(朴瑞生)은 야은(冶隱) 길재(吉再, 1353~1419)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음보(蔭補)로 성균학정이 되었다. 1401년(태종 1) 증광문과에 병과 3등으로 급제하고, 1407년(태종 7) 문과중시에서 을과 1등으로 급제하였으며, 이조참판과 사헌부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벼슬...
-
고려 후기 선산박씨의 시조. 박선민(朴善敏)은 음보(蔭補)로 목사를 지냈으며, 선산(善山)을 관적(貫籍)으로 받아 후손들이 선산을 관향으로 삼았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여관(汝寬), 호는 근와(芹窩). 증조부는 박수홍(朴守弘)이고, 조부는 박진환(朴震焕)이며, 아버지는 박경휘(朴景輝)이다. 박성유(朴成裕)는 1711년(숙종 37) 무과에 급제하여 용양위부사과(龍讓衛副司果), 동호군(同護軍), 철산진관(鐵山鎭管), 장자둔별장(長者屯別將), 동여덕진관(同如德鎭管), 구산수군첨절제사(龜山水軍僉...
-
경상북도 구미시 지산동에 있는 조선시대 인물 박소용(朴韶鏞)의 송덕비. 박소용은 지산동에 거주한 밀양인(密陽人)으로, 박동보(朴東輔)의 증손자이다. 박동보의 구황비(救荒碑)에 의하면 그는 아들 박도환(朴道煥)에게 어려운 이웃을 도우라고 유언하였으며 박도환은 부친의 뜻에 따라 흉년에 많은 사람들을 구하였다. 이후 손자 박효달(朴孝達), 증손자 박소용(朴韶鏞) 대에 이르기까지 재난이...
-
경상북도 구미시 지산동에 있는 조선시대 인물 박소용(朴韶鏞)의 송덕비. 박소용은 지산동에 거주한 밀양인(密陽人)으로, 박동보(朴東輔)의 증손자이다. 박동보의 구황비(救荒碑)에 의하면 그는 아들 박도환(朴道煥)에게 어려운 이웃을 도우라고 유언하였으며 박도환은 부친의 뜻에 따라 흉년에 많은 사람들을 구하였다. 이후 손자 박효달(朴孝達), 증손자 박소용(朴韶鏞) 대에 이르기까지 재난이...
-
조선시대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순백(純伯), 호는 건재(健齋). 박수일(朴遂一)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암(敬庵) 노경임(盧景任, 1569~1620)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많은 공을 세웠다. 이후 군자감정(軍資監正)에 임명되었고,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다시 의병을 모아 여러 곳에서 전공을...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유언(裕彦), 호는 봉곡(蓬谷). 아버지는 박정실(朴鼎實)이며, 어머니는 벽진이씨(碧珍李氏)로 북봉(北峰) 이민선(李敏善)의 딸이다. 박수홍(朴守弘, 1588~1644)은 매돈(梅墩) 김번(金蕃)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618년(광해군 10) 증광문과에 을과 2등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부정자(承文院權知副正字)에 임명되었다...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조선시대 관료 박수홍의 묘비. 박수홍의 자는 유언(裕彦), 호는 봉곡(蓬谷)이며,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1618년(광해군 10)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권지부정자에 보임되었으며, 외직을 거쳐 성균관전적, 예조좌랑을 역임하였고, 예조정랑겸춘추관기주관이 되었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인조를 강화로 호종하였으며, 그 뒤 경외직을...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박순석(朴順石)은 1919년 3월 12일 인동면(仁同面) 진평동에서 이상백(李相栢), 이내성, 박근술, 박명언 등과 함께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만들어 독립 만세 운동을 벌이기로 계획한 후 300여 명의 군중과 함께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시위 행진을 하고, 2차로 3월 12일에는 약목(若木) 장날에 200여 명의 군중과 함께 다시...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월곡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무들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 뒷산 줄기가 박을 심어서 덩굴이 뻗어가는 모양 같다고 박곡 또는 박실이라 지었다. 박곡마을은 월곡리 주변의 조명산과 연화봉 사이에 자리잡고 있다. 해평습지가 박곡마을 앞의 국도 25호선을 따라 낙동강 변에 위치하고 있다. 주민들은 마을 앞의 소폭의 도로를 거쳐 물달마을에서 면소재지로 이어지고, 국도...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자실(子實), 호는 송당(松堂). 좌찬성 박호문(朴好問)의 증손이다. 외할아버지는 양녕대군(讓寧大君), 아버지는 이조참판 박수종(朴壽宗)이다. 박영은 어릴 때부터 활 쏘기와 말 달리기를 연마하여 무예가 특출하였다. 1492년(성종 23) 22세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을 거쳐 조방장·황간현감·동부승지·김해부사를 역임하였다....
-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옥관리 구평마을에 있는 조선시대 박영의 묘. 조선 전기의 대표적 무인으로, 대대로 선산에 거처하면서 『송당집』, 『경험방(經驗方)』, 『활인신방(活人新方)』, 『백록동규해(白鹿洞規解)』 등과 같은 걸출한 저서를 남긴 송당 박영의 묘이다. 박영의 할아버지는 안동대도호부사 박철손(朴哲孫)이고, 아버지는 이조참판 박수종(朴壽宗)이며, 어머니는 양녕대군(讓寧大君)...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효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택지(澤之), 호는 용암(龍巖). 박운은 효심이 남달라 40년간 어머니를 봉양하면서 항상 곁에 모시어 손수 시중을 들었고, 늙은 어머니를 즐겁게 해 드리기 위해 노력하였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애절한 마음이 하늘에 사무쳐 3년 동안 묘 옆에 띠 풀을 이은 집을 짓고 나물죽만으로 연명하여 시묘의 정성을 다 하였다. 또한 시묘가...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상림리에 있는 조선시대 선비 박운의 묘. 이회재, 이퇴계, 김취성과 학문을 서로 강론하는 것을 좋아하였으며, 『자양심학론』, 『격몽편』, 『경행록』, 『삼후전』, 『위생방』 등 많은 저서를 남긴 박운의 묘이다. 박운 묘는 장천면 상림마을의 북쪽으로 난 도로를 약 1.5㎞ 정도 따라가 보면 나타나는 산에 있다....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괴곡리에 있는 조선 전기 인물 박운(朴雲)의 정려비. 박운은 밀양인(密陽人)으로 자는 택지(澤之) 호는 용암(龍巖)이다. 고려시대 우정승(右政丞) 박화(朴華)의 후손으로 진사 박종원(朴宗元)의 아들이다. 1493년(성종 24) 해평 고리곡(古里谷)에서 출생하였다. 1519년(중종 14)에 진사(進士)에 입격하였으나 당시는 사화가 잦은 때라 관직에 나가지 말라...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괴곡리에 있는 조선 전기 인물 박운(朴雲)의 정려비. 박운은 밀양인(密陽人)으로 자는 택지(澤之) 호는 용암(龍巖)이다. 고려시대 우정승(右政丞) 박화(朴華)의 후손으로 진사 박종원(朴宗元)의 아들이다. 1493년(성종 24) 해평 고리곡(古里谷)에서 출생하였다. 1519년(중종 14)에 진사(進士)에 입격하였으나 당시는 사화가 잦은 때라 관직에 나가지 말라...
-
조선 전기 구미 지역 출신의 박운이 지은 시조. 박운(朴雲, 1493~1562)은 조선 전기의 학자로 자는 택지(澤之), 호는 용암(龍巖)·운암(雲巖)이다.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괴곡 출신으로 명종 때 부사용을 지냈다. 박운은 처음 박영(朴英, 1471~1540)에게 학문의 방법을 묻다가 만년에 퇴계 이황을 사모하여 이황의 문인이 되었다. 사후 이황이 갈문(碣文)을 지어 박운의...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성오(聲吾).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의 9세손이다. 아버지는 박천건(朴天健)이다. 박응호는 1784년(정조 8) 무과에 25세로 급제하였고 1786년 중시 무과에도 급제하였다. 이후 충청우후, 경주영장, 벽동군수, 여산부사, 파주목사, 충청수군절도사, 황해도병마절도사,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오위도총부부총관을 역임했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揚). 자는 중겸(仲謙), 호는 겸암(謙庵).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의 현손이다. 아버지는 남헌(南軒) 박성집(朴成集)이다. 박익령은 1725년(영조 1) 진사에 급제하였으며 음사(蔭仕)로 서부봉사를 역임하였다. 글씨, 문장, 학행이 뛰어나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유고(遺稿)가 있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인구(仁九), 호는 동석(東石).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의 10세손이다. 아버지는 호조참판 박래겸(朴來謙)이다. 박인하는 1849년(헌종 15) 사마시에 급제하고, 같은 해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옥당(玉堂, 홍문관)에 들어갔다. 이후 홍문관의 박사·부수찬·수찬·부교리·교리, 사간원의 정언·헌납, 사헌부의 지평·집의 등 삼사(...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군선(君善).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의 10세손이다. 아버지는 수사(水使) 박래영(朴來永)이다. 박장하는 1838년(헌종 4) 무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수안군수·만포첨사·청송부사·충청도수군절도사·전라도병마절도사·한성좌윤을 거쳐 벼슬이 병조참판에 이르렀다....
-
경상북도 구미출신의 군인이며 정치가. 박정희는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상모리(현 구미시 상모동) 출신의 군인·정치가로, 호는 중수(中樹)이다. 1961년 5월 16일 군사 쿠데타로 집권한 이래 대한민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제9대 대통령을 역임하여 18여 년간을 집권하였다.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중 가장 오래 집권한 박정희가 재임 기간 중 이룩한 성과에 대해서는 상반된 평가...
-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동에 있는 박정희 대통령 생가. 1900년경에 건립되어 6·25전쟁 때 안채는 소실되고 사랑채만 남았으나, 1964년에 벽돌조로 안채를 다시 짓고 1980년에 분향소를 건립하였다. 현존하는 사랑채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초가 토담집으로, 비교적 건립 당시의 모습을 보존하고 있다. 평면 구성을 보면 왼편에 앞뒤로 2개의 온돌방을 두고, 오른편에 방앗간과...
-
경상북도 구미시 광평동에 있는 체육관. 구미시는 체육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하여 시민의 체력증진과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도모하고, 다양한 체육·문화·예술 행사 개최를 통하여 시민에게 체육·문화 공간을 제공할 목적으로 건립하였다. 1996년 12월 29일 공사에 착공하였으며, 2000년 12월 29일 준공하였다. 2001년 2월 15일 구미체육관으로 개관하였으며, 2002년 2월...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선산부사를 지낸 박중규의 애휼비(愛恤碑). 박중규는 1701년(숙종 27) 3월 10일에 도임하여 이듬해인 1702년(숙종 28) 윤6월 29일까지 선산부사로 재임하면서 수령으로서의 본분을 다하여 애민(愛民), 진휼(賑恤)함으로써 읍민들의 칭송을 받았으며, 이러한 그의 선정에 보답하고자 백성들이 금오산성 내의 암벽에 선각한 비이다. 구미시...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박증휘는 유배를 감수하면서 용기 있게 많은 상소를 올려 국정 쇄신에 힘을 보탠 인물로, 현종조에 유명한 칠간신(七諫臣) 중의 하나이다.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회중(晦中), 호는 낙정(洛汀). 할아버지는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 아버지는 효자 남강(南江) 박진환(朴震煥), 어머니는 김선(金璇)이다. 박증휘는 1648년(인조 26) 식년문과에 병과...
