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돌
-
경상북도 청도군에 분포하고 있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청도 지역의 고인돌들은 청도군의 동편에 북동에서 남서로 흐르는 동창천과 서편에 북서에서 남동으로 관류하는 청도천, 그리고 이들 하천의 지류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이 두 하천은 청도군의 권역을 지나 남쪽에서 밀양강에 합류된다. 청도 지역의 잘 알려진 고인돌은 청도천변인 화양읍에 있는 경상북도 기념물 제99호로 지정된 청...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갈지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갈지리 고인돌 떼는 금천면 소재지의 북쪽에 있는 동곡 네거리에서 지방도 69호선을 따라 북쪽 경산시 방향으로 약 6㎞ 가면 구터 마을이 서쪽에 있다. 이...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마일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청도군 운문면사무소에서 북동쪽으로 국도 20호선을 따라 경주 방향으로 가다보면 자촌 삼거리가 나온다. 이 자촌 삼거리에서 북쪽으로 나 있는 지방도 921호...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무등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경상북도 청도 교육 지원청의 북동쪽으로 약 200m 떨어진 무등리에 있는 고인돌 떼이다. 무등리 마을 남서쪽에는 다로천이 흐르고 있으며, 무등리 마을로 들...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봉하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청도군 운문면사무소에서 북동쪽으로 국도 20호선을 따라 경주 방향으로 가다보면 자촌 삼거리가 나온다. 이 삼거리에서 북쪽으로 약 2.5㎞ 떨어진 곳의 동쪽...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북지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청도군 매전면사무소에서 동쪽으로 약 150m 떨어져 매전 삼거리가 있다. 이 삼거리에서 남서쪽으로 국도 58호선을 따라 약 2.5㎞ 가면 북지 마을 어귀...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소천리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청도군 운문면사무소의 동쪽에 있는 대천 삼거리에서 국도 20호선을 따라 경주 방향으로 약 3㎞ 가면 지방도 919호선과 합류하는 삼거리가 나...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신당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청도군 각남면 신당리 분포하고 있는 신당리 고인돌 떼는 소산보들 주변으로 4곳에 군집을 이루어 분포하고 있다. 이 중 신당리 고인돌 떼 1·4는 2010년 풍각∼화양 간 국도 건설 공사 구간 내 포함되어 일부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미 포함된 3곳에 현재 2∼3기의 상석들이 남아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2008년 신당...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청도군 운문면사무소에서 국도 20호선을 따라 경주 방향으로 가면 지촌 삼거리가 나온다. 이 지촌 삼거리에서 경주 방향으로 동경 마을을 지나면 신원 1교가...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금천면 소재지에서 4.5㎞ 가량 남동쪽으로 떨어진 신지 2리 일원에 분포하고 있다. 신지 2리 죽전 마을과 사거리 마을 사이에 경작지에 고인돌 떼가 확인되...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정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청도군청의 동쪽으로 약 1.4㎞에 떨어져 청도천과 원정천이 합수되는 곳이 있다. 이곳에서 동남쪽으로 약 350m 떨어져 청도 중앙 초등학교 북동쪽의 돌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청도 유등리 고인돌 떼는 오부실골 곡간 충적지의 상부에 조성된 오복지 저수지의 제방 아래에 2열로 8기의 상석이 군집을 이루고 있거나, 서북쪽의 능선 사면에 단독으로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이다. 청도 소싸움 경기장 앞 용암 온천에서 프로방스 포토 랜드를 지나 유등리로 이어지는 고개를 넘으면 좌측과 우측에 오부실 마을과...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청도군청에서 남동쪽으로 약 8.5㎞ 떨어진 유호리 조들 마을 일대에 있는 고인돌 떼이다. 청도천이 북에서 내려와 ‘⊃’자 모양으로 흐르는 곳이며, 서쪽에...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임당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임당리 고인돌 떼는 운문면사무소에서 남서쪽에 있는 방지 초등학교 못 미쳐 임당 마을로 들어가는 길을 따라 약 1.7㎞ 가면 나오는 임당 마을의 쉼터 부근에...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지촌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운문면사무소에서 북동쪽으로 약 8.5㎞ 떨어진 지촌면 윗동경 마을 동쪽 끝에 10기가 있다. 이 고인돌이 있는 곳은 산자락의 끝부분이며, 동창천이 ‘∩’ 형...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진라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청도군 화양읍 진라리 일원에 있는 진라리 고인돌 떼는 중각땀 마을 남쪽에 있는 진라들에 10여 기의 고인돌이 3곳에 군집을 이루어 위치하고 있다. 이 중 일부가 중앙 고속 도로[대구∼부산 간 고속 도로] 구간에 포함되어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청동기 시대 취락과 함께 지하식 돌널무덤 5기가 조사되었다. 이후 학술적인...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청도 초등학교에서 북쪽으로 100여 m 떨어진 솔숲 일대에 있다. 청도 범곡리 지석묘군이 있는 곳은 청도읍과 화양읍의 남쪽에 있는 산...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칠성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칠성리 고인돌 떼는 칠성리 마을과 주변 과수원을 중심으로 3곳에 상석들이 군집을 이루어 분포한다. 지형적으로는 청도천의 범람과 퇴적으로 형성된 충적지와 북쪽으로 뻗어내려 오는 구릉 말단부에 위치한다. 대부분 2∼3기의 상석이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하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이다. 청도읍에서 풍각면 방면으로 이어지는 국...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합천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청도군청에서 북서쪽으로 약 3㎞ 떨어진 밤밭 마을에 있는 고인돌 떼이다. 청도 남산에서 뻗어 내린 산자락은 밤밭 마을의 북편에 서에서 동으로 굽어 흐르는...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화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청도군 각남면 화리 일원에 분포하고 있는 화리 고인돌 떼는 굴미들의 동남쪽에 군집을 이루어 분포하고 있다. 선행된 조사에서 10여 기의 상석이 밀집되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현재는 경지 정리 과정에서 복토되어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1978년 농업용수용 파이프 설치 과정에서 고인돌이 노출되어 경북 대학교...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흑석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청도 흑석리 고인돌 떼는 석통 마을 입구와 주변의 대추밭을 따라 3곳에 상석들이 군집을 이루어 분포한다. 지형적으로는 동북쪽으로 곡류하는 풍각천의 범람과 퇴적으로 형성된 충적지 평야인 안보들에 10m의 간격을 두고 3기씩 3열로 일정하게 분포하거나 1∼2기씩 떨어져 분포하고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이다. 청도읍에서 창녕...
고분
-
경상북도 청도군에 분포하고 있는 삼국 시대의 무덤 청도 지역은 크게 동쪽의 동창천 유역권과 서쪽의 청도천 유역권으로 구분된다. 동창천은 동쪽의 경상북도 경주시와의 경계에서 서남으로 흘러 청도군의 남쪽 경계를 지나고, 청도천은 서북쪽 대구광역시와의 경계인 각북면에서 발원하여 서쪽 경상남도 창녕군과의 경계인 풍각면에서 서로 흐르는 소하천과 합류하여 동으로 흐르다 화양읍을 지나면서 남류...
-
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사람이나 동물 등의 주검을 묻어 두는 구조물. 무덤의 형태는 지역과 풍속에 따라 약간씩 다르긴 하지만 기본적인 형태는 비슷하다. 먼저 땅에 구덩이를 네모지게 파서 돌로 양옆을 쌓거나 판석으로 방을 만든 다음, 시신을 넣고는 천개석[덮개]를 덮고 그 위에 흙을 모아서 봉분을 만든다. 청도 지역에 발굴된 무덤의 양식을 보면 시대별로 달라지는 것을 알 수가 있다....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고평리와 소라리 일대에 있는 고분 떼. 고평리 고평 마을 동쪽과 소라 마을 서쪽·서북쪽의 해발 80∼150m의 얕은 구릉 일대에서 고분이 확인되었다. 과수원으로 경작되고 있는 주변 일대에서 석실 잔존 유구와 삼국 시대 각종 토기 조각이 확인된다. 고평리 고분 떼는 2003년 경상북도 문화재 연구원에서 지표 조사되었다. 화양읍 눌미리 마을에서 고평교를 지나 고...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관하리에 있는 신라 시대 고분 떼. 신라 고분 떼로 개간으로 인해 훼손된 돌덧널의 잔해와 신라 토기가 채집되어 고분군으로 추정되었다. 채집되는 토기로 보아 5∼6세기에 축조된 고분 떼이다. 관하리 고분 떼는 청도군의 중앙부 북편에 분포하는 것으로 동창천 유역권의 고분 떼에 해당한다. 고분 떼는 북편의 산지에서 남쪽으로 관곡 마을을 향해 뻗는 능선의 하단부 비...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교촌리 일대 구릉 사면에 있는 고분 떼. 교촌리 고분 떼는 화양읍 교촌리 산11 일대 구릉 사면 상에 위치하는 유적으로 2003년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사업에 의해 알려져 있다. 교촌리에 있는 화강지(華江池) 남쪽 해발 140∼180m 일대 능선 북사면 일대 과수원에서 삼국 시대 토기 조각과 고려∼조선 시대 기와 조각들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저수지 남쪽의 대...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구라리 일대에 있는 신라 고분 떼. 신라 고분 떼로 구라리 산7 번지 일대 고분 떼와 산30 번지 일대 고분 떼, 둘로 나누어진다. 산 7번지 일대 고분 떼는 삼국 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보이는 돌덧널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고, 산30 번지 일대 고분 떼는 돌덧널이 파괴되어 나타난 석재들과 신라 토기 조각이 산재한다. 구라리 고분 떼는 이서면 청도천 북안의 구라...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금천리 일대에 있는 고분 떼. 