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제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202537
한자 祭禮
영어의미역 Rituals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집필자 석대권

[정의]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조상을 추모하기 위해 올리는 제사.

[개설]

제례는 조상에 대한 관념을 체계화시키면서 세분화되고 다양해져 왔다. 일반적으로 제례는 사당제(祠堂祭), 사시제(四時祭), 이제(禰祭), 기일제(忌日祭), 묘제(墓祭)의 다섯 종류로 되어 있다. 사당제는 집안에 조상을 모셔 놓은 사당에서 지내는 제사이며, 사시제는 설·단오·추석·동지 등 4명절에 지내는 절사(節祀)이며, 이제는 부모의 기일(忌日)에 받드는 제사이고, 기일제는 4대조까지의 조상 기일에 지내는 제사이고, 묘제는 조상의 묘소에서 행하는 제사이다.

오늘날 이러한 제례를 모두 행하는 집안은 구미 지역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보기 힘들다. 현대 생활에서 볼 수 있는 제사는 기제· 차례·묘사의 세 종류이고, 구미 지역도 동일하다. 구미 지역에서 눈여겨보아야 할 제사는 해평면 해평리 전주최씨 기제사이다. 이 집안은 생전에 본 적이 있는 조상은 독축을 한 다음에 곡을 하는 ‘곡(哭)’ 제사를 지내고 있다. 이 외에 인의동 인동장씨 장현광의 불천위 제사 등이 있다.

[제례서]

현재 구미시 지역인 선산 지역은 “영남 인재의 반은 일선에 있다(嶺南人才 半在一善)”이라는 말이 유행할 만큼 성리학 연구에 몰두하였고, 영남사림파 형성의 중심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미 지역에는 유교적 이념을 실천한 의례서인 『주자가례』를 연구한 독지적인 가례 연구서는 그리 많지 않다. 이는 예학 연구가 성행한 조선 중기에 이 지역에서 많은 유학자들이 떠난 것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 지역 출신 김숙자·김종직 부자는 별도의 가례서를 남기지 않았으나, 가례에 관한 것은 가훈·가령(家令)의 형식을 띤 글에 포함되어 있다. 김숙자(金淑滋, 1389~1456)의 「제의(祭儀)」, 「축문(祝文)」, 「묘제의(墓祭儀)」 등은 제례서의 전형(前型)이라 할 수 있는 형태였다. 김종직(金宗直, 1431~1491)의 「제의」·「묘제의」 등은 가문의 가례서의 성격을 가졌으며 뒤에 저술한 『이존록(彛尊錄)』의 선공제의(先公祭儀) 항목에서 다루었다. 17세기에 오면 장현광(張顯光)이 예서의 성격을 지닌 저술을 남겼는데, 이중 제례에 관한 자료는 「분찬중사망의략(奔竄中事亡儀略)」이다.

근현대에 오면 독립운동가 허위(許葦)의 동생인 허훈(許薰, 1836~1902)의 『방산문집』에 있는 「제주전축문개정(題主奠祝文改正)」, 「부제의(附祭儀)」, 「제찬진설위도(祭饌陳設位圖)」, 「삼년내묘제설(三年內墓祭說)」 등이 있다. 해평최씨 최헌식(崔憲植, 1846~1907)이 지은 『가례증설(家禮增說)』, 『가례보의(家禮補疑)』, 『가례보의별집(家禮補疑別集)』이 있다고 하나 현존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1999년에는 선산김씨원당공파종친회에서 『가례편람』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외에 각 문중의 족보에 제례의 절차 등을 수록해 두기도 한다.

[차례]

명절에 집안에 오시는 조상에 대한 제사를 차례라고 한다. 구미 지역의 인의동 인동장씨 문중이나 해평면 해평리 전주최씨 문중에서는 해방 전까지는 설, 정월 보름, 단오, 추석에 사당에 제사 지냈고, 음식은 설에 떡국, 정월 보름에 약밥, 단오에 수단, 추석에 감떡을 하였다고 한다.

[기제]

대체로 4대 조상까지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제사인 기제는 가문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해평면 해평리 전주최씨 가문에서는 조율이시(棗栗梨柿)를 원칙으로 한다. 다만 조율(棗栗) 다음에 시과(時果)와 조과(造果)를 놓고 이시(梨柿)를 진설한다. 집안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제물은 시루떡으로, 예전에는 집에서 정성을 들여 만들었다고 한다.

고아읍 원호리 선산김씨 원당공파(元堂公派) 문중은 조율시이(棗栗柿梨) 순으로 진설한다. 선산김씨 원당공파 문중의 제사 절차는 강신-참신-초헌-독축-아헌-종헌-첨작-삽시정저-합문-개문-헌다-철시복반-철상-음복 순이다. 해평면 해평리 전주최씨 가문의 제사 절차는 영신(迎神)-참신(參神)-강신(降神)-초헌(初獻)-독축(讀祝)-아헌(亞獻)-종헌(終獻)-첨작(添酌)-유식(侑食)-합문(闔門)-진다(進茶)-철시복반(撤匙覆飯)-고이성(告利成)-사신(司辰)-철상(撤床)-음복(飮福) 순이다. 전주최씨 가문은 종헌을 주부가 4배로 올린다.