-
조선 시대 구미 출신의 유생이자 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명술(明述), 호는 와유당(臥遊堂)·소암(巢巖). 용암(龍巖) 박운(朴雲)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건재(健齋) 박수일(朴遂一)이며 어머니는 평양조씨(平壤趙氏) 인의(引儀) 조인복(趙仁復)의 딸이며, 장인은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이다. 박진경은 1596년(선조 29) 16세에 장인 장현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인물 박진환(朴震煥)의 효자정려비. 박진환(1605~1650)의 자는 양백(楊伯)이며, 호는 남강(南岡)이고, 관직은 통덕랑(通德郞)에 이르렀다. 부친 경주부윤(慶州府尹) 박수홍(朴守弘)의 급서(急逝)로 3년 동안 시묘 후 몸이 극히 쇠약하여 46세를 일기로 운명하여 1681년(숙종 7)에 조정으로부터 정려가 내려졌다.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밀양박씨 박진환(朴震煥)의 정려편액. 박진환(1605~1650)의 자는 양백(楊伯), 호는 남강(南岡)으로, 관직은 통덕랑(通德郞)에 이르렀다. 부친 경주부윤(慶州府尹) 박수홍(朴守弘)의 급서로 3년 시묘 후 몸이 극히 쇠약하여 46세의 일기로 사망하자 1681년(숙종 7)에 조정으로부터 정려가 내려졌다. 후에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 박성유(朴...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조선 후기 인물 박진환(朴震煥)의 효자정려비. 박진환(1605~1650)의 자는 양백(楊伯)이며, 호는 남강(南岡)이고, 관직은 통덕랑(通德郞)에 이르렀다. 부친 경주부윤(慶州府尹) 박수홍(朴守弘)의 급서(急逝)로 3년 동안 시묘 후 몸이 극히 쇠약하여 46세를 일기로 운명하여 1681년(숙종 7)에 조정으로부터 정려가 내려졌다.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字)는 여건(汝健).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의 7세손이다. 아버지는 대사간 박춘보(朴春普)이다. 박천행은 1774년(영조 50) 45세의 만학으로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세자시강원의 문학·사서·필선, 사헌부의 지평·장령·집의, 홍문관의 부수찬·수찬·부교리·교리·부응교·응교, 승정원의 동부승지·좌부승지, 사간원의 대사간을 역임하...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사혁(士赫), 호는 해강(海岡).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의 7세손이다. 아버지는 사간원대사간 박춘보(朴春普)이다. 박천형은 1773년(영조 49) 37세로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감찰, 호남어사, 제주어사, 접위관, 사간원정언, 세자시강원문학·필선·보덕, 사헌부장령·집의, 홍문관수찬·부교리·교리·부응교·응교, 황해도의 곡...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아버지는 찬성 박호민(朴好閔)이다. 박철손은 문과에 급제하여 안동대도호부사를 지냈다고 전한다. 실록에 따르면, 1457년(세조 3) 평양판관을 역임했으며 1471년(성종 2)에는 검참의(檢參議)로서 고향 선산에 물러나 있었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자길(子吉).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의 6세손이다. 아버지는 예안현감을 역임한 만취헌(晩翠軒) 박학령(朴學齡)이다. 박춘보는 1717년(숙종 43) 사마시에 급제하여 음사(蔭仕)로 적성현감을 제수받았다. 1737년(영조 13) 9월 9일 영조가 반궁(泮宮, 성균관의 별칭)에서 실시한 알성시 제술과에서 44세의 만학으로 급제...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명경신당(明鏡新堂) 박율(朴慄)의 5세손이다. 아버지는 통덕랑 박사철(朴思澈)이다. 박춘수 1816년(순조 4) 문과에 급제하여 유곡도찰방(幽谷道察訪, 유곡도는 조선시대 경상도 문경의 유곡역(幽谷驛)을 중심으로 한 역도(驛道)), 사헌부지평, 돈녕부도정 등을 지냈다....
-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주아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 옥성면장을 지낸 박태훈의 송덕비. 박태훈은 일제강점기 때 행정의 최하부 단위인 옥성면의 면장을 지낸 인물로서, 면장으로서의 치적과 공덕에 대하여 기념하기 위하여 주민들이 비석을 세웠다. 구미시 옥성면사무소 앞 공터에 박근석 실혜비와 함께 세워져 있다. 높이 144㎝, 너비 47㎝, 두께 17.5㎝의 비신을 세우고 그 위에 팔작지붕...
-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종교인. 박태희는 옥계교회를 설립한 박용하의 12남매 자녀 중 여덟째(아들로는 셋째)로 태어났다. 처는 박태희보다 7살 아래로 옥계교회에서 분가해 나간 성전교회의 신자였으며 장모가 그 동네에서 처음으로 교회를 다녔을 만큼 신앙이 깊은 집안에서 자랐다. 형제 중 맏아들과 차남이 옥계교회의 장립집사이고 셋째 아들이 서리집사이며, 맏사위가 상모교회 장로이고, 막내...
-
경상북도 구미시 지산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 인물 박효달의 송덕비. 구미시 지산동에 소재하는 계선각(繼善閣)은 중추원의관 박도환, 혜민원참서관(惠民院參書官) 박효달(朴孝達), 유학(幼學) 박조용(朴詔鏞) 등 3대에 걸쳐 자선을 베푼 밀양박씨 문중 세 인물의 송덕비를 보호하기 위해 세운 비각이다. 박효달은 고종 때 큰 흉년이 들자 백성들을 구제한 유학 박동보, 중추원의관 박도환의 손...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비안(比安). 자는 백인(伯仁). 할아버지는 대사헌 박서생(朴瑞生)이다. 박효원은 1464년(세조 10)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정랑, 사간을 역임하였다....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희광의 별명은 박상만(朴相萬)이다.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의 10세손이며, 아버지는 박윤하(朴胤夏)이다. 박희광은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8세의 나이로 부친을 따라 만주로 갔다. 16세 때 봉천성(奉天省) 남성자학교(南省子學校)를 졸업하고 오동진(吳東鎭) 휘하 통의부(統義府)에 자진 입대하여 6개월간 군사 훈련을 받았다. 임시정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희목은 밀양박씨(密陽朴氏)로서 자는 문여(文如)이다. 경주부윤을 역임한 박수홍(朴守弘)의 11세손으로서 아버지는 박동하(朴東夏), 어머니는 황한태(黃漢泰)의 딸로서 장수황씨(長水黃氏)이다. 박희목은 유학자의 지조와 절개를 숭상해 온 집안에서 자랐으며 조부의 슬하에서 학문에 전념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나자 권오환,...
-
조선 전기 구미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영광. 자는 이회(而晦), 호는 반곡(盤谷). 아버지는 정몽응(丁夢鷹)이다. 정경달(丁景達)은 1570년(선조 3) 문과에 급제하였다. 1591년(선조 24) 선산부사로 도임하였다. 1592년(선조 25) 4월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관군과 군민을 독려하여 왜적 방어에 공을 세웠다. 4월 28일 상주가 함락되자 순변사(巡邊使) 이일(李鎰)은...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반도체 재료 및 반도체 전자회로 소자(素子)를 제조·제작·응용하는 산업. 반도체 산업은 전자 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반도체 산업의 중심인 반도체 소자의 제작은 초고순도(超高純度: 불순물률 약 10-10)의 균일한 단결정을 얻고, 그 속으로의 불순물 첨가를 확산(擴散: diffusion) 등의 방법으로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 섬세한 도형을 작은 반도...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반도체 재료 및 반도체 전자회로 소자(素子)를 제조·제작·응용하는 산업. 반도체 산업은 전자 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반도체 산업의 중심인 반도체 소자의 제작은 초고순도(超高純度: 불순물률 약 10-10)의 균일한 단결정을 얻고, 그 속으로의 불순물 첨가를 확산(擴散: diffusion) 등의 방법으로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 섬세한 도형을 작은 반도...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송곡리 도리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도리사 경내의 극락전 바로 서측에 위치하였는데 현재는 적멸보궁 동쪽 산중턱에 옮겨 세워 ‘반야정사’라 칭하고 있다. 도리사는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신라 최초의 절이라 하며 원래의 절터는 태조산(太祖山) 기슭에 있는 옛 절터로 추정된다. 창건 이후 조선 중기까지의 연혁은 전하지 않으며, 1677년(숙종 3) 화...
-
경상북도 구미시 지산동의 낙동강변에 있는 들. 발갱이들은 고려 건국과 관련하여 견훤의 아들 신검과 고려 태조 왕건이 최후의 결전을 벌였던 곳이다. 팔공산 전투에서 견훤에게 크게 졌던 왕건은 그로부터 수년 뒤인 935년 일선군 냉산에 숭신산성(崇信山城)을 쌓고, 그 아래의 낙산동 일대에는 군창(軍倉)을 일곱 개나 지어 군량을 비축하고 장기전을 준비하였다. 그러고는 현재의 일선교 근처...
-
경상북도 구미시 지산동의 낙동강변에 있는 들. 발갱이들은 고려 건국과 관련하여 견훤의 아들 신검과 고려 태조 왕건이 최후의 결전을 벌였던 곳이다. 팔공산 전투에서 견훤에게 크게 졌던 왕건은 그로부터 수년 뒤인 935년 일선군 냉산에 숭신산성(崇信山城)을 쌓고, 그 아래의 낙산동 일대에는 군창(軍倉)을 일곱 개나 지어 군량을 비축하고 장기전을 준비하였다. 그러고는 현재의 일선교 근처...
-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동에 있던 자연마을. 마을에 밤나무가 많아서 밤나무가 많은 마을, 밤마라고 불렀다고 한다. 밤마마을의 흔적을 전혀 찾을 수 없으며, 서쪽으로 금오산과 접해 있는 완경사의 구릉지이다. 주변에는 박정희 대통령 생가가 있고, 상모교회, 상모고등학교가 있다. 현재 세양 청마루 아파트가 건설 중에 있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백상(伯常), 호는 방간(方間). 아버지는 윤득민(尹得敏)이다. 윤동은 1754년(영조 30) 문과에 급제하여 다음해 설서(說書)를 거쳐 정언, 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제주목사를 거쳐 좌부승지, 대사헌 등을 역임했다. 그 후 정조 때에 경기도관찰사, 개성부유수,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면서 탕평책(蕩平策)에 순응하지 않고 당론을...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방귀로 인물과 국가를 빗대어서 부르는 유희요. 1984년 7월 10일 최정여·임갑랑·박육규가 구미시 고아읍 오로리의 황수원(남, 당시 53세)에게서 채록하였다. 「방구타령」 사설의 내용은 2부로 구분되는데, 앞부분에서는 가족의 각 인물에 대한 성격을 방귀에 빗대어 묘사하였으며, 뒷부분에서는 해방 이후 민중의 눈에 비친 한반도를 둘러싼 국가들의 이미지를 방귀에 빗...
-
조선 후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장현광이 지은 한시. 장현광(張顯光, 1554~1637)은 조선 후기의 학자로 자는 덕회(德晦), 호는 여헌(旅軒)이다. 여러 차례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학문 연구에만 전심하였다. 「방금오산」은 장현광이 쓴 오언 절구의 한시로 『여헌선생문집(旅軒先生文集)』에 수록되어 있다. 대나무는 당시의 푸르름 그대로이고/ 산은 예전처럼 높도다/ 맑은 바람...
-
개항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학자이자 의병장. 본관은 김해. 호는 방산(舫山). 도학문장(道學文章)으로서의 기대 때문에 아명(兒名)을 허도문(許道文)이라 했다. 불고헌 허돈(許暾)이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 임은동에 옮겨 살면서 세칭 임은허씨로 불리워졌다. 청추헌 허조(許祚)의 장자로 태어나 백부 허정(許柾)의 양자로 들어갔다. 1894년 동학혁명이 일어나던 해 위암 장지연(張志淵)...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이루어지는 전파에 의한 매스커뮤니케이션. 2007년 4월 27일 개정된 「방송법」제2조 1항에 의하면 “방송이라 함은 방송 프로그램을 기획·편성 또는 제작하여 이를 공중에게 전기통신 설비에 의하여 송신하는 것으로 다음의 것을 말한다.”라고 되어 있다. 여기서 ‘다음의 것’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텔레비전 방송, 라디오 방송, 데이터 방송, 이동멀티미디어 방송을 들고...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방아를 찧을 때 부르는 노동요. 1993년 7월 23일 MBC ‘한국민요대전’ 제작팀에서 구미시의 옥성면 농소1리에서 강귀동(남, 1923년생)과 그 외 몇 명에게 채록한 것이다. 「방아 노래」는 한 사람의 선창자가 메기면 여러 사람의 후창자들이 받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구미시에서 불리는 「방아 노래」의 내용을 보면 주요 곡물인 보리와 쌀에 관한 것과, 방아...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방아를 찧을 때 부르는 노동요. 1993년 7월 23일 MBC ‘한국민요대전’ 제작팀에서 구미시의 옥성면 농소1리에서 강귀동(남, 1923년생)과 그 외 몇 명에게 채록한 것이다. 「방아 노래」는 한 사람의 선창자가 메기면 여러 사람의 후창자들이 받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구미시에서 불리는 「방아 노래」의 내용을 보면 주요 곡물인 보리와 쌀에 관한 것과, 방아...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방아를 찧을 때 부르는 노동요. 1993년 7월 23일 MBC ‘한국민요대전’ 제작팀에서 구미시의 옥성면 농소1리에서 강귀동(남, 1923년생)과 그 외 몇 명에게 채록한 것이다. 「방아 노래」는 한 사람의 선창자가 메기면 여러 사람의 후창자들이 받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구미시에서 불리는 「방아 노래」의 내용을 보면 주요 곡물인 보리와 쌀에 관한 것과, 방아...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사용되는 토박이 언어. 방언은 인위적으로 정한 언어가 아니라 그 지역 토박이들이 관습적으로 사용해 온 자연 언어로서, 특정 지역 또는 사회 계층에서만 사용하는 음운, 어휘, 문법의 체계를 가리킨다. 방언은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으로 구분한다. 지역 방언은 각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분화한 언어를 말하고, 사회 방언은 동일한 지역 내에서 계층, 직업, 나이, 성별...