금천리 고분 떼는 송내 마을과 쇠실 마을로 나누어 있다. 송내 마을에서 서북쪽으로 1㎞ 떨어진 헐티재골 우측 해발 325∼425m 능선 위에 있다. 돌덧널무덤으로 능선 하단부터 7부 능선까지 5∼10m 간격을 두고 약 30여 기가 확인되며, 대부분 도굴되었다. 쇠실 마을 부근은 마을 초입에서 동쪽으로 200m 가량 떨어진 해발...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덕촌리에 있는 고분 떼. 덕촌리 산135 일대, 지천교 동쪽 능선에 돌덧널무덤 수십 기가 확인된다. 봉분 대부분 삭평되었으며, 돌덧널이 드러나 있어 대부분 도굴되었다. 고분군의 북쪽 주변 과수원 일대에 남산리 고분과 유물 산포지가 있어 서로 관련성이 높은 유적으로 보인다. 덕촌리 고분 떼는 2003년 경상북도 문화재 연구원에서 지표 조사되었다. 덕촌리 고분...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 떼. 박곡리 고분 떼는 지방도 987호선에서 박곡리 마을로 약 3㎞ 가량 떨어진 거리에 있다. 박곡리 한지 각단 마을의 서북쪽에 구릉 해발 140∼150m에 분포하고 있다. 금천 초등학교 삼거리에서 신지리 방면 마을길을 따라 올라가는 대비 저수지 중간 정도에 있다. 박곡 보건 진료소와 박곡 새마을 회관 삼거리에서 정면으로 바라보...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 떼. 범곡리 고분 떼는 청도 초등학교 뒤편에 있는 송전지 서남쪽의 나지막한 구릉 정상부를 비롯한 남쪽의 과수 일대에 위치한다. 대부분이 도굴되었으며, 잔존 상태로 보아 석곽묘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주변 일대에서 굽다리 접시 조각, 굽다리 목 긴 항아리 조각, 큰 항아리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범곡리 고분 떼는 청도읍 소재지에서...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삼평리에 있는 고분 떼. 각북면 삼평리 산122 일대 풍산 마을을 서쪽과 북쪽으로 감싸고 있는 해발 125∼180m의 능선 상에 위치한다. 해발 150∼175m 사이에는 도괴된 돌덧널도 관찰되며, 길이 6m 정도의 봉토분도 관찰된다. 능선 하단부 밭과 과수원에서 삼국 시대 고분들과 관련된 토기 조각이 산재하고 있다. 삼평리 고분 떼는 2003년 경상북도 문화...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서원리 일대에 있는 신라 시대 고분 떼. 신라 고분 떼로 서원리 산35 번지 일대 고분 떼[서원리 고분 떼 1]와 산133 번지 일대 고분 떼[서원리 고분 떼 2], 둘로 나누어진다. 서원리 고분 떼 1에는 돌덧널이 확인되고 주변에서 신라 토기 조각이 채집된다. 서원리 고분 떼 2는 유구는 확인되지 않고 신라 토기 조각이 채집된다. 서원리 고분 떼는 동류하는...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성곡리에 있는 고분 떼. 성곡리 고분 떼는 성곡리 산210-2 일대 성재 마을과 성곡 마을 사이의 능선 남동쪽 사면 일대에 있다. 구릉 남사면에서 토기 조각이 다수 수습되고, 동사면에는 다수의 석곽과 개석이 노출되어 있었다고 한다. 2006년 성곡댐 공사로 인해 경상북도 문화재 연구원에서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곡리 고분 떼는 풍각면소재지에서 서쪽의 현리...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송읍리 일대에 있는 신라 시대 고분 떼. 청도천과 원당천이 합류하는 지점의 북편 구릉 일대에 분포하는 고분군으로 2차례 발굴을 발굴 조사를 통해 돌방무덤, 돌덧널무덤, 덧널무덤 등 삼국 시대 신라 고분이 확인된 고분군이다. 출토 유물은 굽다리 접시, 짧은 목 항아리, 철검 등이며, 무덤의 형식은 덧널무덤, 앞트기식과 굴식의 돌방무덤, 돌덧널무덤 등이 확인되었...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수야리 일대에 있는 신라 시대 고분 떼. 신라 고분 떼로 수야리 산10번지 일대에 분포하는 수야리 고분 떼 1과 산301 번지 일대에 분포하는 수야리 고분 떼 2로 나누어진다. 수야리 고분 떼 1에서는 파괴된 돌덧널이 조사되고 주변에서 신라 토기 조각이 채집된다. 수야리 고분 떼 2는 신라 토기 조각이 산재하여 고분 떼로 추정된다. 수야리 고분 떼는 청도천...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순지리에 있었던 고분 떼. 순지리 고분 떼는 1993년∼1994년에 발굴된 고분 떼로 경주에서 청도로 향하는 길목에 형성된 것이다. 구덩식 덧널무덤, 앞트기식 돌덧널무덤, 앞트기식 돌방무덤으로 구성된 고분 떼로 봉토가 잔존하고 있는 것도 있었다. 출토된 유물로 보아 5세기부터 7세기에 걸쳐 축조된 신라의 고분 떼이다. 청도 지역 동부를 관통하는 동창천의 중류...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신촌리에 있는 신라 시대 고분 떼. 신촌리 고분 떼는 신라 고분 떼로 신촌리 산4 일대에 북쪽의 산지에서 남쪽으로 뻗는 구릉의 말단에 분포한다. 봉토분 20여 기가 남아 있으며, 도굴로 인해 피해를 입은 돌덧널무덤이 다수 확인된다. 주변에는 신라 시대 토기 조각이 산재한다. 5∼6세기의 신라 고분 떼로 판단된다. 신촌리 고분 떼는 청도천 중류 지역에 많이 분...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양원리에 있는 고분 떼. 양원리 고분 떼는 이서면 양원리 산9 일대[가마실]에 있는 고분 떼로 2003년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사업에 의해 알려져 있다. 당시 마을 북동쪽에 있는 복숭아밭 일대에서 삼국 시대 토기 조각이 확인되며, 과거에는 소형 돌덧널무덤 수십 기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과수원 경작으로 개간·경작되면서 파괴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양원리...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우산리에 있는 고분 떼. 우산리 고분 떼는 각북면 우산리 155 일대[객실]와 산25 일대에 위치하는 고분군이다. 우산리 객실 마을 서편 구릉 동사면 절토지에서 고분의 석곽으로 추정되는 돌무지무덤과 토기 조각들이 노출되어 있다. 구릉 하단부 일대에서 토기 조각들도 발견된다. 우산리 점촌 마을에서 명대로 계명 마을로 넘어 가기 전 왼편으로 보이는 해발 120∼...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정리에 있는 무덤 떼. 원정리 무덤 떼는 청도읍 원정리 산66 일대 윗통안에 위치하는 유적으로 2003년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사업에 의해 알려져 있다. 당시 윗통안 마을 터인 해발 200∼250m 정도의 완사면 일대 과수원에서 토기 조각 및 자기 조각, 기와 조각 등이 확인되어 건물지 관련 유구와 무덤 떼의 복합 유적으로 추정되었다. 청도읍 소재지에서 청...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칠엽리에 있는 고분 떼. 칠엽리 고분 떼는 이서면 칠엽리 산161 일대[하칠엽]에 있는 고분 떼로 2003년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사업에 의해 알려져 있다. 당시 칠엽 2리 하칠엽 마을 북쪽 산 능선을 따라 돌덧널무덤과 돌방무덤이 혼재한다. 길이 3m 크기의 돌덧널이 노출되어 있었으며, 주곽을 중심으로 주변에 소형 돌덧널이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칠엽리...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에 있는 고분 떼. 토평리 고분 떼는 화양읍 토평리 산9 일대와 이서면 고철리 산11-11 일대 구릉상에 위치하는 고분군으로 2003년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사업에 의해 알려져 있다. 당시 토평리 백곡 마을을 감싸고 있는 해발 100∼120m 구릉 일대를 고분군으로 추정하였으며, 관련된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구릉 동편 정상부에...
유적·터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사촌리에 있는 선사 시대의 생활 유적. 국립 경주 박물관에서 실시한 정밀 지표 조사로 확인된 선사 시대 생활 유적지로서, 1989년 발굴 조사를 통해 민무늬 토기가 사용된 시기의 생활 유적으로 확인되었다. 간 돌검을 비롯한 선사 시대 유물 다수가 출토되었다. 일부 유물은 국립 경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사촌리 선사 유적은 행정 구역상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송서리에 있는 신석기 시대 이래 통일 신라 시대에 걸친 생활·분묘 유적. 유적은 행정 구역상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송서리 716번지와 617-13번지 일원에 있다. 경위도 상으로는 동경 128°37′08″, 북위 35°38′23″에 해당한다. 각북천과 풍각천 사이에 있는 풍각면 소재지 북편에 붕어산[해발 144.1m]이라는 독립 구릉이 있는데, 청동기 시대...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송읍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주거지 유적. 송읍리 주거지는 중앙 고속 도로[대구∼부산 간 고속 도로] 건설에 앞서 경상북도 문화재 연구원에 의해 2002∼2003년에 걸쳐 발굴 조사된 유적이다. 이 유적은 발굴 보고서에서 송읍리 유적Ⅰ로 불리며, 청동기 시대 주거지 8동, 환호 1기, 구 1기, 경작지 3기가 조사되었다. 청동기 시대 주거지는 장방형과 세장방형...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오진리에 있는 선사 시대의 생활 유적. 오진리 암음 유적은 운문댐 건설과 관련하여 1991년 영남 대학교 민족 문화 연구소에서 실시한 문화 유적 지표 조사 시 확인되었고, 1992년 발행된 보고서에는 ‘방음리 2호 바위 은거지’로 나타나 있다. 운문댐 수몰 지구 발굴 조사는 1993년 7월 경북 대학교 박물관을 주관 기관으로 모두 7개 기관이 참가하였으며,...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에 있는 선사 시대에서 삼국 시대까지의 유적. 유호리 선사 유적은 행정 구역상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 산123-1번지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이 지역은 동창천과 청도천이 밀양천으로 합수되는 지점에 있는 유호리 유호 마을 북편 구릉의 정상부와 남·동사면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구석기 시대∼삼국 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시기의 유물이 산포해 있는...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진라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마을 유적. 진라리 마을 유적은 중앙 고속 도로[대구∼부산 간 고속 도로] 건설에 앞서 영남 문화재 연구원에 의해 2002∼2003년에 발굴 조사된 유적이다. 이 유적은 청동기 시대 주거지와 고인돌, 고상 건물지 등이 분포하는 청도 지역 최대 규모의 마을 유적이다. 이 유적에는 청동기 시대 마을 유적 이외에도 신석기 시대의 빗살무늬...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예전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의례 유적. 청도 예전리에서 출토했다고 전하는 비파형 동검은 주민의 말에 따르면 모두 3점이었는데, 둘째 아들이 갖고 있다가 1점은 분실했다고 한다. 나머지 2점은 현재 국립 경주 박물관과 계명 대학교 행소 박물관에서 각각 1점씩 소장하고 있다. 비파형 동검이 출토한 곳은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예전리 산 121번지의 덩글 밭이다....
