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200005
한자 土壤
영어의미역 Soil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영경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 지역에서 육상의 지각을 덮고 있는 기반암 풍화 물질에 생물체의 유기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물질.

[개설]

토양은 주위 환경에 따라 항상 변화되는 동적인 자연체로서, 모재(母材; Parent Material)가 일정한 지형 조건 하에서 기후, 식생, 시간적 인자에 의해 생성, 변화되어 간다. 이러한 토양 형성 인자는 지역에 따라 상이하므로 공간적으로 다양한 토양 분포를 나타나게 한다. 또한 토양은 지역의 농업 또는 광업, 공업 등 산업 활동과 관련이 있으며, 때로는 특정 산업의 기반이 되기도 하므로 지역의 토양 특성은 지역 주민의 삶과 밀접하다 할 수 있다.

경상북도 구미 지역의 토양 모재로서의 지질적 특성을 보면, 시생대의 화강편마암계, 중생대 쥬라기와 백악기의 경상계 낙동통 및 신라통 그리고 신생대 제4기 현세통의 분포를 보이고 있어 모재가 되는 암석 종류로는 화강편마암 및 화강암, 사암, 이암, 역암과 더불어 현세통으로서 고기하성층(古期河成層)과 신기하성층(新期河成層)이 분포하고 있다. 구미 지역에서 가장 분포가 넓은 토양의 모재는 화강편마암과 화강암으로, 낙동강을 경계로 서쪽이 되는 선산읍·무을면·옥성면·고아읍 일대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낙동강의 동쪽 즉, 장천면·도개면·해평면·산동면 일대에는 사암·이암·역암 등의 퇴적암이 분포하고 있다.

[분포 및 특성]

구미시 토양의 분포와 특성을 보다 세밀하게 알아보기 위해 6개의 토양 분류 방법 중의 가장 저차 분류 방법의 하나로 속(family)의 세부 분류 단계에 해당되는 토양통을 기초로 분류하고, 중요 토양통을 중심으로 몇 개의 주 토양과 이와 유사한 부대 토양을 한데 모아 한 개의 토양군으로 하였으며, 주 토양명으로 명명하였다. 구미 지역을 구성하는 토양군은 낙동-화봉-황룡 토양군, 규암-강서-중동 토양군, 석천-함창-남평 토양군, 용지-지산-사촌 토양군, 연곡-상주-지곡 토양군, 석토-수암-장원 토양군, 매곡-칠곡-월곡 토양군, 삼각-송정 토양군, 이산-청심 토양군, 무등-외산 토양군 등이다.

1. 낙동-화봉-황룡 토양군

낙동-화봉-황룡 토양군은 하상 범람지 및 하성 평탄지, 배수가 매우 양호한 하성 충적층의 사질 및 자갈이 많은 사질 토양이다. 이 토양군은 구미 지역 중 1,475㏊인 2.61%로서 낙동강변과 대소 하천변의 0~2% 경사의 평탄지에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토양군 중 낙동통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고, 다음으로 화봉통, 황룡통의 순이다.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낙동통(Nagdong Series)은 하성 충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이며, 하천 유역의 평탄지 및 범람지에 분포되어 있다. 이 토양은 중동, 장천 강서통과 서로 인접되어 있으며 사질로서 토양 배수가 매우 양호하고 토심이 깊다. 이 토양은 대부분 밭으로 낙화생 및 연맥, 소맥, 소채 등이 재배되고, 뽕나무밭 혹은 과수원으로 이용되는 곳도 있으며, 불용지로 방치되는 지역도 일부 있다.

화봉통(Hwabong Series)은 표토가 명황갈색 내지 암황갈색의 양질사토이고 심토는 담황갈색 또는 밝은 황갈색의 배수가 매우 양호한 조사토이다. 주로 밭으로 이용되어 작물이 재배된다. 황룡통(Hwangryong Series)은 표토가 담갈색 내지 황갈색의 자갈 또는 잔돌이 많은 양질사토 내지 조사토이고, 심토는 명황갈색 내지 황갈색 또는 암갈색의 자갈, 잔돌 또는 돌이 많아 배수가 매우 양호한 조사토이다. 대부분 밭으로 전작물이 재배되고 일부는 과수원, 상전으로 사용되며, 가로수용 포플러가 재배되기도 한다.

2. 규암-강서-중동 토양군

규암-강서-중동 토양군은 하성 평탄지 및 배수가 약간 양호 내지 양호한 하성 충적층의 미사 사양질 및 사양질 토양이다. 이 토양군은 구미 지역의 5.32%인 3,016㏊로서 낙동강 연변의 넓은 평탄지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이 토양군 중 규암통(Gyuam Series)은 하성 충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이며, 하성 평탄지에 분포되어 있다. 이 토양은 보통 강서, 중동, 이현, 남평, 석천, 및 평택통과 서로 인접되어 있으며, 미사사양질로서 배수가 약간 양호하고 토심이 깊다. 대부분 논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곳에 따라 채소를 재배하기도 한다.