-
신라시대 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신장리에 위치한 산성. 천생산성은 금오산성과 더불어 낙동강을 끼고 동서로 마주하면서 가산산성과 연결되는 국방의 요충지이다. 천생산은 정상이 일자봉(一字峯)으로 생김새가 특이하여 하늘이 내셨다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속칭 함지박을 엎어놓은 듯하다 해서 방티산이라고도 부른다. 신라 시조 박혁거세가 쌓았다는 기록이 『인동읍지(仁同邑...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방하영은 1932년 일제의 한글 말살 정책에 대항하기 위하여 왜관에서 이창기(李暢基) 등과 함께 청년동지회에 참가하여 활동하였다. 1938년 10월 청년동지회의 활동의 일환으로 농민에게 한글을 지도하며 문맹 퇴치에 주력하는 등 농민 계몽을 통한 항일 운동을 전개하다가 동지 100여 명과 함께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1941년 3월 17...
-
조선시대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일선. 자는 방현(邦顯). 우윤(右尹) 김득자(金得資)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판결사(判決事) 김정(金鼎)이다. 김광열은 성품이 관대하고 학문이 높았으며, 선조 때 천거에 의해 정헌대부동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다. 경암(敬庵) 노경임(盧景任)과 친교를 맺었으며, 집안의 재산이 부유하여 많은 곡식을 나라에 헌납하였다....
-
조선 전기 구미 지역에 유배된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방형(邦衡). 이집(李集)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이지직(李之直), 아버지는 우의정 이인손(李仁孫), 어머니는 노신(盧信)의 딸이다. 이극균의 형제 이극배(李克培), 이극감(李克堪), 이극증(李克增), 이극돈(李克墩)은 모두 세종 및 세조 때 문과에 급제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극배와 이극균은 정승이 되었고 4형제가 공...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육지에 올려놓은 배를 띄우기 위해 끌어내리며 부르는 노동요. 노를 젓거나 그물을 당기는 일처럼 강으로 배를 끌어내리는 일도 여러 사람의 협력이 필요하다. 「배 띄우는 노래」라고도 하는 「강배 끄는 소리」는 어업을 생업으로 삼아 살아가는 곳에서 드물게 전승된다. 보통은 ‘어하’라는 여음이 들어간다. 낙동강을 중심으로 살았던 구미 지역에서 어업을 생업으로 하던 주민...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묵어리에 위치한 고개. 장천면 묵어리 뒷산은 팔공산 지맥이 조계산으로 뻗은 지맥으로 해발고도가 650m로 비교적 높으며 산세가 험준하다. 옛날에는 묵어리에서 군위군 효령면 내이동으로 넘어가는 이 길에 산적과 짐승이 득실거려 행인이 고개를 넘지 못하고, 산 아래에서 기다렸다가 백 명이 모여야만 이 고개를 넘어갔다 하여 백(百)고개라 이름한다. 군위군 효령면 내...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봉계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배숙기(裵淑綺)의 정려편액. 배숙기는 성주인(星州人)으로 1470년(성종 1) 진사를 거쳐 문과에 등제하여 홍문관저작에 이르렀다. 어릴 때부터 영리하고 성격이 온순하여 부모님의 뜻을 한 번도 어긴 일이 없었다. 부모를 편히 잘 모시는 능양(能養)을 극진히 하여 좋은 음식을 대접하고 외출하여 늦게 돌아와 양친이 잠을 자면 밖에서...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인. 본관은 덕산. 자는 백견(伯見), 호는 구산(龜山). 황필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호군(護軍) 황하윤(黃河潤)이다. 1617년(광해군 9) 14세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이이첨(李爾瞻) 등이 폐비론을 선동하여 황진용에게 글을 지어 상소하라 하자 “사람으로서 어머니를 폐하는 것은 인륜에 어긋난 일이니 죽어도 글을 쓰지 못 하겠다” 하고 상소에 불참하고 고...
-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동에 있는 무용단. 백경원은 1980년부터 구미 지역에서 무용학원을 운영하면서 무용 보급에 힘쓴 구미 지역의 대표적인 전문 무용가이다. 1990년 백경원무용단이 창단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6년 제15회 전국무용제에서 「산유화...부활초로 붉어지다」로 은상을 수상하였다. 2007년 9월 11일 구미문화예술회관에서 지고지순한 사랑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한국...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묵어리에 위치한 고개. 장천면 묵어리 뒷산은 팔공산 지맥이 조계산으로 뻗은 지맥으로 해발고도가 650m로 비교적 높으며 산세가 험준하다. 옛날에는 묵어리에서 군위군 효령면 내이동으로 넘어가는 이 길에 산적과 짐승이 득실거려 행인이 고개를 넘지 못하고, 산 아래에서 기다렸다가 백 명이 모여야만 이 고개를 넘어갔다 하여 백(百)고개라 이름한다. 군위군 효령면 내...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백현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백곡은 백이실이라고도 부른다. 한산인 영주군수 이씨가 1675년 이 곳에 정착할 때 잣나무와 배나무를 가지고 와서 심었기 때문에 백이실, 또는 이씨가 개척한 마을이라 하여 백이실이라고 한다. 1914년 선산군 산동면의 관할이 되었다가 1995년 시군통합에 따라 산동면이 구미시에 편입되면서 백현리도 구미시 산동면에 편입되었다. 남쪽으...
-
경상북도 구미시 구평동에 위치한 저수지. 팔공산의 지맥인 유학산으로부터 긴 골짜기가 형성되는데, 동남쪽으로는 천생산, 서남쪽으로는 봉두암산 등으로부터 계곡이 형성된다. 주변에 위치한 백 개의 골짜기에서 흐르는 물이 이 곳 저수지로 모인다 하여 백곡지라 칭하였다. 동쪽으로는 유학산과 유학산의 지맥인 천생산이, 남쪽으로는 봉두암산 연맥에 의해 둘러싸인 계곡에서 흘러내린 물이 북쪽으로...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자연(子挻), 호는 백담(栢潭). 할아버지는 김취빈(金就彬)이며, 아버지는 김도(金燾)이다. 김천영(金天英)은 1606년(선조 39) 진사가 되고 1610년(광해군 2) 식년문과에 병과 8등으로 급제하여 이후 벼슬이 성균관전적에 이르렀다....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오로리 북서쪽에 있는 산. 백마산 아래의 오로리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단종이 세조에게 손위(遜位)함을 보고 직제학 오로재(吾老齋) 김성미(金成美)는 사위 이맹전(李孟專)과 함께 벼슬을 버리고 단종을 사모하며 “나는 이곳에서 늙겠다.”는 말과 함께 여기에서 살았다. 그 후 태종 때 역적으로 몰려 죽은 심온(沈溫)의 아들을 양자로 삼아 길렀는데...
-
경상북도 구미시 출신의 명창 박록주가 즐겨 부르던 인생의 덧없음을 노래한 단가. 박록주(朴綠珠, 1906~1979)는 판소리 명창으로 송만갑·정정렬에게 판소리를 배웠고, 판소리 「흥보가」의 예능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박록주가 즐겨 불렀던 단가는 「운담풍경」·「진국명산」·「만고강산」·「대관강산」·「귀불귀」·「백발가」 등이 있었는데, 「백발가」는 인생의 덧없음을 노래하며 산천경개 좋은...
-
1894년(고종31) 백부걸을 별군관에 임명하고 출두를 명한 전령. 1894년 소모사(召募使)가 업무(業武) 백부걸을 별군관에 임명하고 소모영에 출두할 것을 명하는 전령이다. 1894년 동학농민전쟁 당시 동학군을 토벌하기 위해 설치한 소모영을 별도로 설치하고 소모사를 파견하였다. 본 문서는 소모영에서 백문걸을 별군관으로 임명하고 출두를 종용한 전령이다. 동학농민전쟁과 관련한 자료로...
-
경상북도 구미시 송정동에 있었던 자연마을. 마을 뒷산에 잣나무가 울창하여 백정산(栢亭山)이라고 하였고 이에서 연유되어 백산(栢山)이라 불렀다고 한다. 현재 마을의 흔적을 전혀 찾을 수 없다. 구미시청 후문 부근 샛별아파트, 벨라맨션, 대우로얄아파트가 있는 지역 부근으로 한 블록 모두 아파트가 건설되어 있다....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백상(伯常), 호는 방간(方間). 아버지는 윤득민(尹得敏)이다. 윤동은 1754년(영조 30) 문과에 급제하여 다음해 설서(說書)를 거쳐 정언, 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제주목사를 거쳐 좌부승지, 대사헌 등을 역임했다. 그 후 정조 때에 경기도관찰사, 개성부유수,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면서 탕평책(蕩平策)에 순응하지 않고 당론을...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유생. 본관은 안강(安康). 자는 양호(養皓), 호는 백송대인(白松大人). 아버지는 노계조(盧啓祚)이다. 노호(盧澔, 1765~1833)는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의 안강노씨 세거지에 세워진 문산서원(文山書院)이 서원으로 승격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평생 동안 학문에 전념하여 많은 유림으로부터 존경받았으며, 학문과 행실이 뛰어나 존노(尊老)라는...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백수(伯修), 호는 만하(晩霞). 윤의지(尹誼之)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윤연(尹堧), 아버지는 지평 윤세희(尹世喜), 어머니는 이동규(李同揆)의 딸이다. 윤유는 1718년(숙종 44) 문과에 급제하고 여러 언관직을 거쳐 경종 때 수찬, 부교리, 이조좌랑, 동래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영조 때 대사간에 승진한 후 부제학, 승지...
-
조선 시대 구미 출신의 의병. 본관은 수원(水原). 자는 여순(汝順), 호는 설강(雪岡). 백수화는 임진왜란 당시 전몽운(全夢雲), 이의정(李義貞), 장사진(張士珍)과 함께 형제의 의(義)를 맺고 금오산에 들어가 초막을 짓고 왜군을 섬멸하니, 왜군들은 그들을 백호(白虎), 전웅(全熊)으로 비유하며 두려워했다고 한다. 네 사람 모두 전장에서 순국하였고 사후에 사의사(四義士)로 칭해졌...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이맹전은 조려(趙旅), 원호(元昊), 김시습(金時習), 성담수(成聃壽), 남효온(南孝溫)과 함께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백순(伯純), 호는 경은(耕隱). 지밀직사 이견간(李堅幹)의 후손이며 이군상(李君常)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이희경(李希慶), 아버지는 이심지(李審之), 어머니는 공부전서 여극승(呂克勝)이다. 선대...