산성
-
경상북도 청도 지역에 있는 흙이나 돌로 축조된 전통 시대 방어 시설. 우리나라에는 수많은 성곽이 남아 있다. 성곽은 축성 재료에 따라 토성, 석성, 목책으로 구분하거나, 성의 축성된 위치에 따라 산성과 읍성[평지성]으로 나누기도 한다. 성곽은 고고학적인 성과에 의해 대체로 2세기 이후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삼국의 성곽은 처음에는 간단한 목책의 시설물로부터 시작하여 차...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에 있는 조선 시대 읍성. 청도읍성은 고려 말에 토성으로 초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헌 기록으로는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인 1591년(선조 24) 왜적의 침입에 대비해 전국 읍성을 대대적으로 수리할 때 크게 수축했다 한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큰 폐해를 입었고, 그 이후 성벽 및 성문 등의 시설이 건립과 소실을 반복해 오다가 일제 강점기 때 철거되었다. 현재...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내리에 있는 조선 시대 산성. 축조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내 2리 안내동 마을에서 동쪽으로 약 1.5㎞ 떨어진 해발 657m의 능선 정상부에 위치하며,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과 접한다. 내리 산성은 지방도 제987호선의 지전 1리에서 동창천을 건너 내 2리 안내동 마을을 거쳐 당골 계곡을...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와 이서면 고철리에 있는 토성. 백곡산성(栢谷山城)은 고대 이서국의 왕성으로 알려져 있다. 백곡 마을을 감싸고 있는 해발 100∼120m의 구릉 남쪽 부분에 만들어져 있으며, 토루는 길이 200여 m에 이르고 높이 1∼3m, 폭 2∼3m를 이루기도 하나 대부분 경작에 의해 삭평되거나 밭둑으로 이용되고 있다. 주변에는 연질 토기 조각을 비롯하여 5∼6세기...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남산리와 풍각면 성곡리에 있는 조선 시대 산성. 임진왜란 당시 의병 활동을 한 국담(菊潭) 박수춘(朴壽春)이 지휘하여 축성한 것이라 전한다. 성마루성은 서림이산성, 낙성(洛城)으로도 불린다.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남산리와 풍각면 성곡리의 경계를 이루는 해발 440m의 서림미산 정상부에 위치한다. 성마루성은 남산 1리 각북면사무소에서 서쪽으로 산 사면을 따라...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구촌리·지전리와 청도읍 거연리에 있는 산성. 오례산성(烏禮山城)은 일명 오혜산성(烏惠山城), 오례산성(鰲禮山城), 구도산성(仇刀山城)이라 불렀으며, 삼국 시대[신라]에 축성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잡지에 의하면 신라는 3산 5악 등 명산대천에 대사, 중사, 소사를 지냈는데, 대사를 지낸 3산 중에서 혈례산(穴禮山)이 지금의 오례산성이...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에 있는 산성. 운문산성(雲門山城)은 일명 호거산성(虎踞山城) 또는 지룡산성(地龍山城)으로 불리어지며, 후백제 견훤의 신라 침공 때 이 성을 기지로 삼았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이처럼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나 성 안에 샘물이 적어 대군을 수용하기에는 불가능하였다고 한다. 또 사방이 천험의 절벽으로 이루고 있어 적을 막기에 용이하므로 임진왜란 때에는...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장연리에 있는 조선 시대 산성. 축조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성의 축조 양상으로 보아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장연리에 있는 해발 567m의 능선 정상부에 축조된 석성이다. 남쪽의 내리 산성과는 1.3㎞ 정도 떨어져 있으며, 두 산성의 사이에 위치하는 해발 674.9m의 육화산으로부터 북쪽으로 약 400m 지점에 위...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송읍리에 있는 고대 이서국 시기에 축조된 토성. 주구산성(走狗山城)은 폐성(吠城) 또는 이서산성(伊西山城)으로 불리며, 고대 이서국의 전초 기지로 활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주구산성은 이서국의 중심 세력을 이루는 3성[현]의 하나인 가산현[경산성, 형산현]의 고지로 추정되며, 이서국이 신라군과 마지막 전투를 벌여 패함으로써 이서국이 몰락을 맞이한 곳이다. 축조...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녹명리와 풍각면 덕양리에 있는 조선 시대 산성. 축조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 때 박경선(朴慶宣)이 왜병을 물리치기 위해 쌓았다고 전해진다.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녹명리와 풍각면 덕양리에 걸쳐 있는 해발 259.5m의 산 정상부에 위치한다. 녹명 1리 구만 마을에서 서쪽으로 산 사면을 따라 1㎞ 정도 올라가면 도달할 수 있다. 테뫼식으로 능선...
봉수
-
조선 시대 경상북도 청도 지역에 있었던 불과 연기를 이용한 통신 수단. 봉수(烽燧)는 봉(烽)[횃불]과 수(燧)[연기]로써 급한 소식을 중앙에 전하던 것으로, 현대적인 통신 체제 이전의 통신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높은 산에 올라가서 불을 피워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보낸 것으로 역마나 인편보다 시간상으로 단축된 가장 중요하고 보편적인 통신 방법이었다. 이는 신속한...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와 청도읍 원리의 경계에 있는 봉수대. 청도 남산 봉수대(南山 烽燧臺)의 초축 시기는 고려 시대이며, 웅천 천성보 봉수대(天城堡 烽燧臺)에서 시작하는 2거 간봉 8노선의 9번째 내지 봉수이다. 『경상도 지리지(慶尙道地理志)』의 기록에 의하면 ‘청도군에 속한 남산 봉화로서 군의 남쪽 약 4㎞[10리]에 소재한다.’라고 하였으며, ‘남으로 밀양부 분항 봉수...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팔조리에 있는 조선 시대 봉수대. 청도 팔조리 봉수대(八助里烽燧臺)는 팔조령 도로와 봉화산 사이의 정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봉수대는 조선 초기의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경상도 속찬 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志)』에는 경상도 청도군 소재의 봉화 2처 중 하나이며, 남으로 남산 봉수대(南山烽燧臺), 북으로 대구군 수성...
가마터
-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토기, 자기, 기와 등을 굽는 가마가 있던 자리. 경상북도 청도군 지역의 토기 가마터는 각남면과 풍각면을 중심으로 하는 산서에 주로 분포하며, 자기 가마터는 운문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동 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이는 청도군의 자연 지형과 연관되는 것으로 도자기를 굽기 위한 충분한 땔감이 있는 운문산 주변에는 자기 가마터가 자리 잡고, 일반 가마터는 태토를 구하기...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에 있는 조선 시대 백자 가마터. 운문면 신원리에 있는 조선 시대 백자 가마터이다. 주변 일대가 토기 가마터로 발굴되어 토기 가마터로 불리기도 하지만 가슬갑사지의 일부로 추정됨에 따라 백자 가마터가 더 타당한 것으로 생각되는 곳이다.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 입구인 방지 초등학교 문명 분교에서 국도 69호선을 따라 운문령 쪽으로 4.5㎞ 정도 가면 삼계리...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리에 있는 조선 시대 옹기 가마터. 중앙 고속 도로[부산∼대구 간 고속 도로] 건설 부지에 포함되어 일부 발굴되었다. 발굴 결과 조선 시대 옹기 요지로서 회구보 1기와 수혈 유구 1기 등이 조사되었다. 청도읍에서 대구 방향으로 국도 25호선을 따라 약 4㎞ 가면 경상북도 청도 교육 지원청이 있다. 이곳에서 덕암리 방향으로 가는 작은 도로를 따라 1.5㎞ 가...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녹명리에 있는 고려 시대 기와 가마터. 청도 녹명리 가마터가 있는 곳은 조선 시대 이전에 밀양에서 청도를 거치지 않고 풍각과 창녕으로 가는 길목에 해당하는 곳으로 주변에는 많은 토기가 흩어져 있다. 이곳 녹명리 가마터에서 약 4㎞ 남쪽으로 가면 경상북도 기념물 제68호인 청도 옥산리 토기 요지가 있으며, 서쪽에는 삼국 시대 성지로 추정되는 죽암산성이 약 30...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옥산리에 있는 삼국 시대 토기 요지. 청도군 각남면 옥산리는 신라가 가야 지역으로 진출하는 길목에 위치한 곳으로 평지 고분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각남면 옥산리 고분을 비롯한 주변 고분에서는 가야식 토기들이 출토되고 있으며, 이 가야식 토기들을 만든 곳이 옥산리 토기 요지로 추정할 수 있다. 청도역에서 국도 20호선을 따라 풍각면 방면으로 약 12㎞ 가다 보...
유물 산포지
-
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고고학적 유물이 흩어져 퍼져 있는 유적지. 청도군은 경상북도의 남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모두 68개소의 유물 산포지가 알려져 있다. 유물 산포지 청도군 전역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이서면, 풍각면, 화양읍의 순으로 유물 산포지의 숫자가 확인된다. 지하에 유존하는 유구가 아닌 표토에 드러난 유물로 존재가 확인되는 유물 산포지는 유적의 종류와...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대곡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대곡리 유물 산포지는 두 곳으로 이서면 대곡 1리의 상대곡 마을과 대곡 2리의 가곡 마을에 있다. 상대곡 마을은 서쪽 흰들골이 있는 산록의 북사면으로 묘역을 포함한 밭과 과수원 일대이며, 가곡 마을은 북쪽에 있는 가곡지 아래에 있는 밭과 구릉의 말단부 일대이다. 대곡리 유물 산포지 ①은 청도에서 대구 방면으로 이서로를 따라 대곡리...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동산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매전면 동산리에 매전면사무소가 있다. 매전면사무소의 북쪽에 수청산이 있으며, 수청산의 동쪽은 동창천이, 서쪽은 관하천이 흐르고 있다. 동창천변과 관하천변의 완만한 구릉지에 동산리 유물 산포지 두 곳이 있다. 동창천과 관하천은 수청산의 남쪽에서 합류하며, 곡간 평야가 형성되어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다. 동산리 유물 산포지 ①은 동산...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에 있는 삼국 시대 유물 산포지.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소재 유물 산포지로 동천리 유물 산포지 1과 동천리 유물 산포지 2로 구분되어 있다. 2개소의 유물 산포지는 대부분 밭이나 과수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삼국 시대 토기 조각이 확인된다. 동천리 유물 산포지 1은 행정 구역상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361-1 일대에 해당된다. 동천리 유물 산포...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두곡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두곡리 유물 산포지는 매전면 두곡리 두실 마을에 있다. 매전면사무소에서 국도 20호선을 따라 동산리, 하평리, 폐교된 관하 초등학교를 지나 덕산교에서 우회전하여 두곡리로 들어선다. 두곡리 두실 마을에서 절골 마을로 이어지는 소로를 따라 새들과 장군방들이 곡간 평야를 형성하고 있는 곳에 유물 산포지가 있다. 삼국 시대부터 통일 신라...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무등리에 있는 삼국 시대 유물 산포지. 무등리 유물 산포지는 무등리 마을의 북편에 있으며, 대부분이 과수원으로 개간되고 있다. 유물 산포지의 위치는 무등리 동쪽에 있는 산등성이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지역이다. 유물 산포지 서쪽으로는 경작지가 넓게 분포되어 있다. 경작지 일대에서 많은 수의 굽다리 접시, 항아리 조각이 산포되어 있다...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수월리에 있는 삼국 시대 이후의 유물 산포지. 수월리 유물 산포지 1은 상수월 마을에 있는 보림사 뒤쪽에 있는 밭과 주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밭과 주변에서 토기 조각, 기와 조각, 자기 조각 등이 확인된다. 수월리 유물 산포지 2는 하수월 마을 북쪽에 있는 해발 346m 구릉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삼국 시대 토기 조각이 채집되며, 유물 산포지의 동...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신촌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신촌리 유물 산포지는 세 곳으로 이서면 신촌리 자양지(紫陽池)와 신안 마을, 화룡 마을 구릉 사면 말단부에 있다. 