강서통(Gangseo Series)은 화성 충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이며, 충적 평탄지에 분포되어 있다. 사양질로서 배수가 약간 양호하고 토심이 깊다. 대부분 논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일부는 밭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중동통(Jungdong Series)은 하성 충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이며, 하성 평탄지나 하천변에 분포하고 있다. 사양질로 토양 배수는 양호하고 토심은 매우 깊다. 대부분 전작지로 보리·낙화생·콩·무우·배추·수박 등이 재배되며, 과수원이나 뽕나무밭으로도 이용된다.

3. 석천-함창-남평 토양군

석천-함창-남평 토양군은 하성 평탄지 및 배수가 약간 불량 내지 불량한 하성 충적층의 사양질 및 미사양질 토양이다. 이 토양군은 구미 지역 중 3,492㏊인 6.16%로서 대소 하천 유역의 평탄지에 분포되어 있다. 이 토양군 중 석천통(Seokcheon Series)은 하성 충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으로 주로 하성 평탄지에 분포되어 있다. 이 토양은 강서, 규암, 남평, 신흥, 함창, 고천 및 중동통과 서로 인접되어 있으며, 사양질 토양으로 배수가 약간 불량하고 토심이 깊다. 토양의 비옥도는 보통이며, 대부분 논으로 이용되며, 답리작으로 맥류가 재배되기도 한다.

함창통(Hamchang Series)은 하성 충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이며, 하성 평탄지에 분포되어 있다. 대부분 논으로 이용되며, 배수가 불량하여 답리작이 불가능하나, 배수 시설이 된 지역은 이모작으로 맥류를 재배할 수 있다. 남평통(Nampyeong Series)은 하성 충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이며, 넓은 하성 평탄지에 분포한다. 이 토양은 규암, 중동, 평택, 강서 및 석천통과 서로 인접해 있으며, 미사사양질로서 배수가 약간 불량한 토양이다. 대부분 논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답리작으로 맥류를 주로 재배한다. 석천-함창-남평 토양군 중에는 미사질 식양토인 평택통, 식양토인 신흥통, 배수가 불량한 사토인 신답통, 그 외 식질토인 화동통·덕평통과 자갈이 있는 사양토인 고천통도 포함되어 있다.

4. 용지-지산-사촌 토양군

용지-지산-사촌 토양군은 곡간 충적층의 배수가 약간 양호 내지 약간 불량한 식양질 및 사양질 토양이다. 이 토양군은 구미 지역 중 5,431㏊인 9.58%로서, 구미 지역 전역에 산재, 분포하고 있으며, 대부분 논이며 답리작으로 맥류를 재배할 수 있다. 이 토양군 중 용지통(Yongji Series)은 산성암인 화강암, 화강편마암 및 사암의 풍화물이 곡간이나 선상지에 충적된 토양이다. 이 토양은 보통 송정, 상주, 연곡, 부곡 및 지산통과 서로 인접되며, 식양질로서 배수가 양호하고 토심이 깊다. 형태적 특성을 보면, 표토는 회갈색 내지 암회갈색에 황갈색의 반문이 있는 양토, 미사질 양토, 극세사 양토로서 약간의 석영 입자를 함유하고 있다. 투수성은 보통이고, 유효 성분 함량은 높다. 이 토양은 주로 논으로 이용되며, 답리작으로 맥류를 재배한다.

지산통(Jisan Series)은 화강암, 화강편마암 및 퇴적암 등의 풍화 충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으로, 이 토양은 식양질로서 배수가 약간 불량하고 토심이 깊다. 주로 논으로 이용되며, 답리작으로 맥류를 재배한다. 사촌통(Sachon Series)은 화강암, 화강편마암 및 사암 등의 풍화 충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이며, 이 토양은 보통 토양 배수는 약간 불량한 사양질로서 토심이 깊다. 주로 논으로 이용되며, 답리작으로 맥류를 재배한다.

5. 연곡-상주-지곡 토양군

연곡-상주-지곡 토양군은 완만한 산록 경사지 및 선상지, 배수가 약간 양호 내지 양호한 붕적 및 곡간 충적층의 미사질 양토 및 사양질 또는 자갈이 있는 사양질 토양이다. 이 토양군은 구미 지역 중 4,668㏊인 8.23%로서 구미 지역의 전역에 산재하여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전작지로 이용되고 있다. 이 토양군 중 연곡통(Yeongog Series)은 화강암, 화강편마암 및 퇴적암의 충적 붕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으로 산록 경사지와 선상지에 분포하고 있다. 표토는 갈색 내지 암황갈색의 사양토이며, 심토는 갈색 내지 암갈색으로 지표 하 30~50m에서 식물의 뿌리가 뚫고 들어가지 못하는 경반층을 형성하고 있다. 배수가 약간 양호한 미사질 식양토로 대부분 밭으로 이용된다.