-
고려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일선(一善). 호는 백암(白巖). 아버지는 김원로(金元老)이며, 동생은 농암(籠巖) 김주(金澍)이다. 김제(金濟)는 고려 공양왕 때 조봉랑(朝奉郎)으로 평해군수에 재직하다가 망국의 소식을 듣고 깊이 통곡하였으며, 중국 제나라 때 나라를 위하여 바다에 빠져 죽은 노중련(魯仲連)의 고사를 본받아 이름을 제해(濟海)로 고쳤다. 이후 시 한 수를 지어...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백옥(伯玉), 호는 낙남(洛南). 증조부는 증좌승지 최치운(崔致雲), 할아버지는 증좌참찬 최심(崔深), 아버지는 관찰사 인재(訒齋) 최현(崔晛), 어머니는 의성김씨로 창원부사 김복일(金復一)의 딸이다. 해평에서 출생하였다. 1627년 9월(인조 5) 이인거(李仁居)가 후금과의 화친을 비판하며 횡성에서 일으킨 반란에 관련했다 하여 아...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무수리에 있는 조선 말의 인물 백용기 선정비. 백용기는 19세기말인 1889년(고종 26)에 통정대부 돈녕부도정에 임명된 바 있는 인물로서, 자신의 사재를 털어서 빈민을 구제하고 불가에 시주하는 등의 공로를 기려 백성들이 비를 세웠다. 구미시 무을면 무수리 무수골의 새마을회관 뒤쪽에 있다. 높이 112㎝, 너비 40.5㎝, 두께 16.5㎝의 비신을 세우고,...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목사. 최재화의 호는 백은(白恩), 본관은 경주이다.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산양리에서 최도원(崔道源)의 큰아들로 태어났다. 이명으로 최재하(崔在河), 최동수(崔東秀)를 사용하였다. 최재화는 서울 경신중학교를 졸업하고 해평면 산양동에 내려와 신앙 활동을 하고 있었다. 1919년 만세 시위가 전국에서 일어나자 4월 3일 해평면 해평동에서...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백응(伯應), 호는 남와(南窩). 장금용(張金用)계로서 남파 장학의 후손이자 장한시(張漢蓍)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온재(穩齋) 장수모(張守模), 아버지는 통덕랑 장인섭(張仁燮)이다. 백부인 통덕랑 장운섭(張運燮)에게 입양되었다. 장용팔은 1803(순조 3) 문과에 급제하였다. 1806년 사헌부지평을 제수받았으나 이어지는 집...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백현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백곡은 백이실이라고도 부른다. 한산인 영주군수 이씨가 1675년 이 곳에 정착할 때 잣나무와 배나무를 가지고 와서 심었기 때문에 백이실, 또는 이씨가 개척한 마을이라 하여 백이실이라고 한다. 1914년 선산군 산동면의 관할이 되었다가 1995년 시군통합에 따라 산동면이 구미시에 편입되면서 백현리도 구미시 산동면에 편입되었다. 남쪽으...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비안(比安). 자는 백인(伯仁). 할아버지는 대사헌 박서생(朴瑞生)이다. 박효원은 1464년(세조 10)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정랑, 사간을 역임하였다....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박수홍과 그의 아들 박진환을 기리기 위한 일제강점기 재실 박수홍(朴守弘)의 호는 봉곡이며, 승정원 동부승지, 경주부윤을 지낸 조선 인조 때 문관이고, 박진환(朴震煥)의 호는 남강(南岡)으로, 통덕랑을 지내고 통정대부 이조참의에 증직되었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숙종때 효정여가 내려진 인물이다.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 갓골 뒤쪽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정...
-
조선 시대 구미 출신의 유생.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백임(伯任), 호는 훈재(塤齋). 형조판서 윤상저(尹尙著)의 후손이며 묵헌(黙軒) 윤희빙(尹希聘)의 증손이다. 윤홍선은 8세에 『소학(小學)』의 대의에 통달하고 오직 학문을 탐구하는 데 뜻을 두었으며 한강(寒岡) 정구(鄭逑),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원리 금오산(金烏山...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자리는 송정(松亭, 일명 소지이), 천촌(川村, 일명 내울), 가내(家內, 일명 가느실·가내실)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백자리의 지명 유래는 알 수 없으나 18세기 후반에 간행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백자전리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래전부터 불리어진 명칭으로 보인다. 또한 자연마을인 송정의 지명 유래에서 백자리에 잣나무...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백종(白宗), 호는 학정(鶴汀). 옥산(玉山) 이우(李瑀)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이경절(李景節), 아버지는 군수 이즙(李楫), 어머니는 심광세(沈光世)의 딸이다. 이동명은 1652년(효종 3) 진사에 합격하고 10월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예조좌랑, 병조좌랑, 사간원정언, 안주목사, 강릉부사, 상의원정, 사간, 안동부사, 동부...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무수리에 있는 개항기 효자 백중휘(白重暉)의 정려비. 백중휘는 수원인(水原人) 휴암(休庵) 백인걸(白仁傑)의 후손으로 모친상 때 부친이 살아 있어 여막을 지을 수 없게 되자 날마다 묘소에 가니 범이 수호하였다고 한다. 또한 부친이 병환 중 일 때 실화(失火)로 집이 타자 하늘을 우러러 비통해 하자 바람이 그쳐 화를 면했다고 한다. 고종 때 정려를 명하고 동몽...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무수리에 있는 개항기 효자 백중휘(白重暉)의 정려비. 백중휘는 수원인(水原人) 휴암(休庵) 백인걸(白仁傑)의 후손으로 모친상 때 부친이 살아 있어 여막을 지을 수 없게 되자 날마다 묘소에 가니 범이 수호하였다고 한다. 또한 부친이 병환 중 일 때 실화(失火)로 집이 타자 하늘을 우러러 비통해 하자 바람이 그쳐 화를 면했다고 한다. 고종 때 정려를 명하고 동몽...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일선(一善). 자는 백춘(伯春), 호는 병암(屛庵). 아버지는 경질공(景質公) 김지경(金之慶)이다. 김응기(金應箕)는 1477년(성종 8)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이후 교리·전교·직제학을 거쳐 좌부승지를 지냈다. 1499년(연산 5) 동지중추부사로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500년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으며, 이어서...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현리는 백곡(柏谷), 넓바위[廣岩], 웅현(熊峴, 일명 곰재), 장산골[長山谷], 봇돌(일명 복평)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백현리는 백곡과 웅현에서 한 음절씩 따서 지은 이름이다. 백곡은 잣나무가 많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675년(숙종 1) 영천군수 이민이 이곳에 정착할 때 잣나무와 배나무를 가지고 와서 심었기 때문...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백현리에 있는 수령 60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 26m, 지름 3m까지 자란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늙은 나무에서는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떨어진다. 꽃은 5월에 취산꽃차례(聚繖꽃次例 : 먼저 꽃대 끝에 한 개의 꽃이 피고 그 주위의 가지 끝에 다시 꽃이 피고 거기서 다시 가지가 갈라져 꽃이 핌)...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버선을 제재로 하여 부르는 민요. 최정여·박종섭·임갑랑이 1984년 8월 24일 구미시 무을면 원1리에서 윤복열(여, 당시 61세)에게서 조사·채록하였다. 「버선 노래」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질로 질로 가여다가/찔레꽃을 따여다가/임의 보선 잔볼 걸고/보선보고 임을 보니/버선 주기 아깝도다....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월호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낙동강 유역의 개펄 가까이까지 배가 드나들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고려 말 목화를 보급한 문익점의 손자인 문영이 여기서 베틀을 처음 만들어 의생활에 공헌했는데 그 유적이 아직도 있다. 또한 문영의 후손으로 선조 때 성불했다는 지경대사가 태어난 곳이다. 지경대사의 사리 7과와 영정이 해인사에 봉안되어 있다. 남평문씨가 개척한 마...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는 부전나비과에 속하는 곤충. 범부전나비라는 이름은 날개 뒷면의 무늬가 범의 무늬를 닮은 데서 유래한다. 부전나비과에 속하는 나비는 세계 각지에서 널리 볼 수 있으며, 대부분 열대지방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약 70종이 알려져 있다. 앞날개의 길이는 1.4~2㎝이다. 날개 앞면은 어두운 색으로 보랏빛을 띤 청람색 광택이 난다. 뒷면은 갈색으...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독립운동가. 허형(許蘅)의 호는 범산(凡山)이다. 허희(許禧)의 장자이며 허필(許苾, 1855~1932)의 형이다. 방산 허훈 형제와는 사촌간이다. 첫째아들 허민(1870~1910)은 1904년 제릉참봉, 1907년 궁내부주사를 지냈다. 둘째아들 허발(1872~1955)과 셋째아들 허규(許珪, 1884~1957)는 모두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딸 허...
-
1554년(명종 9) 송순이 선산 지역의 월파정 주위를 유람하고 지은 한시. 송순은 조선 명종 때의 문신이자 시인이다. 자는 수초(遂初)·성지(誠之), 호는 면앙정(俛仰亭)·기촌(企村)이다. 대사헌 등을 거쳐 우참찬에 이르러 기로소에 들어갔다가 벼슬에서 물러났다.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선구자로 시조에 뛰어났으며, 작품에 「면앙정가」, 저서에 『면앙집(俛仰集)』, 『기촌집(企村集)』...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에 있는 사찰. 법성사는 금오산에 소재하는 사찰로 현대에 창건하였는데, 경내에 통일신라 것으로 추정되는 약사여래좌상을 보수하여 봉안하고 있다. 현대에 창건한 사원이다. 봉안된 약사여래좌상은 송정동 정씨 가에서 파괴된 채로 보관하여 오던 것을 보수하여 옮겨온 것이다. 한 건물 내에 법당과 요사를 같이 사용하고 있다. 통일신라 때의 것으로 추정되는 약사여래좌상에...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 법성사에 있는 통일신라 때의 약사여래좌상. 법성사는 1970년대에 창건된 절로서 법성사 약사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약사여래 좌상에 대한 유래가 다음과 같이 전해온다. 1840년(헌종 6)경 구미시 송정동에 사는 영일정씨 정민기의 5대조 할아버지가 어느 날 꿈에 불상이 자신의 소유 전답인 원남동 781번지 일명 부처골에 나타나, 이튿날 아침 일찍이 그곳으...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명주·무명·모시·삼베 따위의 피륙을 짜는 기구. 베틀은 목재로 만들며, 여러 가지 부품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기구이다. 지역에 따라 베틀의 모양과 크기는 약간씩 달랐으나 구성된 부품은 유사하였다. 베틀의 형태는 2개의 누운다리에 구멍을 뚫어 앞다리와 뒷다리를 세우고 가랫장으로 고정시킨 것이다. 여기에 앞다리에는 아래쪽에 도투마리를 얹고, 위쪽 용두머리에는 나부산대...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여자들이 베틀에 앉아 베를 짜면서 부르는 노동요. 베 짜는 일은 주로 여성들의 노동인데, 낮에는 농사일을 하기 때문에 베 짜는 일은 대부분 저녁에 행해진다. 베 짜는 일은 같은 동작이 오래 동안 지속되는데, 사설의 내용은 베틀의 성립과 베틀의 부분 명칭 및 기능을 노래한다. 1984년 7월 10일 최정여·임갑랑·박육규가 구미시 고아읍 오로리의 김분이(여, 당시...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여자들이 베틀에 앉아 베를 짜면서 부르는 노동요. 베 짜는 일은 주로 여성들의 노동인데, 낮에는 농사일을 하기 때문에 베 짜는 일은 대부분 저녁에 행해진다. 베 짜는 일은 같은 동작이 오래 동안 지속되는데, 사설의 내용은 베틀의 성립과 베틀의 부분 명칭 및 기능을 노래한다. 1984년 7월 10일 최정여·임갑랑·박육규가 구미시 고아읍 오로리의 김분이(여, 당시...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금산리 베틀산에 위치한 석굴. 베틀굴은 베틀산 월출봉 아래에 위치한 석굴이다. 베틀산의 원래 명칭은 조계산이었는데, 고려시대 목화씨를 전래한 문익점의 손자인 문영(文英)이 조계산의 모양과 공상다리의 모양을 따서 만든 베틀로 ‘문영베’를 짜는 데 성공하면서 베틀산이라 칭하였다. 또 하나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먼 옛날 이곳에서 선녀가 베[布]를 짰다고 하며, 혹은...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금산리에 있는 산. 과거에는 조계산으로 불리기도 했고, 경상도 방언으로는 비틀산이라고 한다. 베틀산의 유래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고려시대 문익점은 목화씨를 전래시켜 재배에 성공하였고, 문익점의 손자인 문래(文萊)는 목화로부터 실을 뽑는 기계인 ‘문래’를 만들었다. 문래의 동생 문영(文英)은 조계산의 모양과 해평면 오상리에 있는 공상다리...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도중리·해평면 도문리에서 베틀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2000년 구미문화원에서 출간한 『구미시지』에 수록되어 있다. 베틀산 유래에 대한 이야기는 세 가지 형태로 전한다. 첫 번째 이야기는 문익점의 손자 문영이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에 자리 잡고 할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베 짜는 기계 만들기에 고심하다 이 산의 모양을 본떠 베틀을 만들어서 베틀산이란...