신촌리 유물 산포지 ①은 이서면 신촌 1리 자양지 북쪽에 있는 구릉 사면이다. 청도에서 대구 방면으로 이서로를 따라 신촌리에 들어서 명덕지와 마을을 지나 골짜기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 들어가면 자양지가 나타난다. 유물...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안산리에 있는 고려 시대 이후 유물 산포지.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안산리 1291번지 일대에 있는 유물 산포지로 안태 마을 남쪽에 해당된다. 현재 계단식 경작지로 조성되어 밭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유물 산포지 중앙에 민가 3채가 있다. 유물은 민가 주변의 경작지에서 주로 채집되는데, 기와 조각, 토기 조각, 자기 조각 등, 소량이지만 다양한 종류의 유물이...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온막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온막리 유물 산포지는 매전면 온막리 명대 마을에 있다. 매전 삼거리에서 국도 58호선을 따라 북지리를 지나 나타나는 옛 매전 초등학교의 동쪽에 있는 해발 249.5m의 구릉 서사면 완만한 경작지에 유물 산포지가 있다. 구릉의 남쪽과 서쪽은 온막들 등이 펼쳐져 있으며, 온막들의 남쪽에 동창천이 흐르고 있다. 온막리 유물 산포지가 있...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우산리에 있는 삼국 시대 이후 유물 산포지. 우산리 유물 산포지는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우산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이다. 우산리 유물 산포지 1과 우산리 유물 산포지 2로 구분되어 있다. 우산리 유물 산포지 1은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우산리 산74 일대로 골안으로 불리는 골짜기의 상부 동쪽 산사면 일대에 해당된다. 유물 산포지에서 출토되는 유물은 주로 옹류...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에 있는 선사 시대 유물 산포지. 유등리 유물 산포지는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 19-1번지 일대에 있다. 서남쪽으로 토평리 고분군이 연접하고 있고 동쪽에 연지가 있다. 유물 산포지는 해발 128.3m의 낮은 구릉의 북동 사면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경사 10° 정도의 완만한 지세를 이루고 있다. 유물은 민무늬 토기 조각, 적갈색 연질 토기 조각, 토...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에 있는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유물 산포지. 유호리 유물 산포지는 유호 2리의 조들 마을에서 남동쪽으로 600m 정도 떨어진 해발 50∼55m의 산자락 일대이다. 현재 계단식으로 조성된 과수원에서 기와 조각과 토기 조각이 채집되고 있다. 특히 유물 산포지 동편에는 경사지에 높게 쌓은 석축과 그 위 평탄지에서 통일 신라 시대의 기와 조각이 많이...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임당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임당리 유물 산포지는 두 곳으로 금천면 임당리 임당 마을의 북쪽에서 동쪽과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말단부와 그 곡간 평지에 유물 산포지가 있다. 유물 산포지 서쪽으로 수미들과 간평들이 펼쳐져 있으며, 그 앞으로 동창천이 흐르고 있다. 임당리 유물 산포지 ①은 임당 마을의 북쪽에서 동쪽으로 이어지는 완만한 구릉의 과수원 경작지 일...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정상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운문면 정상리 새말 마을에서 북서쪽에 있는 용천 약수탕으로 이어지는 골짜기가 있다. 골짜기의 양쪽 능선 말단부에 정상리 유물 산포지 두 곳이 분포하고 있다. 1. 정상리 유물 산포지 ① 운문면 정상리 질멀 마을의 동쪽에 있는 해발 336m 능선의 남서쪽 말단부에 있다. 2003년도 조사 시에 토기 조각이 다수 관찰되었으나 2012...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지전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매전면 지전리 앞을 흐르는 동창천의 북쪽과 서쪽에 있는 능선의 말단부에 지전리 유물 산포지 두 곳이 있다. 지전리 유물 산포지 ①은 지전 2리 부처골 마을의 북쪽에 있는 완만한 능선에 있다. 매전 삼거리에서 국도 58호선을 따라 북지리, 온막리, 예전리를 지나 지전리에 도착한다. 국도를 따라 가면 우측에 지전 보건소가 있으며, 보...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에 있는 삼국 시대 유물 산포지. 토평리 유물 산포지는 행정 구역상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 175-1 일대에 해당된다. 이서면 양원리 별장 터에서 남쪽으로 500m 지점에 토평리와 해발 100∼110m의 구릉이 있는데, 이 일대가 유물 산포지이다. 이곳의 북쪽 일부와 서쪽은 대곡천과 더불어 넓은 평야 지대를 이루고, 동쪽으로는 맞은편 능선 사이에...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학산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학산리 유물 산포지는 세 곳으로 이서면 학산리 모산 마을 북서쪽으로 형성된 방골들의 양쪽 구릉지와 주암 마을의 북동쪽 구릉 일대에 있다. 화양읍에서 국도 20호선을 타고 창녕 방면으로 가다 각남 교차로에서 우측의 국가 지원 지방도 30호선을 따라 이서면으로 들어선다. 학산 삼거리에서 학산리 마을로 들어와 북서쪽에 있는 야트막한 구...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흑석리에 있는 유물 산포지.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흑석리 1523 일대에 해당된다. 흑석 2리 마을 남서쪽에 있는 회골 입구에 형성된 경작지가 유물 산포지이다. 이 지역은 현재 과수원과 밭으로 경작이 되어 있는데, 이 일대에서 삼국 시대 토기 조각, 조선 시대 자기 조각과 기와 조각 등이 확인된다. 출토된 유물로 보아 생활 유적이 분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
절터
-
경상북도 청도군에 사찰이 없어지고 그 터전만 남은 곳. 절터는 사찰이 없어지고 옛 사찰의 흔적을 보여주는 기단, 초석, 유물 등이 남아 있는 곳이다. 청도군의 절터는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남아 있는 유물이나 기록을 통해서 볼 때 신라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걸친 여러 시기에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가슬갑사지나 천문갑사지 등 이름이 남아 있는 절터도 있지만 대부분 이...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에 있는 절터.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절터는 신라 진흥왕 때 창건된 오갑사(五岬寺)의 하나인 소작갑사(小鵲岬寺) 절터의 한 곳으로 추정되는 절터이다. 지금은 과수원과 버섯 재배지로 활용되며, 불상 유적과 기와 파편이 여러 곳에 흩어져 있다. 출토되는 유물로 보아 신라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존속했던 사찰의 터이다. 소작갑사지에 대한 존재와 위치를 기록한...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봉기리에 있는 고려 시대 절터. 봉기리 절터는 청도군 풍각면 봉기리의 빈비골에 있는 절터이다. 출토되는 유물로 보아 고려 시대에 창건된 사찰의 터로 추정되는 곳이다. 청도읍에서 국도 20호선을 따라 풍각면 방향으로 12㎞ 정도 가면 풍각 농공 단지 입구에 도달한다. 풍각 농공 단지에서 성곡 저수지 방향으로 2㎞ 서북향으로 곧은길을 따라 가면 현리천 입구에 도...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에 있는 신라 때 절터.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절터는 신라 진흥왕 때 창건된 오갑사(五岬寺)의 하나인 천문갑사의 절터로 추정되는 곳이다. 이곳에서 출토되는 유물로 보아 신라 때 창건된 사찰의 터이다. 천문갑사지에 대한 존재와 위치를 기록한 고문헌은 『삼국유사(三國遺事)』 보양(寶壤) 이목(梨木)조와 청도동 호거산 운문사 사적(淸道東 虎踞山 雲門寺 事蹟)...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오진리 용방 마을에 있는 신라 시대 절터.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오진리 절터는 신라 진흥왕 때 창건된 오갑사(五岬寺)의 하나인 소보갑사(所寶岬寺) 절터로 추정되는 곳이다. 지금은 남양 홍씨의 문중 묘역으로 기와 조각이 여러 곳에 흩어져 있다. 출토되는 유물로 보아 신라에서 고려 시대까지 존속했던 사찰로 추정된다. 소보갑사지에 대한 존재와 위치를 기록한 고문...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지촌리 장육산에 있는 절터. 지촌리 부근에 위치한 신라 화랑들의 훈련 장소였다고 전해지는 장육산의 8부 능선 부근 자연 암벽 사이에 있는 동굴인 육장굴과 그 주변에 있는 절터이다. 청도군 운문면에서 경주 방향으로 국도 20호선을 따라 13㎞ 정도 가면 청도군과 경주시의 경계에 있는 마을인 지촌리가 나온다. 지촌리 동경마을에서 경주 방향으로 500m 정도에 위...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합천리에 있는 통일 신라 때 절터. 청도군 화양읍 합천리 주변은 이서국 때 관아가 있었다고 하여 관촌(官村), 또 넓은 들이라 하여 광당(廣堂)들이라고 부른다. 1994년 9월 29일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제287호로 지정된 청도 합천리 석조 아미타여래 입상이 있는 주변 일대는 통일 신라 때 천로사(天老寺) 혹은 대로사(大老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해온다....
탑
-
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주로 사찰에 속해 있는 불교 조형물. 탑이란 본래 석가모니 부처님의 유골을 봉안했던 인도의 스투파에서 유래된 것이다. 탑이라는 명칭도 스투파를 소리 나는 대로 옮긴 말인 탑파(塔婆)의 약칭이다. 스투파는 석가모니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토석을 쌓아올린 분묘로 인도의 산치에는 3기의 불탑이 남아 있다. 이 중 산치 1호 탑은 거대한 원분형으로 4대 탑문과 난간...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옥산리 대산사에 있는 삼층 석탑. 대한 불교 조계종 제9 교구 본사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인 대산사내에 위치하고 있는 석탑이다. 월은산에 있는 대산사는 830년(흥덕왕 5)에 원효 대사(元曉大師)가 용봉사(龍鳳寺)로 창건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목지국에서 남해성에 표류해 온 천수관음불상 3구 가운데 한 구는 운문사에 보관하고, 한 구는 알 수 없으며, 나머지...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에 있는 석탑. 고려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으로 박곡리 석조 석가여래 좌상 보호각 앞에 있다.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미륵당 마을 복판에 석조 석가여래 좌상이 있는 보호각 앞에 있다. 박곡리 석탑은 화강석의 단층 기단 위에 1층 탑신과 1층과 2층의 옥개석만이 남아 있다. 2중 기단으로 추정되나 하층 기단은 없어 불안한 형태이다. 단층 기단에는 우주...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오산리 용천사에 있는 석탑. 용천사 석탑은 용천사 대웅전 앞에 있는 작은 삼층 석탑이다. 붕괴되어 있던 것을 지금의 위치로 옮겨 세웠다. 각북면사무소에서 대구광역시로 넘어가는 지방도 902호선 따라가면 좌측에 용천사로 들어가는 길의 표지판이 보인다. 길을 따라 50m 정도 들어가면 종각이 나오며, 이를 지나면 좌측에 주차장이 보인다. 주차장에서 좌측으로 길을...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덕양리에 있는 통일 신라 때 삼층 석탑. 청도 덕양동 삼층 석탑은 1979년 1월 25일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제116호로 지정된 통일 신라 때 석탑이다. 덕양리(德陽里) 127번지 부근 절터에 넘어져 있던 탑을 1972년 동민들이 1372번지로 옮겨 세웠다. 하층 기단은 매몰되어 있으며, 상대 갑석에는 부연(副椽)이 있고 상부에는 굄이 있어 탑신을 받치고...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봉기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삼층 석탑. 청도 봉기리 삼층 석탑은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13호로 지정되어 있는 통일 신라 때 석탑이다. 이중 기단의 삼층 석탑으로 통일 신라 시대의 전형적인 형식을 보여준다. 상하층 기단은 우주와 각 면 2개의 탱주를 새겼다. 원래는 쌍탑으로, 현재는 서탑만 남아 있다. 주변에서는 기와 조각, 토기 조각이 소량...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용산리 불령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전탑. 불령사(佛靈寺) 대웅전 위 암반에 세워져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전탑이다. 