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202471 |
---|---|
한자 | 慕遠堂 |
영어음역 | Mowondang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 인의동 642-2[인동11안길 8-1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영진 |
성격 | 민가 |
---|---|
양식 | 일자형 홑집 |
건립시기/일시 | 1606년![]() |
정면칸수 | 4칸 |
측면칸수 | 1칸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구미시 인의동 642-2[인동11안길 8-11]![]() |
소유자 | 인동장씨 남산파종중 |
문화재 지정번호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90호 |
문화재 지정일 | 2000년 9월 4일![]() |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 인의동에 있는 장현광이 살던 조선 후기 가옥.
[변천]
모원당은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 1554~1637)의 가옥이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어 거처할 곳이 없자, 문인 장경우를 비롯한 문도와 친척들이 협력하여 1606년에 건립하였다. 1607년에 건립한 청천당은 장현광의 아들인 청천당 장응일(1599~1676)이 건립한 당우로서 학문을 닦고 교유의 장으로 삼았던 곳이다. 여헌묘우는 장현광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으로 1650년에 창건하였다.
[형태]
모원당은 마당을 사이에 두고 우측에 서향하고 있으며, 그 왼편에 청천당이 남향하고 있다. 뒤에는 여헌묘우가 있다. 모원당은 정면 4칸, 측면 1칸 크기의 일자형 홑집이다. 양측면에 부엌과 서고 반 칸씩을 달아내고 가적지붕을 얹어 정면이 6칸처럼 보인다. 청천당은 정면 3칸과 측면 1칸 반의 팔작지붕집이다. 중앙에 대청을 두고 좌우에 온돌방 한 칸씩을 두었으며, 앞에는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현황]
조선시대의 문인이자 대학자의 유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크나, 관리가 소홀하여 퇴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