-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에 있는 경제산업단지. 구미시의 구미국가산업단지와 주변 지역은 벤처기업의 밀집도가 다른 지역보다 높은 지역으로 집단화와 협업화를 통한 벤처기업의 영업활동을 발전시키기가 다른 지역보다 쉽다. 벤처기업의 지방화를 위하여 벤처기업들이 자생적으로 밀집한 지역을 선정하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합동으로 체계적인 지원을 하여 한국형 실리콘밸리를 조성하고 벤처기업의 집적을...
-
원호리의 전문적인 축산업은 1970년대 정부로부터 젖소를 불하받아 처음 시작하였다. 이후 1990년대 초중반 김창용, 김기용, 김정록, 김교철, 김호익 씨 등이 본격적으로 축산업에 발을 디뎠다. 현재 김창조, 김경묵, 김창용 씨는 고령으로 은퇴하고, 김교철 씨는 젖소에서 한우로 변경하였고, 가구당 젖소의 사육두수는 김기용 씨 100두, 김정록 씨, 김호익 씨 50두의 젖...
-
경상북도 구미시 도량동 뒷산에 있는 바위. 도량동 마을 뒷산에 큰 바위가 있어 벼락바위라고 불린다. 여기에는 전해오는 이야기가 있다. 그 바위 속에는 어린 용마(龍馬)가 살고 있었다. 하루는 어떤 나그네가 그 바위 옆을 지나다가 무심코 무지막지한 욕을 지껄였다고 한다. 이에 산신령이 그만 노하여 이 바위에 벼락을 때려 다 자라지 못한 용마가 부정을 타 죽고 말았다. 이 용마가 다...
-
개항기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양제안은 남원양씨(南原梁氏)로서 호는 벽도(碧濤)이다. 양제안은 1876년(고종 13) 병인양요 때 격문을 만들어 척양(斥洋)과 척왜(斥倭)를 주장하였으며, 1894년 충청북도 진천에 의병 총본영을 설치하고 의병을 모집하여 훈련시켰다. 이듬해인 1895년 이기찬(李起燦) 의병진의 중대장으로 선산 출신의 허위(許蔿) 등과 청산·보은·괴산·...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던 마을. 조선시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이 마을에 은거한 이상일(李尙逸)과 만나던 날 밤에 남쪽 하늘에서 남극노인성(南極老人星)이 빛나는 것을 보고 성남(星南, 별남)이라 불렀다고 한다. 다봉산의 남쪽 자락에 위치하며 넓은 들이 있고 과거에는 성남지(별남지)라는 저수지가 있었다. 과거에는 작은 자연마을이었으나 구미시의 대규모 택지 개발로 인해...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풍년을 기원하는 모의농경(模擬農耕) 풍습. 모의 추수는 한 해의 풍년 농사를 기원하는 주술적 의미에서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행하는 모의적인 수확 행위를 일컫는다. 이를 모의수확(模擬收穫)·가농작(假農作)·내농작(內農作)·볏가릿대 세우기·보리깃대 세우기·보리타작 등으로도 부른다. 정월 14일 혹은 15일에 잿간이나 두엄더미 위에 수수깡...
-
조선 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일선(一善). 자는 백춘(伯春), 호는 병암(屛庵). 아버지는 경질공(景質公) 김지경(金之慶)이다. 김응기(金應箕)는 1477년(성종 8)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이후 교리·전교·직제학을 거쳐 좌부승지를 지냈다. 1499년(연산 5) 동지중추부사로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500년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으며, 이어서...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환자를 진찰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설치된 장소. 법적으로는 입원환자 2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기관을 병원이라 하고, 이에 미치지 못하는 기관을 의원(醫院)이라 하여 구분하고 있다. 병원은 그 기능적 측면에서 볼 때 20세기 이후에 본격적으로 나타난 사회적 산물이다. 빈곤자를 수용하고 의지할 곳 없는 유랑인을 보호하며 나병환자를 치료 수용한 것은...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주민을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보다 건강한 상태로 회복·증진시키기 위하여 행하는 일련의 활동. 국민에게 양질의 보건의료를 제공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보건의료 분야의 균형 있는 발전과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2000년 1월 12일 「보건의료기본법」(법률 제6150호)이 제정되었다. 의료보험제도는 보건의료 수요가 증대하면서 1977년부터 시작되었으며...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인동(仁同). 초명은 장우환(張羽寰), 자는 보경(輔卿), 호는 침류정(枕流亭)이다. 장금용(張金用)의 후손이며 극명당(克明堂) 장내범(張乃範)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만회당(晩悔堂) 장경우(張慶遇), 아버지는 선교랑(宣敎郞) 장원(張厡)이다. 장우상은 당시의 인동도호부(仁同都護府)에서 태어났다. 1672년(현종 13) 무과에 급제한 뒤 오위부...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수확한 곡식을 타작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타작 노래」에는 「보리 타작 노래」와 「도리깨질 노래」가 있다. 「보리 타작 노래」는 보리를 탈곡할 때 부르지만, 「도리깨질 노래」는 조·콩·수수 등과 같이 밭에서 수확한 곡식을 타작하면서 부른다. 이러한 「타작 노래」는 구미 지역에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왜냐하면 밭농사에 비하여 논농사가 우세하기 때문이다. 구미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보릿가루를 반죽하여 손바닥 크기로 납작하게 빚어 쪄낸 떡. 유두나 단오에 제사음식으로 만들었던 시절음식이다. 충주 지방에서는 보리개떡이 특히 유명하여 충주개떡이라고도 한다. 보리개떡은 보릿가루가 주재료이다. 보릿가루는 디딜방아나 절구, 맷돌에 보리를 갈아 체로 쳐서 만든다. 보리개떡은 보릿가루에 간장이나 참기름, 물을 넣고 반죽하여 쪄낸다. 떡 속에 콩이나 팥을...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풍년을 기원하는 모의농경(模擬農耕) 풍습. 모의 추수는 한 해의 풍년 농사를 기원하는 주술적 의미에서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행하는 모의적인 수확 행위를 일컫는다. 이를 모의수확(模擬收穫)·가농작(假農作)·내농작(內農作)·볏가릿대 세우기·보리깃대 세우기·보리타작 등으로도 부른다. 정월 14일 혹은 15일에 잿간이나 두엄더미 위에 수수깡...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풍년을 기원하는 모의농경(模擬農耕) 풍습. 모의 추수는 한 해의 풍년 농사를 기원하는 주술적 의미에서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행하는 모의적인 수확 행위를 일컫는다. 이를 모의수확(模擬收穫)·가농작(假農作)·내농작(內農作)·볏가릿대 세우기·보리깃대 세우기·보리타작 등으로도 부른다. 정월 14일 혹은 15일에 잿간이나 두엄더미 위에 수수깡...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에 있는 고려 전기 마애보살입상. 금오산 해발 약 800m 지점에서 남쪽으로 꺾어 암벽을 안고 돌아가 300~400m 지점에 이르면 약사암(藥師庵)이 바라다보이는 곳 동쪽으로 제법 넓직한 대지가 나오고, 기와 조각들이 주변에 산재한 보봉사지가 있다. “보봉사(普峰寺)가 보봉 아래 있어 동으로 수백 리의 통망(通望)이 좋더라”라는 기록대로 보봉사의 구지(舊址)로...
-
조선 시대의 무신 문관도(文貫道)는 1583년(선조 16)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하양현감과 경주판관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들 문희성(文希聖)·문희현(文希賢)·문희철(文希哲)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며, 경상도순찰사로 재직하던 중 별세하였다. 묘소는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독용산(禿用山)에 있다. 사후 호조참찬에 추증되었다....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된장을 푼 국물에 개고기를 넣고 갖은 양념을 해서 끓인 국. 여름철 삼복에 더위를 이기기 위해 먹는 시절음식의 하나이다. 지방에 따라 조리방법이 약간씩 다르다. 개고기를 먹은 시기는 삼국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보신탕에 대한 기록은 조선 중기 이후에 저술된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 『규합총서(閨閤叢書)』 등의 문헌에 등장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된장을 푼 국물에 개고기를 넣고 갖은 양념을 해서 끓인 국. 여름철 삼복에 더위를 이기기 위해 먹는 시절음식의 하나이다. 지방에 따라 조리방법이 약간씩 다르다. 개고기를 먹은 시기는 삼국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보신탕에 대한 기록은 조선 중기 이후에 저술된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 『규합총서(閨閤叢書)』 등의 문헌에 등장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해평리에 있는 사찰. 보천사의 입지는 매봉산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고, 남쪽으로만 트여 있어 낙동강을 바라볼 수 있다. 『일선지(一善志)』「방리(坊里)조」에는 보천(寶泉)이라는 유명한 샘이 있어 보천사란 이름을 짓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찰의 앞쪽 나루터도 보천탄(寶泉灘)이라 불린다. 매몰된 통일신라 때의 선산 해평동 석조여래좌상(보물 492호)이 발견...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우연한 사고 발생 시 일정액의 손해를 보상하는 제도. 보험은 재해나 각종 사고 따위가 일어날 경우의 경제적 손해에 대비하여, 공통된 사고의 위협을 피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미리 일정한 돈을 함께 적립하여 두었다가 사고를 당한 사람에게 일정 금액을 주어 손해를 보상하는 제도이다. 보험은 분류하는 기준에 따라 공영보험과 사영보험, 영리보험과 상호보험,...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우연한 사고 발생 시 일정액의 손해를 보상하는 제도. 보험은 재해나 각종 사고 따위가 일어날 경우의 경제적 손해에 대비하여, 공통된 사고의 위협을 피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미리 일정한 돈을 함께 적립하여 두었다가 사고를 당한 사람에게 일정 금액을 주어 손해를 보상하는 제도이다. 보험은 분류하는 기준에 따라 공영보험과 사영보험, 영리보험과 상호보험,...
-
경상북도 구미시가 지정 보호하고 있는 나무. 보호수는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 47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하도록 되어 있고 관리 요령 및 해제도 산림법에 규정되어 있다. 보호수는 노목·거목·희귀목으로서 이에 해당하는 나무는 명목·보목·당산목·정자목·호안목·기형목·풍치목 등으로 보존 또는 증식 가치가 있는 나무이다. 명목은 위인이나 왕족이 심은 나무 또는 역사적인...
-
조선 전기 인동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여강(驪江). 초명은 이적(李迪), 자는 복고(復古), 호는 회재(晦齋)·자계옹(紫溪翁). 할어버지는 참군 이수회(李壽會), 아버지는 이번(李蕃), 어머니는 계천군(鷄川君) 손소(孫昭)의 딸로 경주손씨(慶州孫氏)이다. 경주손씨 가문은 일찍이 경주 양동에 자리 잡은 세력으로, 손소 손중돈(孫仲暾) 등 현달한 관료를 배출하였다. 이언적은 경상...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여남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마을 앞에 보가 있어서 붓골, 복골, 복곳이라 하였고, 그 보에 흐르는 물이 너무나 맑아서 려수라는 이름도 있다. 면소재지에서 동쪽에 위치하며 남쪽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대부분 주민들이 논농사와 특수작물로 생업을 이어가고 있다. 동쪽은 명곡리와 경계이고, 서북쪽은 하장리 큰곰실과 접경을 이룬다. 여남리의 자연마을인 여토실 남서...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삼복에 몸을 보하는 음식을 먹고 더위를 이기는 일. 복달임은 허해진 기운을 보강하기 위하여 더운 여름철 초복·중복·말복 더위를 견뎌내기 위해 해먹는 음식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신탕이나 삼계탕 등이 이에 속한다. 이를 복다름이라고도 부른다. 삼복은 가장 무더운 여름에 해당하므로 몹시 더운 날씨를 가리켜 ‘삼복더위’라 부르기도 한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더위를...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삼복에 몸을 보하는 음식을 먹고 더위를 이기는 일. 복달임은 허해진 기운을 보강하기 위하여 더운 여름철 초복·중복·말복 더위를 견뎌내기 위해 해먹는 음식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신탕이나 삼계탕 등이 이에 속한다. 이를 복다름이라고도 부른다. 삼복은 가장 무더운 여름에 해당하므로 몹시 더운 날씨를 가리켜 ‘삼복더위’라 부르기도 한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더위를...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옷과 장신구에 관련되는 생활 풍속. 민족마다 고유한 복식이 있다. 우리 민족의 고유 복식을 한복이라고 한다. 한복은 시대에 따라 많은 변화를 거듭하였다. 조선시대 복식의 역사를 보면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고, 품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등의 세부적인 변화를 거듭하다가 1884년 갑신정변 때 법령으로 복식을 규제하면서 다양하던 포(袍)가 두루마기 하나로 통일되고,...
