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발견하거나 보관하고 있는 선사시대와 고대에 제작된 용기. 토기는 신석기시대 이래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과거의 수럽·채집 생활에서 농경을 바탕으로 하는 정착 생활로 전환하면서 식량을 저장하고 식수를 담아두는 용기가 필요하게 되면서 출현하였다. 토기는 보통 500~1000℃ 이하에서 구워지지만 그 이상에서 구워진 것은 도기(陶器)라 부르고, 유약을 바른 것을 자기(...
불상
불상
불상
불상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가섭사에 있는 고려 전기의 불상. 가섭사 석가여래좌상은 전체적인 조각 기법이 정제되었으며, 얼굴 모습은 원만하고 인자하다. 이마에는 백호(白毫)가 있고, 귀는 길며, 목에는 삼도가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어깨에 들어 외장을 하였고, 왼손은 무릎 위에 들어 상장한 설법인(說法印)을 취하고 있다. 목불로서 금박을 입혔는데 높이가 90㎝이며 유리함 속에...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고심사에 있는 고려 후기의 석불 입상. 고심사 미륵불은 화강암으로 조성된 불상으로 머리는 결실되었으나 광배(光背)를 갖추고 있는 석불입상이다. 좌대는 후대에 변형된 것으로 보이나, 법의는 통견(通絹)이며 옷 무늬는 U자형으로 앞가슴을 표현하였다. 수인(手印)은 미타정인의 형식을 취하고, 광배는 주형광배로 일부가 파손되어 있다. 고심사 미륵불은 120㎝...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 미타사에 있는 고려 후기의 아미타불좌상. 미타사 석조여래좌상은 화강암으로 아미타상을 조각한 불상으로 미타사 삼성각에 봉안되어 있는 석불이다. 불상의 머리와 양손은 파손된 것을 시멘트로 보수한 것으로, 매우 조잡하다. 졸속하게 보수를 하였지만 양팔의 형태로 보아 불상이 결한 수인(手印)은 아미타 수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법의는 통견(通肩)으로 등 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룡리 보룡사지에 있는 고려 후기의 석조 불상. 보룡리 석조여래좌상은 머리에는 원형관을 쓰고 있는데, 머리는 나발(螺髮)이며 이마에는 백호(白毫)가 나타나 있고, 귀는 길게 어깨에 닿았으며 얼굴은 풍만하다. 목에는 삼도가 있고 눈과 코, 입은 파손이 심하여 알아볼 수가 없다. 양손은 무릎 위에 놓았고 양발은 결가부좌하여 당당한 자세로 안정감을 준다. 법의는...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 보현암에 있는 고려 후기의 석조 불상. 두광과 신광은 5~7㎝ 두께의 양각 선으로 돌렸을 뿐 다른 문양의 조식은 보이지 않으며, 신광(身光)의 하단이 불상의 무릎 위에 닿고 있어 불상에 비해 광배(光背)가 작은 편이다. 머리에는 삼산형(三山形)의 보관(寶冠)을 쓰고 있는 특이한 양식을 보이며, 보관 밑으로 나온 머리 형태는 소발이다. 상호는 직사각형에...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 보현암에 있는 고려 전기의 석조 불상. 보현암 석조약사여래좌상은 한 덩어리의 화강암을 다듬어 주형거신광(周形去身光) 형태로 만들어졌고, 좌불상과 광배를 정교하게 부조하였으며, 뒷면은 둥글게 처리하였으나 정교하지는 않다. 불상의 현존 상태는 오른쪽 하단의 광배 일부가 파손되었으나 전체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머리에는 낮은 육계가 남아 있고 두건을 쓴 듯한...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본성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미륵 석불. 