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제웅 버리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102052
영어의미역 Burning a Straw Effigies of Human Beings
이칭/별칭 제웅치기,허재비 버리기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놀이/놀이
지역 충청북도 음성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이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풍속
노는시기 정월대보름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행해지던 정월대보름 액막이 풍속.

[연원]

제웅 버리기는 제웅치기, 허재비 버리기라고도 한다. 이 풍속에 대해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정월 상원조에 기록되어 있는데 ‘남녀의 나이가 나후직성(羅睺直星, 제웅직성)에 들면 짚으로 제웅을 만들어 머리 속에다 동전을 집어넣고 정월대보름 전날 초저녁에 길에 버려 액을 막는다’고 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의 풍속도 이와 비슷하다.

[놀이도구 및 장소]

제웅은 짚으로 만든 사람 형상의 허수아비로, 제용 또는 한자어로 추령(芻靈)이라고 하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는 제웅 또는 허재비(허수아비)라고 한다. 정월 14일 저녁에 제웅을 만들어 정월대보름날 버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놀이방법]

충청북도 음성군에서는 정초에 신수를 보아 그해 액운이 있으면 이를 예방하기 위해 짚으로 제웅을 만들어 그 머리나 몸속에 동전을 넣어 방 한구석에 두었다가 보름날 새벽 길거리나 들판에 내다버렸다. 날이 새면 아이들이 그 속에 든 돈만 빼고 허수아비는 팽개친다. 아이들은 그 돈으로 엿이나 다른 먹을 것을 사먹기도 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충청북도 음성군에서는 마을이나 가정에 따라 제웅을 버리지 않고 서낭당에 걸어놓거나 대보름날 망월(望月)하면서 태우기도 했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 오룡에서는 정월대보름 안에 날을 받아서 하는 집도 있었다. 또한 토정비결을 보아 허재비를 버리는 시기와 그 속에 넣는 내용물을 결정하기도 한다. 허재비 속에는 일반적으로 동전을 넣지만 생쌀이나 밥을 넣기도 한다.

[현황]

오늘날 정월 대보름날의 액막이 풍속은 일부 남아 있지만 제웅 버리기 풍속은 거의 행해지지 않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