-
조선시대 구미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나주. 자는 복초(復初), 호는 향와(香窩). 초암(草庵) 정윤우(丁允祐)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정건수(丁建壽)이다. 벼슬은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를 거쳐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를 지냈다....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 헛개나무는 중부 이남의 표고 50~800m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황해도 등에 분포하며 금오산을 비롯하여 주왕산, 오대산, 태백산, 월악산 등지에 자란다. 환경부 특정식물종 4등급에 해당한다. 높이 10m에 이른다. 나무껍질은 흑회색이며 작은 가지는 갈자색(褐紫色)으로 껍질눈...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봉거(鳳擧). 장금용(張金用)의 후손이며 극명당(克明堂) 장내범(張乃範)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만회당(晩悔堂) 장경우(張慶遇), 아버지는 남파 장학(張澩)이다. 장우영은 당시의 인동도호부(仁同都護府)에서 태어났다. 현종조 무과에 급제한 뒤 여러 벼슬을 거쳐 승정원동부승지를 역임하였으며 벼슬이 경상좌도수군절제사에 이르렀다....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에 속하는 법정리. 봉한리는 봉계(鳳溪), 남계리(南溪里), 뒤드랑, 섬돌, 모화(慕華, 일명 모갈), 미드랑, 갓안[冠內], 붓골[筆洞]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봉계는 마을 뒷산인 봉황산과 봉계천에서 한 음절씩 따서 지은 이름이다. 1910년 이곳을 측량할 때 측량기사가 계(溪)자를 한(漢)자로 잘못 적어 넣어 봉한(鳳漢)으로 불리기도 한다. 뒤드랑...
-
조선 후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유언(裕彦), 호는 봉곡(蓬谷). 아버지는 박정실(朴鼎實)이며, 어머니는 벽진이씨(碧珍李氏)로 북봉(北峰) 이민선(李敏善)의 딸이다. 박수홍(朴守弘, 1588~1644)은 매돈(梅墩) 김번(金蕃)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618년(광해군 10) 증광문과에 을과 2등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부정자(承文院權知副正字)에 임명되었다...
-
경상북도 구미시에 속하는 법정동. 벽진이씨인 이민선이 들어와 후학을 가르치면서 뒷산 이름인 북봉(北峰)을 호로 삼았다. 이후 이 마을에서 태어난 이민선의 외손 박수홍이 호를 봉곡(蓬谷)이라 하였는데, 그것이 마을 이름이 되었다. 봉곡동은 다붓·다복으로도 불린다. 쑥대가 많아 다봉(多蓬)이라 하였는데 발음이 변하여 다붓·다복이 되었다. 약 600년 전 연안이씨가 처음 이주하였고, 후...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조선 말 의우총(義牛塚) 비. 의우총은 짐승으로서 의행(義行)을 한 소의 무덤이다. 조선 말기 봉곡 지역에 거주한 여양인(驪陽人) 진숙발의 처 밀양박씨는 빈곤한 처지에 일찍이 과부가 되었다. 이러한 형편에 암소 한 마리를 길러오던 중 송아지를 낳은 지 불과 사흘 만에 불행히 어미 소가 죽고 말았다. 밀양박씨는 어미를 잃은 송아지를 불쌍히 여겨 그대로...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조선시대 비각. 봉곡동 효열비각에는 효자 박진환(朴震煥, 1605~1650), 열녀 양주조씨(楊洲趙氏, 1696~1724), 열녀 함종어씨(咸從魚氏, 1778~1811)의 행적을 기리고 후대에 전하기 위해 세워진 비석과 편액을 보관하고 있다. 효자 박진환은 경상남도 밀양 사람으로 통덕랑(通德郞)을 역임하였으며 경주부윤 박수홍(朴守弘)의 장자이다. 아버...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비봉산 아래에 있어 봉곡이라 하였다. 물이 많고 봉황새가 춤추며 놀다가 날아간 곳이라 하여 무실(舞實)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시대 신당포방에 속하였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신곡(新谷)과 병합하여 봉곡(鳳谷)이라 하고 옥성면에 편입하였다. 1983년 2월 15일 선산읍 봉곡리가 되었다. 북쪽으로 산을 등지고 동서로 길게 형성된 마을이다...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천주교 대구대교구 소속 성당. 구미시의 인구가 늘어나고 봉곡동 지역에 대규모 주거지역이 들어서면서 가톨릭교회의 설립 필요성이 생겨 2003년에 정식 천주교회로 설립되었다. 봉곡성당은 2003년 8월 29일 설립되었으며, 초대 주임신부로 김명섭(그레고리오) 신부가 부임하였다. 2003년 9월 28일 상가건물을 고친 임시 성전에서 첫 미사를 봉헌하였다....
-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올바른 생활 습관을 형성하여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건전한 인성을 함양하는 도덕적인 사람,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자주인, 소질과 특기를 계발하는 창의적인 사람, 세계화, 정보화 교육을 강화하여 지식 기반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사람, 쾌적한 환경 속에서 보건, 체육 교육을 활성화하여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을 육성한...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봉남리는 월류골, 황새골, 봉남골, 창박골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월류골은 새벽달이 마을 뒷산에서 물 흐르듯 뜨고 진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황새골은 산세가 좋아 황새들이 많이 산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봉남골은 봉덕산(鳳德山) 남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창박골은 부족국가 시대에 개령현 고을 원이 화적들에게 쫓기어...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봉남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 떼. 선산읍에서 대천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국가지원지방도 68호선을 따라 서쪽으로 옥성면·무을면을 지나 상주 방면으로 가다가 봉곡2리 입구에서 좌회전하여 포상1리를 돌아 서쪽으로 진행하여 군도 15호선을 만나 남쪽으로 가다 보면 소재리 울고개를 넘으면서 오른골의 작은 수계를 따라 내려가면 대조지가 형성되어 있다. 고인돌군은 대조지...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봉남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 떼. 선산읍에서 대천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국가지원지방도 68호선을 따라 서쪽으로 옥성면·무을면을 지나 상주 방면으로 가다가 봉곡2리 입구에서 좌회전하여 포상1리를 돌아 서쪽으로 진행하여 군도 15호선을 만나 남쪽으로 가다 보면 소재리 울고개를 넘으면서 오른골의 작은 수계를 따라 내려가면 대조지가 형성되어 있다. 고인돌군은 대조지...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에 속하는 법정리. 앞에 비봉산이 있어서 봉산(鳳山)이라 하였다가, 수놈인 봉(鳳)끼리 마주 보는 것은 좋지 않다 하여 황산(凰山)이라 하였다. 또 비봉산의 봉(鳳)과 황산동의 황(凰)이 앞들의 소나무 숲이 우거진 오봉산에서 알을 낳고 그 알을 서로 지켜보았다고 하여 유래한 이름이라고도 한다. 물항(勿項)·물목이라고도 부른다. 자연마을로 가운데골목, 큰골목,...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봉산2리 조사실에서 음력 1월 14일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현재 봉산1리 바로 옆에는 2006년 말에 조성이 완료된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있다. 이 가운데 제4단지는 디지털산업단지 및 외국인기업전용단지로 조성되었는데, 봉산2리는 여기에 편입되어 없어졌다. 봉산2리 조사실마을 동제는 20여 년 전까지 매년 음력 정월 14일 자정...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산리는 봉림(鳳林), 오산(梧山), 사창(社倉), 조사실(鳥沙室)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봉산리는 봉림과 오산의 이름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봉림은 뒷산에 수풀이 우거져 봉황이 깃들인다고 하여, 오산은 오동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사창은 전주이씨, 달성서씨, 김해김씨 집성촌으로 조선 말기 사직 창고가 있었으므로 붙여진 이름...
-
경상북도 구미시에 속하는 법정동. 인동 8경 가운데 2경과 3경인 봉두조하(鳳頭朝霞), 황상숙무(凰桑宿霧)에서 따서 봉상동(鳳桑洞)이라 하였다. 행정상 명칭은 황상동(黃桑洞)으로 황상산(黃桑山) 밑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2013년 1월 16일 구미시 고시 제2013-11호에 의해 한자 지명을 황상동(凰顙洞)으로 변경하여, 일제 강점기 왜곡되었던 명칭을 원래 지명으로 복원하였다....
-
경상북도 구미시 광평동에 있는 사찰. 봉죽사는 원래 1909년 당시에도 있었으나 1944년 일제의 탄압으로 폐사되었다가 1963년 우산스님이 선산군 구미면 광평리 산 21번지에 창건하였다. 이후 구미에 국가공업단지가 들어서면서 공단으로 편입되자 1970년 구미시 광평동에 거주하는 이재하 거사에게 부지를 기증받아 재창건되었다. 사찰이 재창건된 초기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오가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봉촌(鳳村)은 풍수설에 봉황새가 앉은 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임진왜란 당시 향토방위로 원통산에 성을 쌓고 이 곳에서 말을 길렀다 하여, 혹은 지나가는 행객들이 말을 먹이면서 쉬어 가던 곳이라 하여 말밭·말바티·말밭티라 하였다. 또한 1895년 김판식이라는 선비가 옹기를 굽고 옹기점을 차렸다 하여 점촌이라 하기도 하고, 마을...
-
1630년(인조 8) 조찬한이 선산부사로 있을 때 지은 변려체 서문. 조찬한(趙纘韓, 1572~1631)은 조선 후기 때의 문신으로 자는 선술(善述), 호는 현주(玄洲)이다. 문장에 뛰어나고 특히 부(賦)에 능하였다. 조찬한은 1629년(인조 7)에 선산부사로 부임하였는데, 죽기 1년 전인 1630년(인조 8) 자신이 직접 건조한 누각에 덧붙여 4·6 변려체 서문인 「봉하루서」를...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봉한2리에 있는 수령 430년의 회화나무. 회화나무는 콩과의 낙엽 관목으로 높이 25m에 이른다. 잎은 어긋나고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7~17개씩 달리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뒷면에 잎자루와 함께 누운 털이 있다. 꽃은 8월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연한 황색으로 피고, 열매는 협과(莢果: 콩처럼 꼬투리로 맺히는 열매)로 10월에 익는다...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봉한리의 봉한천 위에 있는 다리. 인근의 봉황산, 또는 봉화산에서 유래하여 봉한이라고 불리는 봉한리에 있다는 의미에서 봉한교라고 이름 붙었다. 길이는 16m, 폭은 19m, 높이는 3.2m이다. 경간(徑間, 지주 교각) 수는 2개이다. 상행과 하행선 각기 2차선 차도와 보도로 이루어져 있다. 다리의 상부 구조 형식은 강화 콘크리트 슬라브교(RCS)이고, 하부...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에 속하는 법정리. 봉한리는 봉계(鳳溪), 남계리(南溪里), 뒤드랑, 섬돌, 모화(慕華, 일명 모갈), 미드랑, 갓안[冠內], 붓골[筆洞]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봉계는 마을 뒷산인 봉황산과 봉계천에서 한 음절씩 따서 지은 이름이다. 1910년 이곳을 측량할 때 측량기사가 계(溪)자를 한(漢)자로 잘못 적어 넣어 봉한(鳳漢)으로 불리기도 한다. 뒤드랑...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봉한리에 있는 삼국시대 절터. 국보 제182호, 제183호, 제184호로 지정된 불상이 발견된 삼국시대 절터이다. 봉한리 마을에서 2.5㎞ 떨어진 ‘대밭골’ 정상부 근처에 사지가 위치하고 있다. 봉한리 사지에서 1976년 3월 11일 선산군 고아면 봉한1리 새마을 농로 개설 공사 때 보물 제95호와 같은 모양의 통일신라시대의 금동관음보살입상 두 점과 보물 제...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을 흐르는 하천. 봉한천의 기점은 고아읍 봉한리의 보개이며 대망천을 통해 낙동강으로 유입된다. 하천 연장은 약 2.3㎞, 하폭은 9m의 소하천이다. 봉한천 유역 내에는 고아읍 이례리의 이례천과 항곡천, 봉한리의 양진천·남개천 등의 세천(細川)이 있다....