상주통(Sangju Series)은 산성암인 조립질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과 사암의 풍화 붕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이며, 매우 약한 경사 내지 경사의 구릉 하부, 곡간지, 요철지 및 선상지에 분포하며, 배수가 양호하고 토심이 깊어 일반적인 밭 또는 뽕나무밭으로 이용된다. 지곡통(Jigog Series)은 산성암인 조립질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 및 사암, 역암의 풍화 붕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이며, 매우 약한 경사 내지 경사의 구릉 하부, 선상지, 요철지 및 곡간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자갈이 있는 사양질로서 토양 배수가 양호하고 토심이 깊어 일반 밭으로 이용되거나 뽕나무밭, 과수원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6. 석토-수암-장원 토양군

석토-수암-장원 토양군은 산록 경사지의 배수가 양호 내지 약간 양호한 붕적층의 자갈이 많은 식양질 및 사양질 토양이다. 이 토양군은 구미 지역 중 3,528㏊인 6.22% 정도로서 구미 지역 전역에 산재하여 있으며 주로 전작지나 임야지로 이용되고 있다. 이 토양군 중 석토통(Seogto Series)은 반암, 화강암, 화강편마암, 혈암 및 사암 등의 풍화 붕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으로 경사 내지 심한 경사의 협곡지나 산록 경사지에 분포하고 있다. 표토는 암갈색 내지 암황갈색의 자갈, 돌, 둥근 바위가 있는 양토이며 심토는 황갈색의 자갈, 잔돌 또는 돌이 많은 배수가 양호한 양토 내지 식양토로서 주로 임목지(林木地)로 이용되며, 일반 밭이나 뽕나무, 과수원으로 이용되는 곳도 있다.

수암통(Suam Series)은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 또는 사암, 역암의 붕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으로 산록 경사지 및 곡간에 분포한다. 자갈이 있는 사양토로 토양 배수가 양호하고 토심이 얕아 주로 밭으로 이용되며, 과수원이나 임야지로 이용되기도 한다. 장원통(Jangwon Series)은 화강암, 화강편마암 및 퇴적암의 풍화 충적 붕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으로 약한 경사 내지 경사의 산록 경사지 및 선상지에 분포하고 있다. 배수가 약간 양호한 자갈 또는 잔돌이 있는 미사질 식양토인 이 토양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 중 경사가 약한 곳은 보리, 콩, 잡곡 등이 재배되며, 경사가 심한 지역은 산림지로 식생이 좋은 편이다. 석토-수암-장원 토양군 중에는 자갈이 있는 식양토, 배수가 양호한 안룡통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7. 매곡-칠곡-월곡 토양군

매곡-칠곡-월곡 토양군은 산록 경사지, 선상지 또는 곡간지의 배수가 약간 양호한 붕적 및 곡간 충적층의 자갈이 있는 사양질 및 식양질 토양이다. 이 토양군은 구미 지역 중 1,937㏊인 3.44% 정도로서 구미 지역 전역에 산재되어 있으며 주로 논농사 지역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토양군 중 매곡통(Maegog Series)은 화강암, 화강편마암, 사암, 역암 등의 풍화 충적 붕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으로, 표토는 담갈색 내지 회갈색의 사양토이고 심토는 암갈색 내지 회갈색의 배수가 약간 양호한 자갈 또는 잔돌이 있는 사양토로 배수가 약간 양호하고 토심은 보통이다. 대부분 논으로 이용되며, 답리작으로 보리, 감자 등을 재배하기도 한다.

칠곡통(Chilgog Series)은 화강암, 화강편마암, 안산암질 반암 및 퇴적암 등의 풍화 충적 붕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으로 배수가 약간 양호한 자갈 또는 잔돌이 있는 식양토로, 대부분 논으로 이용되며, 답리작으로 보리, 밀, 감자 등을 재배하기도 한다.

월곡통(Weolgog Series)은 화강암, 화강편마암 및 퇴적암 등 여러 암석의 풍화 충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이며 배수가 약간 양호한 자갈 또는 잔돌이 많은 사양토로 대부분 논으로 이용되며 답리작으로 맥류를 재배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밭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매곡-칠곡-월곡 토양군 중에는 자갈 또는 잔돌이 많으며 배수가 약간 양호한 금곡통(334㏊, 17.24%)과 배수가 양호한 자갈 또는 잔돌이 많은 사양토인 풍천통도 약간 포함되어 있다.