인의동 장현광 집안은 독축을 한 다음 주인과 절하는 합배와 철시복반과 고이성이 있고, 사당에 신주이묘한다. 신위(神位)는 고비위합설(考妣位合設)로 모신다. 인의동 인동장씨 남산파 장인채 집안의 경우, 고위(考位) 제사에는 합설을 하고 비위(妣位) 제사에는 단설을 한다. 제사에서 단설과 합설은 어느 쪽이 옳으냐 그르냐의 문제가 아니라 가문에 따라 달리할 뿐이라고 한다.

[묘제]

묘제는 기제사와 달리 묘소에서 제사를 지내기 때문에 낮에 행하고 농사가 끝난 음력 10월에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음력 10월 초이튿날부터 10월 15일까지 입향조부터 5대조까지의 묘제를 지낸다. 제수 비용은 위토답(位土畓)에서 충당하였으나, 선산김씨 문중이나 인동장씨 문중 같이 구미 지역의 개발 과정에서 많은 위토답을 보상받아 건물을 구입하여 여기서 나오는 임대료 등으로 충당하는 경우도 있다.

선산김씨 문중의 묘제 절차를 보면, 제주이하서입(祭主以下序立)-강신(降神)-참신(參神)-제수진설(祭需陳設)-초헌(初獻)-아헌(亞獻)-종헌(終獻)-사신(辭神)-철찬(撤饌)의 순서로 한다. 묘제에서는 종손이 초헌관이 되며 아헌관과 종헌관은 참석자들 중에 항렬에 따라 그때그때 정해진다.

최근 묘제의 변화는 다음 사례에서 그 일단을 볼 수 있다. 구미시 산동면 봉산2리 오산마을에는 남양홍씨 집안이 가장 많다. 이 마을에서는 ‘묘사’라고 하는데, 이 묘사는 5대조부터 모신다. 제일은 보통 음력 10월 중순 좋은 날을 택하는데, 가문에 따라 집집마다 차이를 보인다. 오산마을의 남양홍씨 문중은 음력 10월 17일에 지냈으나, 10여 년 전부터 자손들을 많이 모이게 하기 위해 음력 10월의 두 번째 주 일요일에 지냈다.

묘사에 쓰이는 비용은 종중계에서 묘사답으로 부담하고, 나머지 아래 일은 종가에서 책임을 진다. 남양홍씨는 9대조가 봉화에서 이거하면서부터 오산마을에 살게 되었다고 한다. 남양홍씨의 친족은 ‘경모재’라고 현판을 붙인 재실을 1987년에 건립하였다. 이 재실에서 위패를 모시고 묘사를 지내는 것이 특징적이다. 재실을 건립하기 전에는 매년 조상의 묘소마다 찾아다니며 지냈다고 한다.

[불천제]

불천제(不遷祭)는 이른바 양반 가문에서 4대 봉사가 끝나도 기제사는 영원토록 계속하라는 것이니, 이런 조상은 5대가 넘어도 대진(代盡)하지 않고 가묘도 별도의 사당을 지어 신주를 모신다. 이외에 지역 유림에서 학문적인 업적이 뛰어난 사람의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허락하는 불천위 제사가 있고, 문중에서 조상의 훌륭한 업적을 기리기 위해 지내는 사불천위(私不遷位) 제사도 있다.

구미 지역 출신으로 불천지위에 오른 사람과 사당인 부조묘는 다음과 같다. 선산김씨 시조 김선궁(金宣弓)의 묘는 해평 마석산에 있고 부조묘는 마석재이다. 김제(金濟)의 부조묘는 상주 낙동에 있다. 김주(金澍)의 부조묘는 도개면 궁기리 내격묘이고, 해평김씨 시조 김훤술(金萱述)의 부조묘는 해평리 시중사이다. 홍응(洪應)도 불천지위에 올랐고, 장현광의 부조묘는 인의동 42번지에 있다. 정붕의 부조묘는 선산읍 포상리, 박운의 부조묘는 해평면 괴곡리, 최산휘 부조묘는 해평면 해평리에 있다.

구미 지역의 불천제는 장현광의 사례에서 어느 정도 윤곽을 잡을 수 있다. 장현광의 불천제는 매년 기일인 음력 9월 7일에 지내고, 인동장씨 남산파가 중심이 되어 준비한다. 제사는 유사가 장을 보고 집안 어른들이 모여 준비한다. 6·25전쟁 전까지는 제사를 준비하는 ‘고직이’가 있었으나, 1960년대 이후 사람이 없어 집안사람들이 모여서 준비한다고 한다. 제사의 절차는 홀기에 따라 시행한다. 불천제에서는 장현광뿐만 아니라 그 부인도 모신다고 한다. 이외에 홍응의 불천위 제사도 집안에 보관되어 있는 홀기에 따라 지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