발견 당시에는 원형을 알아볼 수 없는 상태로 전돌이 쌓여져 있던 것으로 1968년 현재의 모습으로 재건하였다. 석탑에 비해 전해지는 전탑의 수가 적다. 특히 문양이 새긴 전탑은 울산광역시 북구 농소동과 경주 삼랑사지, 그리고 불령사 전탑만...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에 있는 석탑. 운문사 비로전 앞에 서 있는 동서로 서 있는 통일 신라 때 석탑으로 1980년 9월 16일 보물 제678호로 지정되었다. 2단의 기 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으며, 규모와 양식이 동일하다. 930년 보양 국사(寶壤國師)가 중국에서 돌아오는 길에 서해 용왕이 보양 국사를 용궁으로 맞아들여 금빛 비단 가사 한 벌을 주면서 용왕의 아들...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장연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쌍탑. 청도 장연사지 동·서 삼층 석탑(淸道 長淵寺址 東·西 三層 石塔)은 1980년 9월 16일 보물 제677호로 지정된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이다. 사찰의 이름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장연사 또는 홍경사로 전해올 뿐 정확한 문헌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절터 서편 동창천의 소(沼)를 장연(長淵)이라고 하는데 이와 관련된 것으...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동산리에 있는 석탑재. 매전면 동산 2리 봉산 마을 주민 집 뒷마당에 전체적으로 덜 가공된 1기의 화강암 재질의 석탑재가 남아 있다. 청도 시내에서 운문 방면의 국도 20호선을 타고 가다가 보면 하평교라는 다리가 나온다. 하평교를 지나 2.5㎞ 정도를 더 간 후, 동산 2리 마을을 500m 정도 더 지나면 우측으로 봉산교가 나온다. 봉산교를 건너 마을길을 따...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장연리에 있는 당간 지주. 당간 지주란 사찰을 표시하는 깃발을 거는 막대기를 받치기 위한 돌기둥으로, 깃발을 거는 막대라는 의미의 당간과 이 당간을 세우는 기둥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형태는 두 기둥을 60∼100㎝의 간격으로 양쪽에 세운다. 서로 마주보고 있는 면이 평평하고 수직인데 반하여 뒷면은 올라갈수록 둥글며, 옆에는 당간을 받치기 위해서 2개의 구...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장연리에 있는 배례석. 배례석이란 불교 행사 시 향을 피우거나 음식을 차려 놓고 예를 올릴 때 사용된 석조물이다. 주로 법당 앞, 석등이나 석탑 앞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 장연리 배례석은 장연사지(長淵寺址)에 있었던 것으로 전하므로 장연사(長淵寺) 혹은 흥경사(興景寺)로 추정되는 유적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장연사지는 장연리 장수골 계당들목 북...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장연리에 있는 석조물. 장연리 석조물 중에는 당간 지주와 석조(石槽) 등의 유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 유물은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장연사지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당간 지주란 사찰을 표시하는 깃발을 거는 막대기를 받치기 위한 돌기둥으로, 깃발을 거는 막대라는 의미의 당간과 이 당간을 세우는 기둥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형태는 두 기둥을 6...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신둔사에 있는 개항기 영산 보탑과 탑비. 청도 신둔사 영산 보탑 및 탑비는 2014년 3월 11일 등록 문화재 제618호로 지정되었다. 청도 신둔사 영산 보탑 및 탑비는 신도들이 800여 원의 정재(淨財)를 모아 1924년 3월 1일부터 5월 14일까지 조성하였다. 청도군 화양읍 화양남산길 355[동천리 657] 신둔사 경내에 있다. 영산 보탑은 전체...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에 있는 석등. 운문사 금당 앞에 자리하고 있는 통일 신라 때 석등이며, 1963년 1월 21일에 보물193호로 지정되었다. 석등이란 불전 앞에 설치하여 부처의 광명이 중생에게 두루 비치라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 금당 앞에 자리잡고 있다. 석등은 상대, 중대, 하대석을 갖춘 기단부 위에 화사석과 옥개석으...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 작압전에 있는 석주. 청도 운문사 사천왕 석주는 운문사 작압전 안에 석조 여래 좌상과 함께 봉안되어 있다. 작압전 중앙의 석조 여래 좌상 좌우에 각기 2구의 사천왕상을 배치하고 있으며, 오른쪽에 다문천왕과 지국천왕이 자리하고, 왼쪽으로 광목천왕과 증장천왕이 자리하고 있다. 운문사 작압전 내에 봉안되어 있다. 사천왕 석주는 정확한 위치는 알 수...
부도
-
경상북도 청도 지역에 있는 승려들의 유골이나 사리를 봉안하는 묘탑적 성격을 갖는 조형물. 부도는 입적한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봉안하는 시설로 묘탑적(墓塔的) 성격을 갖는 조형물이다. 불가에서 입적은 열반에 비유되는데, 열반이란 수행이 점진적인 단계를 밟으면서 일체의 번뇌가 모두 소멸되었을 때의 경지를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부도는 최고의 경지에 이른 열반한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에 있는 부도 떼. 부도는 입적한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봉안하는 시설로 묘탑적(墓塔的) 성격을 갖는 조형물이다. 불가에서 입적은 열반에 비유되는데 열반이란 수행이 점진적인 단계를 밟으면서 일체의 번뇌가 모두 소멸되었을 때의 경지를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부도는 최고의 경지에 이른 열반한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모신 조형물이라 할 수 있다. 대비사 부도...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송금리 대적사에 있는 부도. 부도는 입적한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봉안하는 시설로 묘탑적(墓塔的) 성격을 갖는 조형물이다. 불가에서 입적은 열반에 비유되는데 열반이란 수행이 점진적인 단계를 밟으면서 일체의 번뇌가 모두 소멸되었을 때의 경지를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부도는 최고의 경지에 이른 열반한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모신 조형물이라 할 수 있다. 대적사는...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수월리에 있는 부도. 부도는 입적한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봉안하는 시설로 묘탑적(墓塔的) 성격을 갖는 조형물이다. 불가에서 입적은 열반에 비유되는데 열반이란 수행이 점진적인 단계를 밟으면서 일체의 번뇌가 모두 소멸되었을 때의 경지를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부도는 최고의 경지에 이른 열반한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모신 조형물이라 할 수 있다. 수월리 부도 부...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오산리에 있는 부도 떼. 부도는 입적한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봉안하는 시설로 묘탑적(墓塔的) 성격을 갖는 조형물이다. 불가에서 입적은 열반에 비유되는데 열반이란 수행이 점진적인 단계를 밟으면서 일체의 번뇌가 모두 소멸되었을 때의 경지를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부도는 최고의 경지에 이른 열반한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모신 조형물이라 할 수 있다. 용천사 부도...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부도 떼. 운문사 부도 떼는 운문사 부도전[승탑원]에 모여 있다. 부도전은 운문사에 주석했던 고승 대덕의 탑과 탑비를 모셔 놓은 구역으로 총 16기의 석조물이 있다. 이 가운데 명암당 석제 대사의 탑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1658년에 조성되었으며, 금파당 대연 승려 탑비가 1915년으로 가장 늦게 봉안되었다. 따라서 부도전은 17세기 후반에서...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리에 있는 부도. 부도는 입적한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봉안하는 시설로 묘탑적(墓塔的) 성격을 갖는 조형물이다. 불가에서 입적은 열반에 비유되는데 열반이란 수행이 점진적인 단계를 밟으면서 일체의 번뇌가 모두 소멸되었을 때의 경지를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부도는 최고의 경지에 이른 열반한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모신 조형물이라 할 수 있다. 원리 부도는 부근...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부도 떼. 부도는 입적한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봉안하는 시설로 묘탑적(墓塔的) 성격을 갖는 조형물이다. 불가에서 입적은 열반에 비유되는데 열반이란 수행이 점진적인 단계를 밟으면서 일체의 번뇌가 모두 소멸되었을 때의 경지를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부도는 최고의 경지에 이른 열반한 승려의 유골이나 사리를 모신 조형물이라 할 수 있다....
비석
-
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돌, 금속, 도기, 나무 등에 글을 새겨 세운 기념물. 비는 인간의 자취, 사적(事蹟)을 보전하고 기념하기 위해서 글을 새겨 세워 놓은 여러 기념물을 말한다. 비를 만드는 재료로는 돌, 나무, 금속, 도기 등이 있는데 청도군에 있는 비의 대부분은 돌로 만들어진 석비(石碑)이다. 석비는 모양에 따라 윗부분이 네모난 비(碑)와 윗부분이 둥근 갈(碣)로 나눌 수...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관하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비석 떼. 관하리 비석 떼은 매전면 관하리 원정자 마을 관하리 보건소 북쪽 관하천 건너편에 있는 바위 위에 세워진 2기의 비석을 말한다. 하나는 청도 군수를 역임한 송요경(宋堯卿)의 선정을 칭찬하여 기리는 비석이고, 다른 하나는 청도 현감을 역임한 조원붕(趙遠朋)의 덕망을 칭찬하여 기리는 비석이다. 송요경[1668∼1748]은 조선...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덕촌리에 있는 조선 시대 비석 떼. 김명진(金明鎭)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 자는 치성(稚誠)이며, 1840년(헌종 6년)에 출생했다. 1870년(고종 7) 정시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이후 충청좌도 암행어사, 동부승지, 대사성(大司成), 경기도 관찰사, 경상도 관찰사, 이조 참판, 공조 판서 등을 두루 거쳤다. 특히 관찰사로 재직 중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서상리 도주관에 있는 조선 시대 비석 떼. 정흠선(鄭欽先)은 본관은 동래, 자는 지숙이다. 문과 급제 후 판관(判官), 청도 군수,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부호군(副護軍) 등을 역임했다. 청도 군수에는 1730년(영조 6) 12월에 도임하여 1735년(영조 11) 10월에 임기 만료되었다. 조석우(曺錫雨)는 1810년(순조 10년) 서울에서 출생하였고...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송서리에 있는 조선 후기에서 일제 강점기까지의 선정비 떼. 풍각면 복지 회관에 한말∼일제 강점기 때 건립된 선정비 6기가 현대에 조성된 비석들과 함께 나란히 서 있다. 6기의 비석과 관련된 인물은 유학 천재부, 유학 정수영, 관찰사 이삼현, 유학 이규환, 유학 신연한, 청도 군수 최병철 등이다. 천재부(千載富)는 본관은 영양으로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올랐다....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음지리에 있는 비석 떼.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음지리에 효자 최한성(崔翰成)과 추득래(秋得来)의 송덕비 2기와 대현 도로 준공 기념비 1기가 서 있다. 최한성은 본관이 흥해이며, 직제학 연(淵)의 후손이다. 본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부모를 섬김에 정성을 다하였고, 상을 당하여서는 슬퍼함이 정도를 넘었다. 매일 3번씩 성묘하였고 다른 사람들이 어렵게 사는 것...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임당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비석 떼. 금천면 임당리 명포 마을에 있는 청도 군수 정해상과 서유민의 공적을 기리는 2개의 비석이다. 군수 정해상은 자가 문노(文老)이고, 본관은 영일이다. 1849년(헌종 15)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851년(철종 2) 2월에 청도 군수로 부임하여, 1854년(철종 5) 5월에 밀양 부사로 옮겼다. 군수 서유민은 자가 원경(元...