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202953 |
---|---|
한자 | 江- |
영어의미역 | Song of Pulling River Boat |
이칭/별칭 | 배 띄우는 노래,고삐줄 당기는 소리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북도 구미시 |
집필자 | 최광석 |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육지에 올려놓은 배를 띄우기 위해 끌어내리며 부르는 노동요.
노를 젓거나 그물을 당기는 일처럼 강으로 배를 끌어내리는 일도 여러 사람의 협력이 필요하다. 「배 띄우는 노래」라고도 하는 「강배 끄는 소리」는 어업을 생업으로 삼아 살아가는 곳에서 드물게 전승된다. 보통은 ‘어하’라는 여음이 들어간다.
낙동강을 중심으로 살았던 구미 지역에서 어업을 생업으로 하던 주민들이 불렀던 것이 몇 편 채록되었다. 노래의 특성상 사설은 일정하지 않다.
「강배 끄는 소리」는 일정하게 되풀이되는 여음(뒷소리)과 실질적 의미가 있는 앞소리를 번갈아가며 부르는 선후창 형식이다. 구미 채록본에는 주로 ‘으여차’와 ‘우여’라는 여음을 되풀이하며 사설이 이어진다.
「강배 끄는 소리」는 뒷소리꾼에 의해 여음이 규칙적으로 삽입되면서 “숨이 차서 못 가겠다. 방구틈이다 조심해라. 낙동강이다 까뜩그리믄 샛강이다 용궁 간다. 까시밭이다 조심해라. 비륵 끝이다 앞이 맥혔다.”로 사설이 이어진다. 배를 끌 때마다 부딪치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책록본에서는 사설이 이와 달라질 수 있다.
「강배 끄는 소리」는 낙동강을 젓줄 삼아 살아온 구미 지역 민중들의 애환이 담겨 있는 민요라 할 수 있다. 배를 끄는 일은 매우 고된 노동이며 무엇보다 힘을 일시에 발휘하기 위해 행동의 통일이 필요하다. 그래서 「강배 끄는 소리」와 같은 노래를 부르면서 일의 효율을 높인다. 배를 끌면서 닥치는 상황을 여러 사람이 함께 인지해야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사설이 일정할 수 없는 것은 배를 끌면서 부딪치는 실제 상황이 사설에 그대로 반영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