8. 삼각-송정 토양군

매곡-칠곡-월곡 토양군은 산악지 및 구릉지의 배수가 매우 양호 내지 양호한 화강암 또는 화강편마암에서 기인된 잔적층의 사양질 및 식양질 토양이다. 이 토양군은 구미 지역 중 15,432㏊인 27.26%로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며 구미시 일대와 선산읍, 무을면, 옥성면, 고아읍, 도개면, 해평면 일부에 걸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이 토양군 중 삼각통(Samgag Series)은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의 잔적층에 기인된 배수가 매우 양호한 사양질의 암쇄토로, 약한 경사 내지 심한 경사의 저구릉, 구릉 및 산악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표면수의 흐름이 비교적 빨라 침식을 받을 염려가 있다. 방목지로 적합하나, 토양 관리만 잘 하면 경작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송정통(Songjeong Series)은 표토는 적황색 내지 황갈색의 양토, 심토는 황적색 내지 명적색의 식양토이며 화강암의 잔적층에 기인된 배수가 양호한 식양질의 적황색토이다. 경사가 약한 대부분의 지역은 경작지로 이용되며, 기타는 임야지이다.

9. 이산-청심 토양군

이산-청심 토양군은 산악지 및 구릉지의 배수가 매우 양호한 퇴적암에 기인된 잔적층의 바위 또는 자갈이 많은 사양질 및 식양질 토양이다. 이 토양군은 구미 지역 중 12,960㏊인 22.52%로서 선산읍, 장천면, 산동면, 도개면, 해평면 일대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이 토양군 중 이산통(Isan Series)은 사암, 역암의 풍화 잔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이며, 경사 내지 경사가 매우 심한 경사의 구릉 및 산악지에 분포한다. 표토는 암갈색 내지 암황갈색의 자갈이 있는 사양토, 심토는 암황갈색, 황갈색 내지 명황갈색의 자갈, 잔돌 또는 돌이 있는 사양토이며 역암 및 사암의 잔적층에 기인된 배수가 매우 양호한 사양질의 암쇄토이며, 이 토양의 분포 지역은 대부분 임야로 소나무 및 잡목들이 자라나 식생은 울창하지 못하다.

청심통(Cheongsim Series)은 혈암, 이암 및 사암의 풍화 잔적층을 모재로 하여 경사진 구릉 및 산악지에 분포한다. 표토는 회갈색 내지 암갈색의 돌이 있는 미사질 양토, 심토는 암황갈색 내지 황갈색의 돌이 많은 미사질 양토이며 배수가 매우 양호한 갈색 산림토이다. 이 토양은 산림지로 소나무, 낙엽송, 참나무, 관목 및 잡목 등이 자라고 있으며, 식생은 좋은 편이다. 이 외에 신정통은 1,627㏊인 17.30%로서 표토가 진갈색 내지 암황갈색의 자갈 또는 잔돌이 있는 양토이며 심토는 밝은 적색 내지 적황색, 황갈색의 배수가 양호한 자갈이 있는 양토이다.

10. 무등-외산 토양군

무등-외산 토양군은 산악지, 배수가 매우 양호 내지 양호한 반암 및 편암 또는 편마암에 기인된 잔적층의 바위 또는 자갈이 많은 식양질 및 사양질 토양이다. 이 토양군은 구미 지역 중 919㏊인 1.62% 정도로서 선산, 구미 지역의 서남방에 위치하고 있는 금오산 일대에 분포되어 있으며 경사는 60~100%로서 산림지로 이용되고 있다.

이 토양군 중 무등통(Mudeung Series)은 중성암인 반암, 안산암질 반암의 풍화 잔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이며, 경사 내지 매우 심한 경사지인 산악지에 분포하고 있다. 이 토양은 표토가 담갈색 내지 암갈색의 바위가 있는 양토, 심토는 갈색 내지 갈색의 돌이 있는 미사질 양토이며 토심이 얕고 반암에 기인된 배수가 매우 양호한 식양질의 암쇄토이다. 기층 아래 30~50cm쯤에는 단단한 모암인 반암이 있다. 이 토양의 분포 지역은 대부분 소나무, 참나무, 낙엽송, 관목 등이 자라고 있다. 외산통(Oesan Series)은 편암 및 편마암의 풍화 잔적물을 모재로 한 토양으로 구릉 및 산악지에 분포되며, 자갈이 매우 많은 미사질 양토로서 토양 배수가 양호하다. 분포 지역에는 대부분 소나무, 참나무, 잡목 등이 자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