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지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비석 떼. 매전면 지전리 지소 마을에서 동쪽으로 80m 지점의 도로 옆과 마을 입구에 있다. 2기의 선정비가 철조망 안쪽에 있는데, 정해상과 서유민이 청도 군민을 위하여 선정을 베푼 것을 기리기 위하여 청도 군민들이 세운 것이다. 군수 정해상은 자가 문노(文老)이고, 본관은 영일이다. 1849년(헌종 15)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현리리에 있는 조선 시대 선정비 떼. 서희순(徐憙淳)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달성, 자는 치회(穉晦), 호는 우란(友蘭), 시호는 숙헌(肅獻)이다. 1816년(순조 16) 정시 문과 병과로 급제한 이래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 이조·예조 참판, 직제학 등을 지내고, 1833년(순조 33) 경상도 관찰사로 나갔다. 1835년(헌종 1) 대사헌과 형조 판...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순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비석. 을사사화 때 장살당한 경재 곽순의 자취를 알리고, 추모하는 비석으로 1828(순조 28)년에 건립되었다.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순지리 운곡 정사와 원모재 옆에 있으며, 최근에 신축한 기와를 이은 팔작지붕을 한 단칸 비각 안에 있다. 곽순(郭珣)[1502∼1545]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이 현풍이며, 자는 백유(白瑜),...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덕암리에 있는 김석해의 유공비.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덕암리 586에 있는 김석해(金碩海) 유공비는 공적을 기리기 위해 가경(嘉慶)2년인 1797년(정조 20)에 세운 비석이다. 비문의 마멸이 심하여 구체적인 공덕 사항은 알 수 없다. 이 지역의 중요한 농업용수 공급지인 대릉지 조성 또는 개보수 관련된 재지 사족(在地士族)인 김석해[본관: 김해]의 공적을...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김용복의 송덕비. 한말 문신 겸 학자인 김용복[1857∼1933]은 본관은 김해, 호는 탁운(濯雲)이다. 김일손(金馹孫)의 후손으로 감역(監役) 김병두(金柄斗)의 아들이다. 벼슬은 음직(蔭職)으로 1898년(광무 2) 숭선전 참봉과 1902년(광무 6)부터 1906년(광무 10)까지 하양 군수를 역임한 뒤 통정대부에 이르렀다. 풍의...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와 흥선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에 세워진 김용희 송덕비. 김용희(金容禧)는 본관은 김해, 자는 사길(士吉), 호는 모계(慕溪)·대학범민(大學凡民)이다. 김일손의 14세손으로 화양읍 토평리에서 감역(監役) 김병두(金炳斗)의 5남 중 차남으로 출생하였다. 김용희는 만석의 재산을 바탕으로 활발한 숭조(崇祖) 사업과 구휼(救恤) 사업을 전개하였다. 숭조 사업으로...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에 있는 전 이방 김응삼의 근휼비. 전 이방 김응삼(金應三)의 근휼비(勤恤碑)는 원래 1709년(숙종 35) 기축 10월에 건립했다. 연대가 오래되어 실전(失傳)의 염려가 있어, 원비(源碑)는 땅에 묻고 후손들이 1848년(헌종 14) 중건한 것으로 군내 향리 관련 유일한 선정비이다. 이방은 호장과 더불어 군현 향리를 대표하거나 군현에서 발생하는 크고...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에 있는 찰방 김재두의 선정비. 김재두(金載斗)는 본관은 영산, 자는 경칠(敬七), 호는 방촌(坊村)이다. 1794년(정조 18) 병인 2월에 영광에서 출생하였다. 1835년(헌종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及制)하여 통훈대부(通訓大夫)로 낭천 현감(狼川縣監), 성현도 찰방, 사간원 정언(司諫憲 正言), 사헌부 지평(司憲府 持平) 등을 지냈다. 김재두...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녹명리에 있는 도상읍 송덕비. 도상읍[1855∼1919]은 본관이 성주, 자는 문진이다. 낙음공파(洛陰公派) 28세로, 도응유(都應兪)의 후예이며, 사용(司勇) 도순호(都順浩)의 아들이다. 1895년(고종 32) 통훈대부 행 선산 부사(通訓大夫行善山府使)를 제수 받았으며, 주사(主事)를 역임했다. 비문의 내용을 근거로 주사로 재직 중이던 도상읍에 의해 감세(...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송서리에 있는 박성곤 기념비. 도상읍[(1855∼1919]은 본관이 성주로 낙음공파(洛陰公派) 28세다. 자는 문진으로 사용(司勇) 도순호(都順浩)의 아들이다. 1895년(고종 32) 통훈대부행선산부사(通訓大夫行善山府使)를 제수받았으며 주사(主事)를 역임했다. 비문의 내용을 근거로 주사로 재직 중이던 도상읍으로부터 감세(減稅)와 구휼의 은택을 입은 녹명리 주...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온막리에 있는 박윤손 효자비. 박윤손(朴閏孫)은 수군 박동의 아들이다. 어머니가 빨래하러 갔다가 호랑이에게 물려가자 왼손으로 어머니를 붙들고 오른손으로 돌을 던지며 5리 남짓 쫓아갔다. 이웃 사람들이 이 소리를 듣고 달려와서 구했으나, 호랑이에게 많이 물린 어머니는 그날 밤에 사망하였다. 박윤손은 슬퍼하면서 정성을 다해 장례를 치렀고, 이 일이 임금에게 알려...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두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비석. 매전면 두곡리 두실 마을에 있는 장사랑 박후재(朴厚載)의 은덕을 기리고 기억하려는 비석이다. 장사랑 박후재가 흉년에 어려운 사람들을 구제하였고, 화재로 한꺼번에 64집이 불타자 백포대의 곡식과 100냥의 돈을 내어 구제한 은덕이 있었다. 청도 주민들은 이 은덕을 기려 기억하고, 후손들에게 전하기 위하여 이 비석을 세웠다. 비...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덕촌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상계도 송덕비. 상계도는 일제 강점기 인물로 자료가 부재하여 정확한 생몰 연대 및 가계를 상고할 수 없다. 다만 1931년 6월 25일 충무공 유적지 보존 문제로 성금 1원을 냈다는 기록이 있다. 각북면 소작인들이 송덕비를 건립했다는 비문 내용으로 보아 지주인 상계도의 토지를 경작하며 은혜를 입은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1929년 세...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동산리에 있는 선정비. 서유민의 본관은 대구이고, 자는 원경(元畊)이며, 1779년(정조 3)에 태어났다. 1805년(순조 5)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음직(蔭職)으로 1818년(순조 18) 목릉(穆陵)[선조와 원비(元妃) 의인왕후(懿仁王后) 박씨, 그리고 계비(繼妃) 인목왕후(仁穆王后) 김씨의 능] 참봉에 제수되었다. 1826년(순조 26) 8월 삼등 현령[...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선정비. 청도 군수 송요경이 백성을 구제한 것을 기리는 선정비로,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 사거리 마을에 있다. 송요경(宋堯卿)[1668∼1748]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백유(伯兪)이고, 본관은 은진(恩津)이다.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증손자로 33세 때인 1700년(숙종 26)에 처음 벼슬한 이래 돈녕제용판관(敦寧濟...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비석과 비각. 김종직(金宗直)의 제자로 무오사화(戊午士禍)·갑자사화(甲子士禍)에 희생된 박한주(朴漢柱)[?∼1504]의 여표비(閭表碑)이다. 박한주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자는 천지(天支), 호는 오졸재(迕拙齋)이다.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서 출생하여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연산군의 정치를 간하다 무오사화 때 평안도 벽동...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학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사당과 묘정비. 밀양 박씨 박경신 등 부자, 형제, 숙질, 종형제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에 맞서 싸운 충절을 기리는 사당과 비석으로 이서면 학산리 모산마을 용강 서원 안에 있다. 여기에 언급된 인물은 모두 14명으로 박경신(朴慶新), 박경인(朴慶因), 박경전(朴慶傳), 박경윤(朴慶胤), 박경선(朴慶宣), 박선(朴瑄), 박...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오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표석. 표석(表石)이란 특정한 지역이나 영역을 표시하는 돌이나 비석 혹은 죽은 사람의 이름, 관직 등을 적어 무덤을 표시하는 돌을 말한다. 용천사 동하 도로 수치 송공 표석(湧泉寺 洞下 道路 修治 頌功 表石)은 길이 험난하여 용천사 승려들이 자비를 들여 길을 평탄하게 정리한 것을 칭송한 내용의 비석이다. 용천사는 670년(신라 문무...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비석.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1789 운문사 경내에 있는 비석이다. 설송 대사를 기리는 비석으로 설송 대사의 제자인 남붕(南鵬) 등이 1754년(영조 30)에 건립하였다. 모양은 비 몸체의 윗부분이 둥근 호패 모양 비석으로, 네모 모양의 비 받침 위에 고정되어 있다. 조선 후기 청도 운문사에 머물면서 휴정의 두 계보...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현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규환의 송덕비. 이규환에 대한 문헌상 기록이 전하지 않아 구체적인 행적을 알 수 없다. 경주 이씨 후손들에 의해 비석이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비문에 의하면 재지 사족(在地士族)이던 이규환의 구휼 공덕을 칭송하기 위하여 성조도감(成造都監) 곽치후(郭致厚)와 존위(尊位) 백승학(白升學)이 주도가 되어 1877년(고종 14)에 건립하였...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장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불망비. 이주호(李周虎)의 본관은 고성이며, 호는 죽남(竹南)으로 고성 이씨 청도 입향조 모헌(慕軒) 이육(李堉)의 후손이다. 매전면 장연리에 거주하면서 평소 의협심과 의혈지기로 향내에 고풍지사(高風之士)라는 칭송이 자자하였다 한다. 이주호는 1876년(고종 13)에 큰 흉년을 당한 동민들을 위하여 양곡을 풀어 구휼하였다., 이듬해에...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에 있는 개항기 청도 군수 조병길의 선정비. 1851년(철종 2) 출생한 조병길은 본관은 풍양, 자는 경학(敬學)이며, 부친은 이조 참의를 지낸 조문화(趙文和)이다. 조병길은 1885년(고종 22)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에서 생원 3등을 한 이후, 창녕 현감을 거쳐 1895년(고종 32) 9월 청도 군수로 도임하였다. 1899년(고종 36) 정월...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서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청도 군수 조시만의 선정비. 조시만은 본관은 풍양이고, 자는 경박(敬博)이다. 사마시에 급제 후 1774년(영조 50) 9월 청도 군수로 부임하여 1776년(영조 52) 7월 전라도 나주 목사로 이배되었다. 그 뒤 호조 정랑,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역임하였다. 비문에 의거하면 조시만이 학교흥(學校興), 즉 청도 향교 중흥시킨 치...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비석.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에 있는 비석으로 정확한 건립 연대를 알 수는 없으나 고려 인종 때인 1145년경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청도 운문사 원응 국사비는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16호로 지정되었다. 원응 국사(圓應國師)[1051∼1144]는 고려 숙종 대에 활동한 고승으로 속성은 이씨이고, 속명은 학일(學一...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서상리에 있는 개항기의 척화비. 청도 척화비는 1866년(고종 3)의 병인양요, 1871년(고종 8)의 신미양요를 겪은 후 흥선 대원군 이하응이 서구 열강의 침입을 경고하고, 쇄국 정책을 더욱 굳건히 하기 위하여 1866년에 비문을 짓고, 1871년 전국 각지에 세웠던 여러 개 척화비 중의 하나이다.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 후 흥선 대원군이 몰려나고...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일곡리에 있는 진사 최윤곤 선정비. 최윤곤(崔潤坤)은 본관이 경주, 자는 덕오(德五), 호는 눌우(訥愚)이다. 승사랑(承仕郞) 최창문(崔昌文) 의 아들로 1791년(정조 15)에 청도에서 출생하였다. 41세 때인 1831년(순조 3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통정대부 첨지중추부사 겸 오위장(通政大夫 僉知中樞府使兼五衛將)을 지냈다....