화강암으로 조성한 불상으로, 하부가 땅속에 매몰되어 상반신 상처럼 보인다. 머리에는 원형의 관을 갖추었으며 귀는 가늘고 길게 표현하였고 눈과 코, 입은 심하게 파손되어 형태가 뚜렷하지 않다. 이 불상은 높이가 210㎝, 두고 70㎝, 보개 높이 11㎝, 어깨 폭 100㎝이며, 얼굴은 원만하고 머리에 관을 갖추고 있어 위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에 있는 조선 전기의 석조 불상. 사정리 석조보살입상은 한 개의 화강암 괴석을 이용하여 전면에 불상을 고부조(高浮彫)하고 광배(光背)의 형태를 갖춘 모습이다. 육계 흔적이 없이 두건을 쓴 듯하며 두 귀를 크게 표현하였고 상호는 살진 모습이다. 상체는 둔중하며 옷주름으로 수인(手印)을 표현하였으나 구별하기 어렵고 하체는 무릎 아래쪽이 절단되어 그 형태를...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중부고속국도 유물전시관에 소장된 고려 전기의 석조 불상. 머리가 없는 석불 입상으로 체구가 당당하며 비교적 큰 불상이다. 두꺼운 법의(法衣)에 감싸여 불신의 굴곡은 느낄 수 없지만 당당한 어깨와 가슴, 듬직하게 서 있는 하체 등에서 중후한 불상의 이미지가 잘 표현되었다. 법의는 통견(通肩)으로 옷주름의 폭이 넓고 두껍게 조각되었는데, 가슴에서 무릎까지...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에 있었던 고려 후기의 미륵 석불. 유촌리 미륵불은 대석 없이 하단부가 지하에 묻혀 있으며, 머리 위에는 보관을 쓰고 있다. 두정에는 나발을 표현하였으나 매우 작게 돋을새김을 하여 소발처럼 보이며, 정수리 부분을 길고 뾰족하게 만들어 보관의 아랫면 홈에 맞닿아 있다. 상호는 길게 표현되었는데, 특히 이마의 윗부분이 상당히 커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 미타사에 있는 고려 후기의 마애불. 불상의 머리 부분과 어깨 부분만 양각으로 처리하였고, 양손과 허리, 하반신 부분은 음각선으로 처리해 불상의 윤곽만을 나타냈다. 머리에는 두건형의 관모를 썼으며 상호는 원만자비상으로 비만한 편이다. 양 눈썹에서 코까지 연결되는 선은 뚜렷하나 두 눈과 입은 선명하지 않고, 양쪽 귀는 크고 뭉툭하다. 목은 매우 짧고 삼도...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륵리의 보현암에 있는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 관음보살상. 보현암이 소재하는 곳은 원래 탑골이라고 불리던 절터로, 근래에 사찰이 새로 들어섰다. 경내에는 인근에서 수습된 석탑 부재가 있으며 연판이 새겨진 석재들이 다수 전해져 이곳에 원래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음성 보현암 석조 관음보살 의좌상은 현재 불전 뒤편 노천에 석조 불상과 나란히 놓여 있는...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 평곡리 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평곡리 석조보살입상은 사질이 많은 화강암의 석불로, 머리 부분이 절단된 것을 시멘트로 보수하였다. 불상의 상호는 긴 편이며 눈과 코, 입 등이 마멸되어 선명하지 않다. 양쪽 귀는 길게 늘어져 있으며, 목에는 삼도가 표현되었고,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으나 조각이 선명하지 않다. 관대에서 양귀 뒤쪽으로 내려진 2조의...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평곡리 석조여래좌상은 모래가 많이 함유된 사질의 화강암으로 만들어 마멸이 심하다. 머리 부분은 결실되어 시멘트로 새로 만들었으며 결가부좌한 양쪽 무릎 부위도 파손되었고 두 손도 결실되었다. 대좌(臺座)와 광배(光背)가 없어 현재 자연석을 깔고 그 위에 석불을 안치하였으며, 머리에는 최근에 만든 판석을 올려놓아 보개처럼 보이게...