-
경상북도 구미시 도량동의 봉화대를 관리하던 곳. 구미시 도량동에 위치한 도량근린공원에는 조선시대부터 봉화대를 관리하던 봉화재가 있었다 하는데, 현재에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지리적 특성과 관련하여 구미 지역에는 다수의 봉수대가 위치하였다. 그 중 하나로서 구미시 선산읍 원리 남산(藍山)에 위치한 남산 봉수대는 사방이 확 트인 산정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감천이 합류하는 남산의 북쪽...
-
경상북도 구미시에 속하는 법정동. 부곡동은 가매실, 전지율, 장자터, 새마, 새마을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가매실은 마을 모양이 솥처럼 생긴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전지율은 일제강점기 경부선 철도 건설 당시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집들이 공사로 인해 한 곳에 둥글게 모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장자터는 큰 부자가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새마는 장자터 주민들이, 새마을은 1...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조선후기 인동부사를 역임한 강호의 선정비. 강호(姜鎬)는 문과로 벼슬길에 나아가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으며, 1656년(효종 7)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657년(효종 8) 필선(弼善)으로 승배되어 떠났다. 그의 재임기간 동안의 선정을 기려 주민들이 비를 세웠다.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입구에 인동 각지에 산재해 있던 역대 현감과 부사의 선정비...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인물 김경진의 선정비. 김경진(金敬鎭)은 음사로 관직에 진출하여 1853년(철종 4) 선산부사로 부임하여 1855년(철종 6) 상주목사로 이배되어 떠났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의 선정을 기려 비가 세워졌다.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 영남유교문화진흥원 안으로 150m 정도 올라가면 십이지신상 앞에 세워져 있다. 윗부분이 평평하고...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인물 김명진의 선정비. 김명진은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가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으며, 이조참판에 이르렀다. ‘부사김후명진청덕선정비(府使金侯明鎭淸德善政碑)’는 김명진(金明鎭)은 나주목사로 재임하다가 조카인 김계온(金啓溫)이 전라감사로 부임함에 따라 1814년(순조 14) 선산부사로 부임하여 1816년(순조 16) 이임한 인물로,...
-
경상북도 구미시 진평동에 있는 조선 후기 인동부사를 역임했던 김응해의 선정비. 김응해(金應海)는 무과로 벼슬길에 나아가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으며, 1630년(인조 8)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632년(인조 10) 정주목사로 승배되어 떠났다. 그가 재임 기간 동안 선정을 베풀었기에 백성들이 이를 기려 선정비를 세웠다. 높이 133㎝, 너비 64㎝, 두께 19.5㎝의 비신을 세우고 그...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에 있는 조선 말 김호겸의 선정비. 김호겸(金好謙)은 1888년(고종 25) 선산부사로 부임하여 1890년(고종 27)에 황주목사(黃州牧使)로 이임하였다. 선산부사로 재임하고 있던 1889년(고종 26) 춘분에 공곡(公穀)으로 굶주린 백성을 진휼(賑恤)하는 공진(公賑)을 행하여 헐벗고 굶주린 백성을 구휼하였으며, 고종으로부터 이 공으로 숙마(熟馬)를 지...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인물 민치서의 선정비. 민치서(閔致序)는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으며 1862년(철종 13) 장흥부사(長興府使)에서 선산부사로 부임하였으며, 1864년(고종 1) 공주판관이 되어 이임한 인물로서 선산부사로서 베풀었던 선정을 기려 백성들이 비석을 세웠다.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 영남유교문화진흥원 안으로 150m 정도 올라가면 십이...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인물인 서경순의 선정비. 서경순(徐經淳)은 1858년(철종 9) 선산부사로 부임하여 1860년(철종 11)에 이임한 인물로서, 선산부사를 역임하면서 베푼 선정을 기려 백성들이 비석을 세웠다.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 영남유교문화진흥원 안으로 150m 정도 올라가면 십이지신상 앞에 세워져 있다. 높이 123㎝, 너비 41.5㎝,...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조선 후기 인동부사를 역임했던 원세정의 선정비. 원세정은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 1855년(철종 6)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859년(철종 10) 이임하였다. 그는 4년 동안 인동부사로 있으면서 도목정(都目政)에 따라 승진하였으며, 백성들이 인동부사로서 베푼 선정을 기려 비를 세웠다. 원세정 거사비는 이곳을 찾는 사람들에게 올바른 공직자 상을...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조선 후기 인동부사를 역임했던 유호원의 선정비. 유호원은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 1826년(순조 26)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830년(순조 30) 암행어사의 서계(書啓)에 의하여 파직되었다. 그는 4년 동안 인동부사로 있었으며, 재직 중에 백성들이 선정을 베푼 것을 기려 비를 세웠다. 윗부분이 둥글게 생긴 원수(圓首) 형태의 비신만이 남아 있...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선산부사를 역임한 윤봉소의 선정비. 윤봉소(尹鳳韶)는 1726년(영조 2) 12월에 선산부사로 부임하여 1727년(영조 3) 8월에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난 인물로서, 선산부사로서 베푼 선정을 기려 백성들이 비석을 세웠다.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 영남유교문화진흥원 안으로 150m 정도 올라가면 십이지신상 앞에 세워져 있다. 윗부...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조선 말 인동부사를 역임했던 이교준의 선정비. 이교준은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 1871년(고종 8)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875년(고종 12)에 이임하였다. 그는 4년 동안 인동부사로 있으면서 도목정(都目政)에 따라 이배되었으며, 백성들이 인동부사로서 베푼 선정을 기려 2기의 영세불망비를 세웠다. 비석의 윗부분이 평평하고 모서리에 각이 있는...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조선 후기 인동부사를 역임했던 이의배의 선정비. 이의배는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한 무신으로서, 인조반정에 참가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 3등에 녹훈되었고, 1626년(인조 4)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627년(인조 5) 1월에 신병으로 체임(遞任)하였다. 그는 인동부사로 있으면서 많은 선정을 베풀었으며, 백성들이 이를 기려 선정비를 세웠다. 높이...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선산부사 이형회의 선정비. 이형회(李亨會)는 음사로서 벼슬길에 나아가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으며, 1824년(순조 24) 선산부사로 부임하여 1827년(순조 27)까지 3년여 동안 재임하다가 죽었다. 재임 기간에 그는 빙허각(憑虛閣)을 건립하였고, 화재로 인하여 소실된 선산향교의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청아루(菁莪樓)를 다시 지...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에 있는 조선 말기 선산부사 이호숙의 선정비. 이호숙(李鎬肅)은 음사로 벼슬길에 나아가 여러 관직을 거친 후 문경현감(聞慶縣監)으로 있다가 1874년(고종 11)에 선산부사로 부임하였으며, 암행어사가 민정을 살핀 후 상을 줄 것을 청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 1876년(고종 13)에 선산부사에서 이임하였는데, 청주목사(淸州牧使)로 승진하였던 것으로 보아...
-
경상북도 구미시 진평동에 있는 조선 후기 인동부사를 역임했던 이희원의 선정비. 이희원(李熙遠)은 무과로 벼슬길에 나아가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으며, 1834년(순조 34)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837년(헌종 3) 도목정(都目政)에 따라 승진하여 이임하였다. 그가 재임 기간 동안 선정을 베풀었기에 백성들이 이를 기려 선정비를 세웠다. 높이 98㎝, 너비 42㎝, 두께 12㎝의 비신을...
-
경상북도 구미시 진평동에 있는 조선 후기 인동부사를 역임했던 정소의 선정비. 정소(鄭熽)는 무과로 벼슬길에 나아가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으며, 1843년(헌종 9)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845년(헌종 11) 도목정(都目政)에 따라 승진하여 이임하였다. 그가 재임 기간 동안 선정을 베풀었기에 백성들이 이를 기려 선정비를 세웠다. 높이 111㎝, 너비 42㎝, 두께 16㎝의 비신을 세...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조선 말 인동부사를 역임했던 정옥의 선정비. 정옥은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하였으며, 인동부사의 도임 및 이임의 연대는 정확하지 않다. 그는 인동부사로 재임하면서 백성들이 제때 내지 못하여 누적된 조세를 면제, 또는 감면해서 민생고를 덜어주는 등 선정을 베풀었으며, 백성들이 이를 기려 선정비를 세웠다. 윗부분이 평평하고 모서리에 각이 있는 직수(...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조선 후기 인동부사를 역임했던 정운기의 선정비. 정운기는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하였으며, 1851년(철종 2)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855년(철종 6)에 도목정(都目政)에 따라 승진하여 이임하였다. 그는 인동부사로 재임하면서 특히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선정을 베풀었기에 백성들이 이를 기려 선정비를 세웠다. 비석은 덮개돌과 비좌 없이...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조선 후기 인동부사를 역임했던 정홍채의 선정비. 정홍채는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하였으며, 1878년(고종 15)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882년(고종 19)에 임기가 만료되어 이임하였다. 그는 인동부사로 재임하면서 특히 백성들을 애정으로서 보살피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선정을 베풀었기에 백성들이 이를 기려 선정비를 세웠다. 비석은 덮개돌과...
-
경상북도 구미시 진평동에 있는 조선 말 인동부사를 역임했던 정홍채의 선정비. 정홍채는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하였으며, 1878년(고종 15)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882년(고종 19)에 임기가 만료되어 이임하였다. 그는 인동부사로 재임하면서 특히 백성들을 애정으로서 보살피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선정을 베풀었기에 백성들이 이를 기려 선정비를 세웠다. 비석은 덮개돌과...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에 있는 조선 말 선산부사 조준구의 선정비. 조준구(趙駿九)는 1883년(고종 20)에 선산부사로 부임하여 1885년(고종 22)에 이임하였다가 1890년(고종 27)에 다시 선산부사로 부임, 같은 해 9월에 이임한 인물로서 선산부사로 베푼 선정을 기려 백성들이 비석을 세웠다.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 영남유교문화진흥원 안으로 150m 정도 올라가...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조선 말 인동부사를 역임했던 한홍열의 선정비. 한홍열은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하였으며, 1867년(고종 4)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870년(고종 7)에 도목정(都目政)에 따라 승진하여 이임하였다. 그는 인동부사로 재임하면서 특히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선정을 베풀었기에 백성들이 이를 기려 선정비를 세웠다. 비석은 덮개돌과 비좌 없이 비...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선산부사 홍술조의 선정비. 홍술조(洪述祖)는 병자호란 때 청군에 항거한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인 홍익한(洪翼漢)의 손자로서 음사로 벼슬길에 나아가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금천현감(衿川縣監)으로서 흉년에 봉록을 내어 진휼함으로써 선산부사에 승차하였다. 뒤에 순천부사로 있으면서도 진휼(賑恤)과 치적이 높이 평가받기도 하는 등 지방관으...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부엉이를 소재로 새의 소리를 모방하여 부르는 전래 동요. 「부엉이요」에서 부엉이는 주로 배고프고 을씨년스런 분위기로 묘사된다. 겨울철에 춥고 배고팠던 시절의 인상이 이렇게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양식없다 부헝 걱정마라부헝/양식없다 부헝 걱정마라부헝/내일 모리 장이다 걱정말고 살어라/내일 모리 장이다 걱정말고 살어라. 우리나라 사람들은 새가 소리를 내는 것을 “새...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음력 4월 8일 석가모니의 탄생일에 지내는 민속 명절. 초파일은 음력 4월 8일을 말하며, 이날을 불탄일·석탄일·부처님 오신 날이라고도 부른다. 초파일은 2월 8일 석가 출가일과 2월 15일 열반일, 12월 8일 성도일 등과 함께 불교의 4대 명절이다. 초파일은 불교신도가 아니라도 오래전부터 우리 민족이 함께 즐겨온 민속명절로서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다. 이...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는 뱀눈나비과에 속하는 곤충. 우리나라에는 뱀눈나비과(Satyridae)에 36종이 서식하고 있다. 날개에 뱀눈 모양 무늬가 있으며, 색깔이 일반적으로 어둡고 나무숲이나 그늘같이 어두운 곳을 좋아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부처나비와 비슷하나 날개 아랫면의 바탕색이 짙고 보라색을 띠며 앞날개 아랫면 중앙에 있는 흰색 띠...