새김글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음지리에 있는 고성종의 공덕을 기리는 새김글. 청도군 청도읍 음지리에 있는 고성종(高盛宗)의 공덕을 기리는 새김글이다. 새김글은 자연 바위 전면에 세로로 “동중 고성종 유공 불망 각 정유 십월 일(洞中高盛宗有功不忘刻 丁酉十月日)”이라 새기고, 오른쪽 위쪽에는 오른쪽으로부터 “한봉준(韓鳳俊), 서한석(徐漢碩), 장석□(張錫□), 한인곤(韓仁坤), 김한권(金韓權...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공암리 절벽에 있는 새김글.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공암리 고암 마을 남쪽 동창천이 운문댐으로 유입되는 지점에 있는 절벽에 있다.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새김글은 3개이나 마모가 심하여 글자를 알아보기 쉽지 않지만 그 중의 하나인 ‘풍호대(風呼臺)’를 확인할 수 있다. ‘풍호대’ 새김글이 있는 주변으로 석문(石門), 공암(孔巖) 등이 있고, 기암절벽이 연이어...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구라리에 있는 바위 새김글. 구라리 새김글은 이서면 구라리 각계 마을 남쪽 청도천 옆 구릉지 서쪽에 있다. 이곳은 청도천으로 흘러드는 실계천 옆의 자연 암반 지대이다. 이서면사무소에서 가금리 경상북도 농업 기술원 청도 복숭아 시험장 방면으로 가다보면 구라 마을 새마을 회관이 나온다. 새마을 회관을 지나면 들판 쪽으로 돌출된 작은 언덕이 있으며, 도로가 이 언...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남산 계곡에 있는 새김글. 화양읍 동천리와 교촌리에 걸쳐 있는 약 1.5㎞ 정도의 남산 계곡은 절경으로 이름이 높아 많은 시인 묵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이들은 남산 계곡의 절경에 감탄하여 계곡의 굽이마다 바위에 글을 새겼다. 새겨진 글은 계곡의 특징을 적은 새김글 13[또는 16개라고도 함]개와 11편의 시이다. 『문화 유적 분포 지도』에서는 1곡부터...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칠곡리에 있는 바위 새김글. 이서면 칠곡리 큰골에 있는 새김글로 농암(聾巖) 박란(朴鸞)을 기념하여 청도의 주민들이 글을 새겼다. 박란은 본관은 밀양, 자는 운경(雲卿), 호는 농암이다. 조선 중종 때 진사가 되었고, 학문이 높았다. 향노당(鄕老堂)을 고칠 때 「향노당기문(鄕老堂記文)」을 지었으며, 청도군 풍속을 바로잡는 데 힘써 청도 향헌 10개조와 향규...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문수리에 있는 바위 새김글. 문수리 새김글은 이서면 문수리 문수 마을에 있는 자연 암반에 세로로 음각된 새김글이다. 이 새김글은 흥선리 흥인당에서 공부하던 어떤 선비가 썼다고 전해지나 정확한 유래를 알 수 없다. 흥선리 흥인당에서 공부하던 어떤 선비가 썼다고 전해지나, 정확한 유래를 알 수 없다. 이서면사무소에서 이서로를 따라 팔조령 방향으로 가다 모산 교차...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 폭포골에 있는 바위 새김글. 화양읍 범곡리 폭포골에 있는 새김글로 장방형의 자연 바위에 음각되어 있다. 어느 시대에 누구에 의해서 새겨졌는지는 알 수 없다. 새김글이 있는 바위 옆에 있는 화산정(華山亭)과 관련이 있다고도 한다. 대웅사 옆에 있는 화산정은 1923년 당시의 청도 군수인 주재영(朱載榮)이 건립한 것을 청도의 유림이 구입하였으며, 1935...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소천리에 있는 바위 새김글. 금천면 소천리 석현 마을 부일천 주변에 있는 바위에 새겨진 새김글이다. 새김글은 마을 쉼터 옆 바위에서부터 약 50m에 걸친 부일천변 자연 암벽에 새겨져 있다. 새김글의 내용은 ‘만송정(晩松亭)’, ‘일신탕(日新湯)’, ‘첨앙대(瞻仰臺)’ 등 경관을 표현한 것과 박응곤(朴應坤), 진수(瑨秀), 영수(英秀)의 시구 4개 등이다. 박...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정리에 있는 바위 새김글. 청도읍 원정리 아랫통안 마을 자연 바위에 새긴 글이다. 유래와 글쓴이, 새긴이는 알 수 없다. 정확한 건립 연대를 알 수 없다. 청도읍사무소에서 경주, 운문면 방향으로 가면 원정 삼거리에 이른다. 여기서 원정 1리 방면으로 좌회전하면 아랫통안 마을에 이르는데 새김글은 마을 서남쪽 뒷산 기슭에 있다. 일정한 형식 없이 자연 바위 면...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월곡리에 있는 조원붕의 선정을 기리는 새김글. 조원붕 새김글은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월곡리 월곡 마을에서 남쪽으로 200m 가량 떨어진 경부선 철로 옆에 있다. 이 새김글은 바위 면을 비석 형태로 다듬고 글씨를 새긴 마애비(磨崖碑)이다. 비석의 규모는 너비 0.57m, 잔존 높이 1m로 윗부분이 둥근 호패 모양이다. 비면의 중앙에 세로로 “현감 조 공 원붕...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지촌리에 있는 바위 새김글. 운문면 지촌리 1069 지촌리 신기 마을에서 알골 마을로 통하는 도로에서 화곡교를 건너기 전 오른쪽 산기슭에 있다. 조선 시대에 것이라고 생각되는 지촌리 새김글은 누가 이 글씨를 쓰고 새겼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마을 사람들이 전하는 말에 의하면 광주 안씨 안경시(安慶時)가 쓴 글이라 한다. 운문면사무소에서 운문댐 옆으로 난 국도...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흑석리에 있는 바위 새김글. 풍각면 흑석리 동쪽 풍각천변 안국암에 새겨진 새김글이다. 다듬지 않은 바위 면에 글자를 음각하였다. 새김글은 이언적(李彦迪)[1491∼1548]이 지나가면서 주변의 풍경이 아름다운 것을 보고 지은 시 한 수와 조선 후기의 학자인 박수춘(朴壽春)[1572∼1652]이 회재 이언적을 추모하면서 지은 시 한 수가 새겨져 있다. 이언적은...
건축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에 있는 조선 시대 청도군의 객사. 도주(道州)는 청도의 다른 이름이다. 객사에는 정청에 왕을 상징하는 전패(殿牌)를 두어 지방 수령이 초하루와 보름에 이곳에서 배례하였다. 또한 접객 시설을 갖추어 이곳을 찾는 관원이 머물 수 있도록 하였다.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서상리 15-10에 위치한다. 화양읍사무소 정면에 있는 길을 따라 서상리 새마을 회관 방향으로...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오산리 용천사에 있는 불전. 용천사는 창건 당시 화엄종 10대 사찰로 3,000여 명의 승려가 수도하였고, 소속 암자 백련암(白蓮庵), 극락암(極樂庵) 등 47개소에 이르렀다고 전해진다. 현재도 곳곳에서 그 흔적들을 찾아볼 수 있다. 용천사 대웅전은 못을 하나도 사용하지 않은 매우 웅장한 건물로서 기둥 목재는 아름드리 칡덩굴을 사용하였다. 또 법당 안에는 상...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대비사에 있는 조선 시대 불전. 대비사는 566년(신라 진흥왕 27)에 건립되었다고 전해지는 사찰이다. 박곡리 마을에 건립되었는데 고려 시대에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사찰의 배치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에 향로전과 요사채를 두었으며, 대웅전의 우측 뒤편에는 삼성각이 위치하고 있다. 대비사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불상이 있으며, 16세기경에 세운 것으로 추...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송금리 대적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전. 대적사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9 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 876년(신라 헌강왕 2) 보조 선사가 창건하였으며, 고려 초기 보양이 중창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불에 탄 뒤, 1635년 3칸의 암자를 짓고 대적사라 칭하면서 중건하고 1689년(숙종 15) 성해(性海)가 중수하였다. 그러나 이후의...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상리에 있는 조선 시대 관아 건축. 조선 시대 관아 건물의 하나로 청도 지방의 일반 행정 업무를 보던 중심 건물이다. 동헌은 아사(衙舍), 군아(郡衙), 현아(縣衙), 시사청(視事廳)으로 불리는데, 생활 처소인 내아(內衙), 즉 서헌(西軒)의 동편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동헌이라고 부른다.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상리 158-2에 위치한다. 화양읍...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금곡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별장. 청도 삼족대(淸道 三足臺)는 김대유(金大有)[1479∼1552]가 관직을 그만두고 우연(愚淵)이 있는 운문산 아래 별장을 지어 살았던 곳이다. 김대유의 본관은 김해이고 제학 김준손의 아들이며,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조카이기도 하다. 김대유의 자호(自號)를 삼족당(三足堂)이라 하였는데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은 만족...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얼음 저장 창고. 우리나라의 얼음 관련 기록으로는 505년(신라 지증왕 6)부터 1898년(광무 2)까지 얼음을 저장하여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겨울에 동지가 지나 얼음이 가장 두껍게 얼었을 때, 장빙제(藏氷祭)를 지내고 얼음을 채취하여 저장하였고, 더위가 한창 기승을 부릴 때는 개빙제(開氷祭)를 지내고 얼음을 꺼냈다고 한다....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주택과 정자. 운강 고택은 소요당(逍遙堂) 박하담(朴河淡)[1479∼1560]이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하던 곳에 1809년에 후손인 박정주(朴廷周)[1789∼1850]가 분가하면서 건립한 조선 후기 주택이다. 만화정은 운강 고택의 부속 건물로 운강(雲岡) 박시묵(朴時默)[1814∼1875]이 1856년 건립한 정자로 수학을 강론하던...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임진왜란 때 불탄 이후, 1994년 현재의 대웅보전을 신축하기까지 대웅보전의 역할을 하였던 건물로 청정법신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두고 있는 불전이다. 정면 3칸·측면 3칸의 9칸 규모의 다포계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1985년 1월 8일 보물 제835호로 지정되었다. 운문사 내 만세루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다. 전각의 이름은...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에 있는 누각. 운문사 구 대웅보전 동편에 있는 누각 건물로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다. 운문사 중심 영역에 있는 구 대웅보전 동쪽에 있다. 구 대웅보전과 동일하게 남향을 취하고 있으나, 구 대웅보전의 주향과는 달리 남서쪽으로 약간 더 틀어져 배치되어 있다. 2006년 구 대웅보전 해체 수리 시 상량문과 함께 「순치 십이년 대웅전 중건시 가...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리 적천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전. 적천사는 664년(신라 문무왕 4)에 원효 대사가 창건하고, 828년(흥덕왕 3)에 심지 왕사가 중건하였다고 알려진 사찰이다. 적천사 대웅전은 천왕문과 조계문을 지나 사찰의 중앙에 남향으로 있다. 좌우에는 적묵당과 명부전이 있고, 뒤에는 좌우로 조사전과 영산전이 있다. 청도읍에서 경상남도 밀양시 방면 국도를 타고 내려가...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청도 경찰서 건물. 구 청도 경찰서 본관은 2000년 5월에 청도읍 송읍리로 경찰서 건물이 모두 이전하기 전까지 사용되던 건물이다. 청도 경찰서는 1910년 5월에 청도 주재소를 설치한 뒤 1914년 9월에 청사를 신축하였다. 1945년 8월에 군정 경찰로 개칭되었다. 1945년 10월 21일에 국립 경찰이 창설되면서, 1946년...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청도 소방대 건물. 일제 강점기 때 고수리 일대는 청도역 인근에 위치한 관계로 청도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곳이다. 따라서 인근에 주요 관공서가 들어서게 되었는데, 현재 구 청도 경찰서 건물과 구 청도 소방대 건물이 남아 있다.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에 위치한 구 청도 경찰서 맞은편 길가에 있다. 1930년 청도 소방대 건물...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에 있는 철도 관사. 구 청도역 관사가 세 곳이 있지만, 하나는 방치되어 있는 상태이고 하나는 가정집으로 개조하여 쓰이고 있다. 관사의 건축 형식은 1개동 2호 연립주택형인 건물을 남북 3열로 총 5개동 10개의 단위 주호로 배치되어 있었다.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 857-6에 위치한다. 청도 공설 운동장 정면의 국도 20호선을 따라 부야리 방향...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에 있는 근대 건축물.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 854-3에 위치한다. 청도역 정면에 난 길을 따라 청도 농공 단지 방향으로 약 100m 정도 이동하면 길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국 전력 청도 지점 사택으로 1930년경에 건립되었다고 전하며, 현재는 하나의 가옥을 두 개의 가옥으로 양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로에 면한 부정형 대지에 건물을 남북...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에 있는 정미소. 정미소는 곡물을 도정하거나 제분하는 공장으로 예전에 큰 마을마다 있었다. 영신 정미소는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에 설치되었던 정미소로 대들보에 ‘소화(昭化) 16년……’이란 상량문이 적혀 있어, 1941년에 건축된 건물임을 알 수 있다. 현대화된 기계 양곡의 도입으로 마을마다 설치되었던 정미소는 이제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상황이...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송서리에 있는 근대 면사무소 건물. 1930년대에 건립된 장방형 평면의 면사무소 본관 건물로 남향 배치된 ‘一’자형 단층 목조 건물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송서리 600-1에 위치한다. 각남면사무소 정면의 국도 20호선을 따라 차산리 방향으로 약 1,700m 직진하여 지방도 902호선과 만나는 곳에서 우회전하여 약 200m 정도 이동한다. 그리고 길 우...