기타 유물
기타 유물
-
충청북도 음성군 의령남씨 양정공파 대종회가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무신 남연년의 유고 시집의 목각 판각본. 남연년의 자는 수백(壽伯)이고, 본관은 의령이며, 이인좌 반란 때 청주영을 지키다가 청주성의 함락으로 순직하였다. 남연년은 사후에 좌찬성에 추증되었고 1729년(영조 5)에는 숭선군에 추존되어 청주 표충사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장으로, 충신 정려가 내려졌다. 남충장공의 유...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의 돌칼. 무기인 돌칼은 칼자루를 나무에 끼워 쓰는 슴베식인 유경식(有莖式)과 몸체와 자루가 일체형의 자루식인 유병식(有柄式)으로 나뉘고, 유병식은 다시 홈 수에 따라 일단병식(一段柄式)과 이단병식(二段柄式)으로 나누어진다. 석검은 과거에는 세형동검(細形銅劍)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보았으나 지금은 세형동검 출현 이전에 만들어진...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의 돌화살촉.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 노래기 뒷산에서 발견되어 국립청주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청동기시대의 돌화살촉은 신석기시대에 비하여 그 형식이 다양하고 지역에 따라 다른 형식이 출토되고 있다. 돌화살촉은 모두 10점이 출토되었는데 유엽형의 화살촉이 4점, 슴베 달린 화살촉이 5점, 소형 화살촉이 1점이다. 돌화살촉의...
-
충청북도 음성군의 평산신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신후재의 초상화. 신후재(申厚載)[1636~1699]는 1660년(현종 원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강원도관찰사 등을 지냈으나, 1694년에 일어난 갑술옥사에 연루되어 옥살이를 한 후에는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정장 관복을 입고 의자에 앉은 전신상으로 의관이나 단령의 관복 등 복식은 조선 숙종 연...
-
음성 감곡성당이 소장하고 있는 일제강점기의 유물. 음성 감곡성당은 1896년 프랑스 파리 외방 선교회 소속이었는데, 신부에 의하여 설립된 한국에서 18번째 성당으로 현재 6개의 공소를 가지고 있고 신자 수는 3,350명이며 수많은 신앙 단체가 지역 사회에 봉사하고 있다. 초대 본당 신부 임가밀로 신부는 1896년 문맹 퇴치를 위하여 매괴학교를 설립하여 현재의 매괴고등학교로 발전되었...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그린 고지도. 충청북도 음성군(옛 음성현)의 고지도로는 『광여도(廣輿圖)』, 『해동지도(海東地圖)』, 『1872년 지방지도(地方地圖)』, 『여지도(輿地圖)』, 『비변사인방안지도(備邊司印方眼地圖)』, 『조선지도(朝鮮地圖)』, 『팔도군현지도(八道郡縣地圖)』 등이 있다. 19세기 초 필사본 회화식으로 만들어진 전국 군현지도집인 『광여도(...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리 철 박물관에 있는 현대 제강 시설. 전기로는 1966년 국내 최초로 동국 제강 부산 공장에서 국내에 최초 도입하여 제강 시대의 막을 연 유물이다. 바깥쪽은 철판이고, 안쪽은 내화 벽돌로 되어 있어 열에 견딜 수 있게 만들어졌다. 1998년 철 박물관으로 이전되었고, 2013년 8월 27일 등록 문화재 제556호로 지정되었다. 전기로 제강 과정에 따른...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리 한독의약박물관에 있는 고려 왕실의 약 그릇. 고려시대에 왕실의 약 조제를 담당하던 상약국(尙藥局)에서 사용하던 약 그릇으로 현재 한독의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청자상감상약국명합은 뚜껑 달린 원통형의 그릇으로, 높이 9.6㎝, 아가리 지름 7.5㎝, 밑지름 6.0㎝의 합이다. 키가 크고 원통형이며, 전체적으로 단순한 모양이다. 그릇 아래쪽과 뚜껑 위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