-
인재 최현의 아들인 최산휘(1585~1637)는 부친이 1627년(인조 5) 이인거(李仁居)의 모반에 관련된 혐의로 투옥되었을 때 무고함을 주장하는 소를 올렸으며, 부친이 투옥된 다음 해, 1628년(인조 6) 유효립(柳孝立)의 역모사건을 알려 영사공신(寧社功臣) 3등에 책록되고 평완군(平完君)으로 책봉되었다. 후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라 하사받은 전토(田土)와 노비...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여남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마을 앞에 보가 있어서 붓골, 복골, 복곳이라 하였고, 그 보에 흐르는 물이 너무나 맑아서 려수라는 이름도 있다. 면소재지에서 동쪽에 위치하며 남쪽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대부분 주민들이 논농사와 특수작물로 생업을 이어가고 있다. 동쪽은 명곡리와 경계이고, 서북쪽은 하장리 큰곰실과 접경을 이룬다. 여남리의 자연마을인 여토실 남서...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북산리는 판산(板山, 일명 널뫼), 뒷뜸[北屯], 양지마, 삼박골[三朴谷]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판산은 마을 뒷산에서 판목이 많이 났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뒷뜸은 판산 북쪽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고, 양지마는 양지바른 곳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삼박골은 밀양박씨 성을 가진 삼형제가 양지바른 곳에 집 세 채를 지어 의좋게 살았...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산형목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시호는 환경부 특정식물종 5등급에 해당한다. 뿌리에 사포닌과 지방유 등이 함유되어 옛부터 중요한 약제로 취급되어 왔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중국·몽골·시베리아·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높이 40~70㎝에 이른다. 가늘고 긴 줄기 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줄기는 굵고 짧다. 경생엽(莖生葉...
-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행정구역. 1895년(고종 32) 지방 관제를 개편하면서 마을 앞을 흐르는 내[川]의 길이가 길다하여 장천(長川)이라 하였다. 옛날에는 남웅곡방(南熊谷坊)과 북웅곡방(北熊谷坊) 지역으로 군위군 효령현에 속하였고, 조선 초기에 북웅곡방으로 통합되어 선산군에 속하였다. 1895년 지방 관제 개편에 따라 장천면이 되어 신점, 신방, 석적, 홍계, 불동, 아동, 부...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음력 1월 14일 밤 우물에 불을 밝혀 나쁜 액을 막는 풍습. 우물에 불 켜놓기는 정월 열나흗날 밤, 집안의 우물가에 불을 밝히고 액을 막아 샘에서 물이 많이 나기를 기원하는 풍습이다. 이렇게 하면 샘물이 많이 솟아난다고 하는데, 이를 ‘우물 밝히기’·‘불 밝히기’라고도 부른다. 옥성면 농소2리에서는 종지에 참기름으로 심지 불을 켜서 바가지에 담아 샘에 띄워...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석가모니를 교조로 삼고 석가모니가 설한 교법을 종지(宗旨)로 활동하는 종교. 구미 지역은 조선시대 영남학파의 연원지로 인식되고 있지만, 신라시대에는 불교의 초전지로, 고려시대에는 종단 불교의 번성지로 한국 불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삼국시대에는 불교가 고구려에서 신라에 처음 전파될 때 모례(毛禮)의 후견으로 처음 전래한 지역이 되었고, 처음으로 전파...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문성리에서 음력 1월 15일 밤에 횃불을 무기로 사용하여 이웃 마을과 싸움을 하던 민속놀이. 횃불싸움은 고아읍 문성리를 비롯한 구미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 밤에 아이들이 쥐불놀이를 경쟁적으로 시작하다가 나중에는 마을 간에 결렬한 싸움을 하는 집단놀이이다. 이를 불싸움·쥐홰싸움·불쌈이라고도 한다. 횃불싸움에 대한 문헌기록으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정월 상원...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문성리에서 음력 1월 15일 밤에 횃불을 무기로 사용하여 이웃 마을과 싸움을 하던 민속놀이. 횃불싸움은 고아읍 문성리를 비롯한 구미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 밤에 아이들이 쥐불놀이를 경쟁적으로 시작하다가 나중에는 마을 간에 결렬한 싸움을 하는 집단놀이이다. 이를 불싸움·쥐홰싸움·불쌈이라고도 한다. 횃불싸움에 대한 문헌기록으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정월 상원...
-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음력 4월 8일 석가모니의 탄생일에 지내는 민속 명절. 초파일은 음력 4월 8일을 말하며, 이날을 불탄일·석탄일·부처님 오신 날이라고도 부른다. 초파일은 2월 8일 석가 출가일과 2월 15일 열반일, 12월 8일 성도일 등과 함께 불교의 4대 명절이다. 초파일은 불교신도가 아니라도 오래전부터 우리 민족이 함께 즐겨온 민속명절로서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다. 이...
-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여남리에 속하는 자연마을. 마을 앞에 보가 있어서 붓골, 복골, 복곳이라 하였고, 그 보에 흐르는 물이 너무나 맑아서 려수라는 이름도 있다. 면소재지에서 동쪽에 위치하며 남쪽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대부분 주민들이 논농사와 특수작물로 생업을 이어가고 있다. 동쪽은 명곡리와 경계이고, 서북쪽은 하장리 큰곰실과 접경을 이룬다. 여남리의 자연마을인 여토실 남서...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에서 비봉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9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출간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2000년 구미문화원에서 출간한 『구미시지』에 수록되어 있다. 천사들이 산봉우리를 메고 오는 것을 보고 두 처녀가 큰일 났다고 소리 지르며 집으로 달아나자 천사들이 이를 괘씸하고 불길하게 여겨 메고 오던 산봉우리를 그 자리에 내려놓았다. 이렇게 하여...
-
경상북도 구미시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예부터 땅이 짙붉고 차져 비산(緋山)이라 하였으나 일제강점기에 ‘비(緋)’를 ‘비(飛)’로 잘못 표기하여 지금의 비산(飛山)이 되었다. 비산동 주민들이 구미시장에 가면 바지와 신발에 묻어 있는 황토를 보고 비산 사람임을 알았다고 한다. 또한 새색시가 시집가는 날 신발에 묻은 붉은 흙은 아이 셋을 낳아야 떨어진다고 할 정도였다고 한다. 비...
-
경상북도 구미시 비산동에 있는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는 고분군. 경부고속국도 구미나들목에서 직진하여 구미공과대학을 지나 금오공대아파트에서 국도 33호선에 접속하여 동쪽으로 국도 33호선 쪽으로 가서 북동쪽으로 난 작은 포장길을 따라 가다가 주공아파트를 가로 질러 비산동주민센터로 가면 낙동강의 서안에 형성된 비산동 마을을 만나게 되는데, 고분군은 비산동의 북쪽에 있는 얕은...
-
경상북도 구미시 비산동에 있는 비산동 관할 행정기관. 경상북도 구미시를 구성하고 있는 2개 읍(선산읍·고아읍), 6개 면(무을면·옥성면·도개면·해평면·산동면·장천면), 19개 동(송정동·원평1동·원평2동·지산동·도량동·선주원남동·형곡1동·형곡2동·신평1동·신평2동·비산동·공단1동·공단2동·광평동·상모사곡동·임오동·인동동·진미동·양포동) 중 비산동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
1950년 8월 6·25전쟁 시 국군이 북한군의 낙동강 도하(渡河)를 저지하기 위해 비산진에서 벌인 전투.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은 6월 28일 수도 서울을 점령하고, 7월 20일 대전(大田)을 장악한 뒤, 8월 15일까지는 낙동강 선을 넘으려는 작전을 계획하였다. 따라서 7월 말 북한군 제15사단(총병력 약 5,000명)은 낙동강으로 진출하기 위해 상주(尙州) 정면에서 공...
-
1950년 8월 6·25전쟁 시 국군이 북한군의 낙동강 도하(渡河)를 저지하기 위해 비산진에서 벌인 전투.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은 6월 28일 수도 서울을 점령하고, 7월 20일 대전(大田)을 장악한 뒤, 8월 15일까지는 낙동강 선을 넘으려는 작전을 계획하였다. 따라서 7월 말 북한군 제15사단(총병력 약 5,000명)은 낙동강으로 진출하기 위해 상주(尙州) 정면에서 공...
-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인성과 사회성이 올바른 어린이,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슬기로운 어린이, 꿈과 재능이 있는 어린이, 심신이 조화로운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83년 11월 30일 설립 인가를 받고 1985년 3월 2일 비산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 비산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0년 3월 1일 비산초등학교 병설...
-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에 전해오는 옛 지명. 비신터 지역은 원래 과수 재배를 위주로 하는 농촌의 자연마을이었다. 그러나 구미의 산업단지 조성에 따라 신부동에서 공단동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부동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약 280여 년 전 하(河)씨가 처음 거주하면서 자연부락이 형성되었는데, 낙동강의 물줄기가 점차 방향이 바뀌어 변함에 따라 늪지대가 생겼다. 이에...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동곡리 북쪽에 위치한 고개. 성령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전설이 있다. 하나는 명나라 장군이 이곳에서 혈(穴)을 찔러 지하에서 장수의 목을 베었다 하여 비재라 한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밤에 별을 보고 이 고개를 넘어가더라도 좋은 성황당이 있어서, 고개를 넘는 길손을 무사히 지켜주어 사고가 없는 길이라고 성령(星嶺)이라 한다는 이야기다. 성령은 산동면 동곡리에...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서 여름을 나는 물총새과에 속하는 새. 우리나라에는 물총새과에 호반새, 청호반새, 뿔호반새, 물총새 4종의 물총새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몸길이가 30㎝에 이른다. 등은 광택이 나는 파란색이고, 머리는 검정색이다. 턱밑과 멱은 흰색, 나머지 아랫면은 오렌지색을 띤다. 부리와 다리는 붉은색이다. 주로 산지 물가나 강가에 살며, 전선이나 전주...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서 여름을 나는 물총새과에 속하는 새. 우리나라에는 물총새과에 호반새, 청호반새, 뿔호반새, 물총새 4종의 물총새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봄에 동남아시아 아열대 지역에서 우리나라로 찾아와 여름 동안 저수지와 호수, 하천 유역에서 번식을 한다. 몸길이 17㎝에 이른다. 머리가 몸에 비해 크고 부리가 길다. 암컷과 수컷이 비슷하여 성을 구별하...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금산리에 있는 산. 과거에는 조계산으로 불리기도 했고, 경상도 방언으로는 비틀산이라고 한다. 베틀산의 유래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고려시대 문익점은 목화씨를 전래시켜 재배에 성공하였고, 문익점의 손자인 문래(文萊)는 목화로부터 실을 뽑는 기계인 ‘문래’를 만들었다. 문래의 동생 문영(文英)은 조계산의 모양과 해평면 오상리에 있는 공상다리...
-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의 금오산에 서식하고 있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뻐국나리는 환경부 특정식물종 5등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Tricyrtis속 식물은 전 세계에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20여 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뻐국나리 1종이 자생한다. 속명은 희랍어의 ‘treis(3의 뜻)’와 ‘cyrtos(굽어 있는)’의 합성어로 3개의 외화피(外花被) 기부가 굽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