누정
-
경상북도 청도군 지역에 있는 누각과 정자. 누정은 자연 경관이 좋은 곳을 세우진 건조물로, 관경(觀景)·은거(隱居)·수계(修稧)·연락(宴樂)·유상(遊賞)·독서이양(讀書頤養)·휴식(休息)·치화(治化)의 표상처 등의 구실을 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즉 인간의 정서가 자연에 부여된 자리 내지 그 자리에 선 건조물이 곧 누정이다. 누정은 궁궐을 비롯한 관아로부터 지배 계급인 상류층으로...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정상리에 있는 재사. 최묵석(崔默錫)은 본관이 경주(慶州), 호가 구은(九隱)이며, 사상 최예(崔汭)의 후손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증직되었다. 구은정은 1870년에 선조를 추모하기 위해 후손이 건립했다. 정상리 새말 마을 동편의 개천 넘어 안산 기슭에 있다. 건물은 평탄한 대지에 방형의 담장을 쌓고 정면 4칸, 측면 칸 반의 정자와 우측에 사주문을 내었다...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지촌리에 있는 재사.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지촌리 박곡 마을의 북편 산록에 자리잡은 광주 안씨(廣州安氏) 문중 재실로 안갑수, 안병윤을 배향하였다. 1770년에 건립된 후 수차례 중수되었다. 청도∼경주 간 국도 제20호선을 타고 가다 운문면 지촌리 신기 마을에서 서북쪽으로 난 지방 도로로 갈아 탄 뒤 550m가량 가면 지촌리 박곡 마을로 들어가는 마을길이...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사촌리에 있는 정자. 선월정은 가산대부 중추부사를 지낸 장덕윤(蔣德潤)이 만년에 시유(詩遊)하던 곳이다. 경상북도 청도군과 경상남도 밀양군의 경계지에 있는 청도읍 유호 1리 유천 마을에서 동창천을 따라 북동쪽으로 개설된 지방도 919호선을 타고 가면 2.4㎞ 지점의 도로 서편에 사촌 2리 장촌 마을이 있다. 장촌 마을 복판의 남북 간 골목길로 100m가량 올...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지전리에 있는 묘재. 최창문(崔昌文)은 본관이 경주(慶州), 호가 후경(後耕)이며, 학암(鶴巖) 최경여(崔慶餘)의 증손이다. 벼슬은 승사랑(承仕郞)을 지냈으며, 효성이 지극하고 교우에 신의가 높았으며 문학자이기도 했다. 금천면에서 동창천을 따라 개설된 지방도 999호선을 타고 남쪽의 밀양 쪽으로 온막리, 예전리를 지나면 지전리에 이른다. 지전 2리 부처골 마...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리에 있는 묘재. 이위구(李渭耈)는 호는 만호(晩湖)이다. 모헌(慕軒) 이육(李育)의 후예로 향리에 은거하며 학문을 탐독하여 학행이 높았던 인물이다. 영호정은 이위구의 묘재로 1905년에 건립되었다. 청도읍에서 청도천을 따라 개설된 청도∼밀양 간 국도 25호선을 타고 남쪽으로 내려가면 월곡리에 이른다. 월곡리에서 다시 남쪽 원리 쪽으로 가면 도로 좌측 청도...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동산리에 있는 밀성 박씨 정자. 운수정은 매전면 동산리 동창천변의 창벽 위에 있는 정자이다. 삼족당(三足堂) 김대유(金大有)와 소요당(逍遙堂) 박하담(朴河淡)이 정사를 마련하여 운수정이라 하고 유생들에게 학문을 전수한 곳이다. 김대유, 박하담 사후에는 이곳에 위패를 봉안하고 향현사(享賢祠)라 하였다가, 선암 서원이 창건된 뒤 위패를 이향했다. 매전면사무소가...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남양리에 있는 정자. 김희찬(金熙瓚)은 본관은 경주, 자는 평원(平元), 호는 지산(智山)이며, 월간(月澗) 김처형(金處衡)의 후예이다. 어릴 적부터 효심이 지극하여 병상의 부친을 10년 동안 간호하고 보살펴 정성을 다하였다. 시묘하는 3년 동안 호랑이가 매일 나타나 김희찬을 보호하였다고 전한다. 벼슬은 참봉(參奉)에 올랐고, 사후에 동몽교관(童蒙敎官)이 증...
가옥
-
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전통적 형태의 가옥. 우리나라의 전통 가옥을 통칭하여 한옥이라고 한다. 한옥은 가족 구조를 포함하는 사회 구조와 종교·세계관·생업 방식·건축 기술·계층과 계급과 같은 문화 요소와 기후와 식생과 같은 자연 생태 환경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우리의 전통 가옥은 같은 한반도 내에서도 다양한 외형과 공간 구성을 가진 유형들이 전승되고 있다. 전통 가옥은...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임당리에 있는 가옥. 19세기 후기에 건립된 임당리에 있는 건물로 안채와 사랑채, 고방채로 이루어진 튼 ‘ㅁ’자형 주택이이다. 운문면 소재지에 있는 방지 초등학교에서 운문면사무소 방향으로 약 130m 오다가 우측으로 꺾어 직진하다 동창천을 건너면 임당리 마을 회관이 위치하고 있다. 이 마을 회관에서 우측으로 직선거리로 약 170m의 위치에 김재순 가옥이 있다...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정리에 있는 근대 주택. 조선 말기에 전라남도 수군절도사를 지낸 박유붕(朴有鵬)[1806∼?]의 증손인 박영재(朴英在)[1889∼1966]가 건립한 주택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정리 802에 위치한다. 국도 20호선을 따라 청도읍 소재지의 모강 사거리에서 부야리 방향으로 오다가 원당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들어오면 좌측 첫 번째 골목 안쪽에 위치하고...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마일리에 있는 주거 건축. 1930년대에 건립되었다고 전하는 근대 가옥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마일리 1565에 위치한다. 마일 1리 복지 회관 우측에 있는 길을 따라 배면의 야산 방향으로 약 120m 정도 이동하면 길 우측에 있다. 배치는 널찍한 부정형 평탄지에 남서향으로 안채와 아래채를 ‘ㄱ’자형으로 놓았다. 안채의 평면은 좌측으로부터 1칸 부엌,...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주택. 운강(雲岡) 박시묵(朴時默)[1814∼1875]의 동생인 운서(雲西) 박기묵(朴起默)[1830∼1911]이 건립한 가옥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위치한다. 금천면사무소 앞의 지방도 919호선을 따라 매전면 방향으로 약 1,100m 정도 이동하면 길가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운서 박기묵이 합천 군수로 재직하던 189...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주택. 운강(雲岡) 박시묵(朴時默)[1814∼1875]의 손자인 지암(旨巖) 박내현(朴內鉉)[1861∼1896]이 별서(別墅)로 건립하였던 것이다. 박내현의 둘째 아들인 명중(明重) 박순희(朴淳憘)[1896∼1934]가 입주하면서 명중 고택(明重 古宅)이라 하였다.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위치한다. 금천면사무소 정면에 있는...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주택. 조선 후기에 운강(雲岡) 박시묵(朴時默)의 둘째 아들 박재소(朴在韶)[1840∼1873]가 분가하면서 건립한 가옥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위치한다. 금천면사무소에서 신지리 방향으로 난 지방도 919호선을 따라 오다, 신지 1리 새마을 회관을 약 70m 정도 못 가 길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19세기에 건립되었으며...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주택. 조선 후기에 운강(雲岡) 박시묵(朴時默)의 셋째 아들인 박재충[1850∼1869]이 분가를 하면서 건립한 가옥(家屋)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위치한다. 금천면사무소에서 신지리 방향으로 난 지방도 919호선을 따라 오다 신지리 새마을 회관 약 500m 전, 길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1865년에 착공하였으나 박재충...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에 있는 근대 주택. 현대 시조의 격을 한 차원 높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시조 시인인 이호우(李鎬雨)[1912∼1970]와 여동생인 이영도(李永道)[1916∼1976)가 태어나고 성장한 주택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 259-24에 위치한다. 국도 58호선을 따라 내호리로 가다 유천교를 건넌 후 우측의 항일 독립 의거 추모탑이 있는 곳에서 좌...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임당리에 있는 조선 시대 주택. 조선 후기에 궁중 내시(宮中 內侍)로 정3품 통정대부에 올랐던 김일준(金馹俊)[1863∼1945]이 낙향(落鄕)하여 건립한 주택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임당리에 위치한다. 금천면사무소에서 운문면사무소 방향으로 난 국도 20호선을 따라 가다가 길 좌측에 있는 방지 초등학교에서 약 160m 직진한 후, 우회전하여 들어가 임당...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에 있는 조선 시대 주택. 조선 시대 사림파(士林派)의 대표적 인물인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종택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 145-1에 있다. 각남 교차로에서 이서면사무소 방향으로 난 30호선 국도를 따라 들어가다가 좌측 금촌들 건너에 백곡 마을이 위치하고 있다. 백곡 마을 백곡리 경로 회관 우측으로 난 길을 따라가다 약 50m 정도...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정상리에 있는 조선 시대 가옥. 19세기에 건립된 안채, 사랑채, 고장채로 구성된 ‘ㄷ’자형 가옥이다. 운문호에서 산내면으로 향하는 국도 28호선을 따라 가다 지촌 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지방도 921호선을 따라 가면 봉하교가 나온다. 이 봉하교 약 135m 전에서 정상리 방향으로 좌회전하여 들어가면 삼베 마을 초입에 최병수 가옥이 자리 잡고 있다. 최병수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